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는 리서치가 어떻게 스포츠마케터의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지를 가르쳐 준다. 학생들은 스포츠마케팅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양적, 질적 연구 방법론을 학습한다. 아울러, 학생들은 스포츠 마케팅 연구의 기획, 실행, 결과분석, 해석까지의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쌓게 된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은 본 강좌에서 습득한 지식을 이용해 향후 스포츠경영 분야에 종사하며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준다.국어국문학과
이 교과목은 한국문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대해 충실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우리 문학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 문학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는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 갈래 체계와 역사적 전개 과정, 주제적, 미학적 특성, 전반적인 작품의 실상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본격적인 한국문학 연구의 기초를 다지게 된다.
loading...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대학 글쓰기 1(F11.101) , 경제원론 1(200.105)
이 교과목은 한국문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대해 충실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우리 문학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 문학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는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 갈래 체계와 역사적 전개 과정, 주제적, 미학적 특성, 전반적인 작품의 실상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본격적인 한국문학 연구의 기초를 다지게 된다.
Apprendre la langue de l'argumentation
Apprendre la langue de l'argumentation
Prosodic typology II : the phonology of intonation and phrasing
Prosodic typology II : the phonology of intonation and phrasing
Frontiers of social theory : the new syntheses
Frontiers of social theory : the new syntheses
Language structure, discourse and the access to consciousness
Language structure, discourse and the access to consciousness
가우디 : 예언자적인 건축가
가우디 : 예언자적인 건축가Allgemeine Sprachtypologie : Ansätze und Methoden
Allgemeine Sprachtypologie : Ansätze und Methoden
Referential pronouns in English conversation
Referential pronouns in English conversation
L'argumentation dans la communication
L'argumentation dans la communication
Approaches to semiotics : cultural anthropology, education, linguistics, psychiatry, psychology
Approaches to semiotics : cultural anthropology, education, linguistics, psychiatry, psychology
Management communication
Management communication
Social work as narrative : storytelling and persuasion in professional texts
Social work as narrative : storytelling and persuasion in professional texts
Vico, metaphor, and the origin of language
Vico, metaphor, and the origin of language
Gabriel Trade on communication and social influence : selected papers
Gabriel Trade on communication and social influence : selected papers
An applied visual sociology : picturing harm reduction
An applied visual sociology : picturing harm reduction
Gesture, gender, nation : dance and social change in Uzbekistan
Gesture, gender, nation : dance and social change in Uzbekistan
Peirce on signs : writings on semiotic
Peirce on signs : writings on semiotic
L'argumentation : des techniques pour convaincre
L'argumentation : des techniques pour convaincre
The rhetorical career of César Chávez
The rhetorical career of César Chávez
An introduction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education
The subject matters : classroom activity in math and social studies
The subject matters : classroom activity in math and social studies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Mehrad Vaezi; Kiana Noroozi; Terence D. Todd; Dongmei Zhao; George Karakostas; Huaqing Wu; Xuemin Shen吉林省教育学院学报 / Journal of Educational Institute of Jilin Province
吴进; WU JinResearch in Drama Education
