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는 리서치가 어떻게 스포츠마케터의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지를 가르쳐 준다. 학생들은 스포츠마케팅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양적, 질적 연구 방법론을 학습한다. 아울러, 학생들은 스포츠 마케팅 연구의 기획, 실행, 결과분석, 해석까지의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쌓게 된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은 본 강좌에서 습득한 지식을 이용해 향후 스포츠경영 분야에 종사하며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준다.국어국문학과
이 교과목은 한국문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대해 충실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우리 문학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 문학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는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 갈래 체계와 역사적 전개 과정, 주제적, 미학적 특성, 전반적인 작품의 실상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본격적인 한국문학 연구의 기초를 다지게 된다.
loading...
약학대학 / 대학원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약학연습 2(375.502) , 사이토카인 생물학(M1483.000800)
세포생물학적 및 생화학 연구방법의 첨단화 및 연구의 활성화로, 세포 자체에 대한 연구, 특히 세포기능의 조절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세포신호전달 과정들을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연구하는 분야는 날로 새로운 사실들을 더해가고 있는 것이 현실임. 최근의 생화학적 교재를 바탕으로, 강의 자료를 최근 보고된 논문들을 활용함으로써, 내용의 최신화를 기하고자 하며, 또한 연구방법론을 언급 분석함으로써, 연구자이자 피교육자들인 본 강좌 수강생들일 대학원생의 안목을 기초적으로 튼튼히 함에 일조하고자 하며, 동시에 임상적인 지식 및 연구결과의 응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Computational genomics : current methods
Computational genomics : current methods
Computational systems biology approaches in cancer research
Computational systems biology approaches in cancer research
Systems medicine
Systems medicine
Protein arrays, biochips, and proteomics : the next phase of genomic discovery
Protein arrays, biochips, and proteomics : the next phase of genomic discovery
Cancer genomics and proteomics : methods and protocols
Cancer genomics and proteomics : methods and protocolsGenomes, molecular biology and drug discovery
Genomes, molecular biology and drug discovery
Genome editing in drug discovery
Genome editing in drug discovery
Organelle proteomics
Organelle proteomics
Proteinpeptide sequence analysis : current methodologies
Proteinpeptide sequence analysis : current methodologies
Computational systems biology of cancer
Computational systems biology of cancerEssential concepts in toxicogenomics
Essential concepts in toxicogenomics
Proteomics in practice a laboratory manual of proteome analysis
Proteomics in practice a laboratory manual of proteome analysis
Plant proteomics : methods and protocols
Plant proteomics : methods and protocols
Gene function analysis
Gene function analysis
Molecular biology : structure and dynamics of genomes and proteomes /
Molecular biology : structure and dynamics of genomes and proteomes /
Bioinformatics.
Bioinformatics.
Automated DNA sequencing and analysis
Automated DNA sequencing and analysis
Proteomics for biomarker discovery : methods and protocols
Proteomics for biomarker discovery : methods and protocols
Advance in Structural Bioinformatics
Advance in Structural Bioinformatics
From fundamental genomics to systems biology : understanding the book of life
From fundamental genomics to systems biology : understanding the book of lif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mSystems
Hou P.,Nowak V.V.,Taylor C.J.,Calcott M.J.,Knight A.,Owen J.G.Nature Communications
Patel S.,Sexton A.N.,Strine M.S.,Wilen C.B.,Simon M.D.,Pyle A.M.CURRENT OPINION IN STRUCTURAL BIOLOGY
Wittmann, Bruce J.; Johnston, Kadina E.; Wu, Zachary; Arnold, Frances H.한국응용곤충학회지
김규순, 정충렬, 양창열, 권기면, 김용균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Noble C.,Min J.,Olejarz J.,Buchthal J.,Chavez A.,Smidler A.L.,DeBenedictis E.A.,Church G.M.,Nowak M.A.,Esvelt K.M.Nature methods
Tang LCancer Research
Zachary R. Lewis; Brian Birditt; Emily Brown; Kan Chantranuvatana; Brian Filanoski; Chris Corless; Tiên Phan-Everson; Gary Geiss; Tyler Hether; Evie Hobbs; Brett Johnson; Taylor Kelley; Charles Lopez; Rhonda Meredith; Anastasiya Olson; Giang Ong; Mithra Korukonda; Erin Piazza; Jason Reeves; Alyssa Rosenbloom; Kiara Siex; Hye Son Yi; Edward Zhao; Joseph M. Beechem; Gordon MillsPLoS ONE
Gasparello J.,Papi C.,Zurlo M.,Corradini R.,Gambari R.,Finotti A.Nucleic Acids Research
Liu G.H.,Bao Y.,Qu J.,Zhang W.,Zhang T.,Kang W.,Yang F.,Ji Q.,Jiang X.,Ma Y.,Ma S.,Liu Z.,Chen S.,Wang S.,Sun S.,Geng L.,Yan K.,Yan P.,Fan Y.,Song M.,Ren J.,Wang Q.,Yang S.,Yang Y.,Xiong M.,Liang C.,Li L.Z.,Cao T.,Hu J.,Yang P.,Ping J.,Hu H.,Zheng Y.,Sun G.,Li J.,Liu L.,Zou Z.,Ding Y.,Li M.,Liu D.,Wang M.,Ji Q.,Sun X.,Wang C.,Bi S.,Shan H.,Zhuo X.Frontiers in Chemistry
Wu Y.,Lou L.,Xie Z.R.Methods in enzymology
Yang F; Wang CBMC Bioinformatics
Coleman I.,Corleone G.,Arram J.,Ng H.C.,Magnani L.,Luk W.Cell systems
Chen R; Zhou J; Chen B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Emily S. Boja, Henry RodriguezBioinformatics
Singh J.,Paliwal K.,Zhang T.,Singh J.,Litfin T.,Zhou Y.Cell Reports Methods
Dickson, Zachery W.; Hackenberger, Dirk; Kuch, Melanie; Marzok, Art; Banerjee, Arinjay; Rossi, Laura; Klowak, Jennifer Ann; Fox-Robichaud, Alison; Mossmann, Karen; Miller, Matthew S.; Surette, Michael G.; Golding, Geoffrey Brian; Poinar, HendrikRSC advances
Simoben CV; Babiaka SB; Moumbock AFA; Namba-Nzanguim CT; Eni DB; Medina-Franco JL; Günther S; Ntie-Kang F; Sippl WNature Chemical Biology
Song, YiyunCurrent topics in medicinal chemistry
Gupta SPJournal of Molecular Diagnostics
Tabatabaeifar S.,Larsen M.J.,Thomassen M.,Larsen S.R.,Kruse T.A.,Sørensen J.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현대 과학의 발달로 분자생물학 지식과 기술의 발달은 영양학과 식품학 분야에도 많은 응용이 가능하다. 본 과목에서는 식품영양학의 학문적, 실질적 적용에 필요한 분자생물학적 기본 지식, 연구방법 및 기법, 응용가능성 등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본 과정에서는 신약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시스템약물학적 연구기법의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시스템생물학에서 이용되는 오믹스데이터 마이닝기법, 줄기세포, 다차원 세포배양계, 세포역학계의 약물학적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의학유전학은 21세기 초 human genome project와 next generation sequencing의 발달에 힘입어 급속히 발전 해 왔다. 이를 토대로 인간 질병의 유전적 원인, 많은 유전자들의 생리, 병리적 기작에 대한 많은 이해가 도출되었다. 고급유전체의학 강의에서는 기본적인 유전학적 원리, 빠르게 변화하는 의학유전학 연구 동향, 정밀의학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의학유전학에 대한 실제적인 예시 등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분자유전학분야의 가장 최신의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이 분야에서 첨단연구를 수행 중인 과학자들의 강의와 토론을 통하여 첨단연구동향, 필수배경지식 및 실질적인 연구경험 등을 검토하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분자생물학은 DNA, RNA 및 단백질의 기능과 역할을 밝힘으로써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기초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작물유전공학의 기초가 되는 분자생물학적 기본지식을 전달하고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특히 염색체 복제, 유전자의 구조, 발현 조절기작 및 단백질 합성의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유전공학기법을 통한 작물 품종 개량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전선 / 학사
화학생물학입문에서는 화학부 학생 및 타학과/타전공 학생을 위한 과목으로 생명현상을 어떻게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조절함으로서 생명현상, 특히 인간의 질환에 관련해서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조절하고 있는가를 소개한다. 주요 내용으로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유전분자로서의 핵산, 생체고분자의 구조 및 기능, 세포막의 동적구조, 및 생체 에너지의 생성 등을 다룬다. 이러한 생체 분자의 이해는 21세기를 선도할 뇌기능 연구, 차세대 신경회로망, 유전자 치료, 신품종 개발, 단백질공학 등의 입문에 필요한 기초소양을 제공해 줄 것이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시스템생물학 교과목으로 (1) 시스템 선정 및 교란, (2) 오믹스 데이터 생산, (3) 주요 분자 선별, (4) 네트워크 모델링 및 분석, (5) 주요 조절 메커니즘 가설 수립, (6) 실험적 검증에 해당하는 시스템생물학의 기본 방법론을 수업한다. 또한 방법론 이해를 위해 필요한 오믹스 기술, 기본/심화 통계, 데이터 통합, 네트워크 분석법, 시스템 디자인/오퍼레이션 원리 등을 함께 강의함. 마지막으로 학습한 방법론의 실제 문제에 대한 간접적 경험을 습득을 위해 실제 생물학적 문제에 적용한 사례를 강의함.전선 / 대학원