Turchi L.Critical Studies in Television
Kaptan Y.当代教育科学 / Contemporary Educational Science
石烨; 李太平; Shi Ye; Li Taiping电化教育研究 / E-education Research
梁志远; 安涛; 武俊学; 汪颖; LIANG Zhiyuan; AN Tao; WU Junxue; WANG YingJournal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search
McIntosh D.M.D.,Eguchi S.문화역사지리
최유식Applied Linguistics Review
Jones R.H.UTOPIA Y PRAXIS LATINOAMERICANA-REVISTA INTERNACIONAL DE FILOSOFIA IBEROAMERICANA Y TEORIA SOCIAL
Ortiz Ocana, Alexander; Arias Lopez, Maria Isabel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Moradi M.,Dass M.,Arnett D.,Badrinarayanan V.Africa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Porteus, KimberleyIntercultural Pragmatics
Van Olmen D.,Tantucci V.NanoEthics
Simons M.Public Relations Inquiry
Aghazadeh S.A.Educational Research
Kirsi-Marja Heikkinen; Raisa Ahtiainen; Elina Fonsén; Arto KallioniemiAdaptation
Lin Young湖北开放职业学院学报 / Journal of Hubei Open Vocational College
郭慕卿; GUO Mu-qingBeiträge zur Geschichte der deutschen Sprache und Literatur
Petrova, SvetlanaAsia-Pacific Language Variation
Povilonis N.,Guy G.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영화, 방송, 게임, 대중음악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및 공연, 전시 등 순수예술 산업과 관련된 마케팅 이슈를 다루게 되며, 일반 기업의 입장에서 문화예술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수업은 주로 문화예술 마케팅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읽고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문화산업 특유의 연구 주제에 대한 이론 및 사례에 대한 강의가 병행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각종 영상과 뉴스, 데이터 등이 전지구적으로 송수신되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사회국가적 중요성과 함의를 개괄하고 관련된 제이론을 섭렵함으로써 이 분야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K-뷰티, K-팝, K-드라마, K-푸드, K-웹툰 등 한류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사회, 문화, 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이를 통해 문화적 세계화의 과정으로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본질과 현상을 이론적, 실천적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역사학부 4학년 학생들이 스스로 졸업 논문 주제를 선정하고 순차적으로 논문 작성의 단계를 밟아가며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수업이다. 그 과정에서 사료를 읽고 해석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학생들 간의 활발한 토론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자신의 논문을 검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의 학습 과정을 종합하고 학부 과정의 총화로서 역사학 논문을 완성하는 것이 이 수업의 목표이다.전선 / 대학원
본 수업은 조경 식물을 단순한 심미적 요소로 인식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식물이 지닌 생태적·환경적·사회문화적 가치를 통합적으로 해석하고 공간에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식물을 ‘소재’의 차원을 넘어 장소의 의미와 감각, 서사를 구성하는 핵심 매개체로 확장·적용시킬 수 있는 실습을 병행한다. 감각적 식재, 생태적 식재, 상징적 식재에 대한 이론 강의와 더불어, 실습에서는 식물원, 미술관, 역사정원 등 다양한 공간을 답사하며, 공간의 맥락을 식물과 함께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소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방법을 훈련한다. 본 교과목은 스튜디오 기반의 통합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론·실습이 융합된 실습 환경 속에서 학생들은 식물을 통한 장소 해석과 공간 구현 능력을 심화시키게 될 것이다.교양 / 학사
입문 단계의 초급러시아어 1, 2의 연장선상에서 중급러시아어1 강좌는 학생들이 실생활의 간단한 실용 러시아어에 필요한 초급 문법이나 어휘의 토대 위에 난해한 어휘나 구문, 표현 등을 익혀 고급 문체의 텍스트를 이해하고 다양한 주제에 관해 교양있는 대화체 러시아어를 구사하며 메모, 편지, 일기 등을 쓸 수 있도록 가르칠 것이다. 이 강좌는 나아가 모든 발화, 문학 장르의 기본 러시아어 텍스트를 강독할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칠 것이고 학생들이 러시아 문화, 역사, 문학 등에 관한 호기심과 애정을 가질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전선 / 학사
메이지시대 이후의 일본어 원사료, 학술문헌을 한국어로 옮기는 훈련과정을 통해 일본전공자에게 요구되는 전문적 기능(소양)을 함양한다. 수업은 일본어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표현하는 훈련을 토론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 수업을 통해 고도의 언어 운용능력 외에 복안적 사고의 체득을 기대한다. 최종 학업평가는 번역 결과물의 완성도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최근의 치카나페미니즘에 이르기까지 라티노문학의 대표적인 텍스트들을 심도 있게 다루고 그 경계문학적 함의를 고찰함으로써 스페인어권 문학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 데에 목표가 있다.전선 / 학사
금속공예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시대적 흐름, 공예기술의 발달 그리고 경제 문화적 연관 속에서 이해한다. 또한 동서 금속공예의 비교를 통해 금속공예의 지역적 차이를 이해한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교육의 이론적 성과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안목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법, 화법, 독서, 작문, 문학 등 국어교육의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되어 온 국어교육 이론은 학교 교육의 실제 현장에 부합할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예비 중등교원 학생들이 국어교육 이론과 실제의 실질적인 매개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에서 학생들은 물질자료 분석에 이용되는 다양한 고고학 개념과 기법을 이해하고 실제자료에 적용하는 연습을 한다. 특히, 형식분류, 형태변이, 양식, 편년 등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첫째, 고고학의 성립 이래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개념들이 시각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어 왔는지, 이에 따라 어떤 분석기법이 등장하였는지를 학사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실제 고고학 자료에 이 기법을 응용하는 연습을 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외국인 교수와의 토론식 수업을 통해 기초적인 프랑스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킨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통합사회’ 전공교사 양성과정에서 제시된 기본이수 과목으로, 통합사회 교육에서 가장 기초적인 과목이다. 통합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리고 지도 및 평가방법을 다루며, 이에 부합되도록 논술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가 사회의 현안 문제들이나 통합사회과의 주요 관심 주제들을 대상으로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서 체계적․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법을 배우고, 그 결과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힌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한 언어에 있어서 단어들이 실현되는 여러 형태들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형태론이란 단어의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이므로, 형태론의 기본 단위인 형태소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이 형태소들이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합성법과 파생법, 단어들의 어형이 변화하여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곡용과 활용의 개념을 습득하고, 또한 이러한 현상들이 실제 자연언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 본다. 또한 형태론이 음운론이나 통사론과 맺는 관련성도 함께 살펴 본다.전선 / 학사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은 현대사회의 핵심적인 사회문제인 환경문제가 발생되고 이슈화되고 이에 대응하는 정부-기업의 정책 및 환경운동을 다룬다. 현대사회에서 자연환경이 어떻게 사회문제로 부각되는가, 근대적 & 탈근대적 환경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하는 이론적 고찰에서부터 시작하여 정부, 시민단체 등 환경문제를 다루는 사회적 기제, 정부 정책, 환경운동의 분화과정 등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인구, 기업, 과학기술 등 환경문제의 원인, 근대성과 생태적 이슈, 환경문제의 쟁점화과정, 정부와 기업의 정책, 그리고 근대적 환경운동, 탈근대적인 생태운동을 다룬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인류학박물관의 성격과 역사를 살피고, 다양한 문화들을 수집, 보존하고 전시하는 방법을 가르킨다. 이를 위해 실제로 인류학 관련 박물관들을 수강생들이 매주 견학하고 토론을 벌이게 되며, 박물관과 국가문화정책, 소수민족문화, 전시방법의 문제 등을 검토함으로써 수강생들이 박물관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과 올바른 문화인식의 시각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전필 / 학사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 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를 깊게 한다. 전통음악을 주로 소개하며, 창작음악의 경우 전통음악을 의식적으로 수용한 작품을 소개한다. 1, 2학기 연강이다.전선 / 대학원
작곡, 연주를 포함한 상호 간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공연을 직접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과목이다. 음악대학의 대표적 뉴뮤직 프로덕션이 만들어지는 플랫폼으로 현대음악시리즈 스튜디오 2021과 연계되어 진행된다.전필 / 학사
본 강좌는 문학교육의 개념, 성격, 범주 및 의의와 실제 교수-학습, 평가, 감상 등 문학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인 문학의 교육작용과 현대의 교육이 만나는 데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 위에서, 문학교육은 인문교육에 있어서 정당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특히 장차 문학교육의 실천과 연구를 담당하게 될 사람들에게는 이 강좌는 문학교육의 본질과 의의를 다시 생각하게 하고, 그 기초적 지식과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