생명 현상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체의 구조와 유전 정보가 사람을 포함한 주요 동식물, 미생물 등에서 최근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유전체를 구성하는 유전자들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21세기 생명과학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적 유전체학과 기능성 유전체학의 접목을 위한 생물정보의 집적 및 효과적인 활용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의사-과학자로서 필요한 분자생물학 및 세포생물학에 관련한 기초지식을 강의함으로써 인체 질환에 대한 문제에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분자세포생물학에 대하여 의과학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의학계열 출신 석사 및 박사과정의 경우 필수로 강의를 수강하여야 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분자생물학 분야의 최신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질병의 원인규명 및 새로운 치료법과 이에 관련된 신약개발 기술을 강의함. 특히 인간 유전체 연구성과에 의해 규명된 다양한 유전자와 단백질들의 기능과 상호작용, 그리고 분자수준의 새로운 예방법과 유전자 치료법 등 신개념의 의약품 개발기술을 강의함.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대학원생을 위한 고급 계산생물학 교과목으로 (1) 데이터 전처리 및 정규화(RT-PCR/western blotting data normalization), (2) 기본 통계 및 가설검증 방법(hypothesis testing, multiple testing correction, Bayesian 통계 등), (3) 다변량 통계 기반 데이터 시각화 및 회귀분석(주성분분석, 다변량 회귀분석, 주요 변수 추출 등), (4) 오믹스 데이터 기본 분석(데이터 정규화, 매핑, 발현/활성 차이 유전자/단백질 선별), (5) 타겟 분자 예측(마이크로RNA 타겟 예측 등), (6) 다양한 바이오리소스 및 활용 방법(지놈브라우져,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및 활용, 생체네트워크 모델링 및 메커니즘 예측) 등의 생물학 연구에 있어서 유용한 기본 분석 및 리소스 활용 방법들을 학습한다. (7) 단백질 예측 (단백질 서열의 특성을 예측하는 in-silico 방법). 학습한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 텀프로젝트 과제를 부여한다. 이 텀프로젝트에서는 각자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 문제에 학습한 방법을 올바르게 적용했는가를 평가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대학원생을 위한 고급 계산생물학 교과목으로 (1) 데이터 전처리 및 정규화(RT-PCR/western blotting data normalization), (2) 기본 통계 및 가설검증 방법(hypothesis testing, multiple testing correction, Bayesian 통계 등), (3) 다변량 통계 기반 데이터 시각화 및 회귀분석(주성분분석, 다변량 회귀분석, 주요 변수 추출 등), (4) 오믹스 데이터 기본 분석(데이터 정규화, 매핑, 발현/활성 차이 유전자/단백질 선별), (5) 타겟 분자 예측(마이크로RNA, 전사인자 타겟 예측 등), (6) 다양한 바이오리소스 및 활용방법(지놈브라우져,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및 활용, 생체네트워크 모델링 및 메커니즘 예측) 등의 생물학 연구에 있어서 유용한 기본 분석 및 리소스 활용 방법들을 학습한다. 학습한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 텀프로젝트 과제를 부여한다. 이 텀프로젝트에서는 각자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 문제에 학습한 방법을 올바르게 적용했는가를 평가한다.전선 / 대학원
생체에서 활성화되는 화학물질 중 free radical을 일으키는 물질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는데 인체내에서 free radical의 생성반응, 검색방법 및 각 조직별 독성 반응의 특징에 대해 강술한다. 또한 이러한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defense system을 공부하여 free radical의 생체공격과 질병과의 상관성에 대해 토론한다.전필 / 학사
일반 생물학의 전반적인 개요를 한 학기동안 다루는 과목으로써, DNA, RNA, protein에서부터 시작하여 세포의 분열 및 대사, 세포의 거동 및 생존에 관여하는 프로세싱을 이해한다.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심화된 수준에서의 이해를 도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전선 / 대학원
근래에 분자생물학이 생물학의 전반에 미치고 있는 영향은 매우 지대할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것이라 할 수있다. 미생물학의 영역에서도 분자생물학적인 접근이 아니었으면 풀기 어려웠을 많은 의문점들에 대한 분명한 해답이 하나하나 얻어지고 있다. 이제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에 의한 문제의 접근은 미생물학의 근간이 되고 있으므로 이를 포괄하는 내용을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생체내의 여러 기능을 좌우하는 단백질 및 핵산의 3차 구조와 기능의 상관 관계를 논의한다. 강의는 아미노산 & 핵산, 단백질 구조의 motif, 핵산-결합 단백질, 효소, 생체막 단백질, 생체 신호전달, 면역에 관여하는 단백질, 생체정보학에 관한 내용이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학부 과정 중에 배우는 분자세포생물학을 보다 심도있게 강의하는 핵심 기초과정의 강의라고 할 수 있음. 특히 진핵세포의 공통 특징과 각 독립된 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생식하는지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강의함. 이 강좌의 핵심주제는 세포를 구성하는 분자들의 화학적 근간과 단백질, 유전체 등의 분자들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성장과 발생과 분화 과정 등을 포함함. 분자세포생물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함께 고찰하는 심도 있는 강의를 통해 대학원생들의 연구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용을 집중적으로 교육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