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육학과
이 교과는 교육철학과 교육사를 통합한 입문 과정으로서 교직과정의 한 과목이다. 이 교과는 교육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적·실제적 쟁점에 대한 철학적 분석의 성과를 다루며, 또한 교육사의 주요 변화와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스마트도시의 지리학(M1310.000800)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9.219)
농경제 사회학부 1학년생들을 위한 기초필수과목으로 농경제사회학부의 학문분야에 대한 소개 및 분야별 주요이슈에 대한 강의를 통해 전공분야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기초정보를 제공키 위해 개설된 과목이다. 과목개설의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키 위해 학부내 모든 교수들이 최소한 1회이상 강의를 담당함으로써 각자의 전문분야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정보제공 및 학습방향을 지도하게 된다.
Agriculture cooperative in Korea
Agriculture cooperative in Korea
Policy for promotion of agricultural mechaniz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Policy for promotion of agricultural mechaniz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Open-field farming in medieval England : a stidu of village by-laws
Open-field farming in medieval England : a stidu of village by-laws
Food security in Asia and the pacific : issues for research : meeting
Food security in Asia and the pacific : issues for research : meeting
Agriculture and the state: British policy in a world context
Agriculture and the state: British policy in a world contextThe effects of HIVAIDS on farming systems in eastern Africa
The effects of HIVAIDS on farming systems in eastern Africa
Bulletin of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lletin of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food and agriculture policy : a program for Next Ten Years
Future food and agriculture policy : a program for Next Ten YearsSatisfaction of food requirements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Mali
Satisfaction of food requirements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Mali
Report of the Asian Agriculture Cooperative Conference.
Report of the Asian Agriculture Cooperative Conference.
Nepal's experience in hill agricultural Development : Proceedings
Nepal's experience in hill agricultural Development : ProceedingsReport of survey and recommendations on organizations,systems,and requirements for research in agri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in Indonesia.
Report of survey and recommendations on organizations,systems,and requirements for research in agri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in Indonesia.Agricultural price analysis.
Agricultural price analysis.
FAO agricultural services bulletin
FAO agricultural services bulletin
FAO agricultural services bulletin
FAO agricultural services bulletin
The silviculture of trees used in British forestry
The silviculture of trees used in British forestryEconomic analysis of agricultural projects
Economic analysis of agricultural projectsThe Agricultural policy of Greece.
The Agricultural policy of Greec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Cogent Food and Agriculture
Nonga C.,Zacharia I.,Mkupasi E.,Ngowi H.AGRONOMY-BASEL
Albahri, Ghosoon; Alyamani, Amal A.; Badran, Adnan; Hijazi, Akram; Nasser, Mohamad; Maresca, Marc; Baydoun, Elias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PART B-PESTICIDES FOOD CONTAMINANTS AND AGRICULTURAL WASTES
Vieira Costa, Jorge Alberto; Bastos Freitas, Barbara Catarina; Cruz, Camila Gonzales; Silveira, Jessica; Morais, Michele GrequeGeoJournal: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Mukaila, RidwanAgricultural Research
Bhagat, Vipal; Dwivedi, SudhakarHuman Ecology
Dröge S.,Poudyal M.,Hockley N.,Mandimbiniaina R.,Rasoamanana A.,Andrianantenaina N.S.,Llopis J.C.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Escribà-Gelonch, Marc; Liang, Shu; van Schalkwyk, Pieter; Fisk, Ian; Long, Nguyen Van Duc; Hessel, Volker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Xu B.,Chen W.,Zhang G.,Wang J.,Ping W.,Luo L.,Chen J.Circular Economy and Sustainability
Nkansah-Dwamena, ErnestRESEARCH JOURNAL OF TEXTILE AND APPAREL
Matlhoko, Ketshepileone Shiela; Vermaas, Jana Franie; Cronje, Natasha; van der Merwe, SeanSustainability (Switzerland)
Yang Y.,Zhang Y.,Yang Q.,Liu J.,Huang F.SN Business & Economics
Yuyun Puji Rahayu; Albertus Girik Allo; Umi Yuminarti; Elina R. SitumorangIntereconomics
Glauben T.,Svanidze M.,Götz L.,Prehn S.,Jamali Jaghdani T.,Đurić I.,Kuhn L.Law & Psychology Review
Pohlman, Nathan D.Agr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omas DaumFRONTIERS IN NANOTECHNOLOGY
Mittal, Deepti; Kaur, Gurjeet; Singh, Parul; Yadav, Karmveer; Ali, Syed Azmal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Wilson Wijeratnam, R.S.; Hewajulige, I.G.N.; Fernando, K.; Finnis, E.; Subramanian, J.; Ranmuthugala, M.E.P.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Caparas M.,Zobel Z.,Castanho A.D.A.,Schwalm C.R.Journal of Applied Ecology
Navarro-Miró D.,Blanco-Moreno J.M.,Ciaccia C.,Testani E.,Iocola I.,Depalo L.,Burgio G.,Kristensen H.,Hefner M.,Tamm K.,Bender I.,Persiani A.,Diacono M.,Montemurro F.,Willekens K.,Védie H.,Bavec M.,Robačer M.,Arlotti D.,Deltour P.,De Neve S.,Gebremikael M.T.,Chamorro L.,Caballero-López B.,Pérez-Ferrer A.,Canali S.,Sans F.X.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농업생태계 연구에 활용되어 온 원격탐사의 최신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작물 육종 및 표현형 정량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스마트 농업, 디지털 농업 등 미래의 농업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임. 과목 전반에 걸쳐 가시광선부터 극초단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파장대별 원격탐사 기술을 소개하고, 실제 작물 표현형 정량화, 육종 지원, 디지털 농업 등 농업 지원과 농업 연구에서의 활용을 논의함. 학생들은 원격탐사의 활용을 이해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음.전선 / 대학원
본 강의에서는 한반도의 산림이나 하천과 바닷가 등에 자생하는 식용 및 약용 식물로서의 농림기능성식물의 자생지 환경, 재배지 관리, 생리생태적 특성, 재배, 유전, 육종, 경제적 가치와 약리학적 효능 및 산업화에 대한 가치를 학습할 것이다. 아울러 각 식물의 식별과 분류, 유전과 품종개량, 기능성 분석과 물질추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조별 활동에서 강의 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식약용으로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발표한다. 이를 통하여 작물생명과학, 산림환경학 등 농림생물자원학부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에게 환경의 중요성 및 농림기능성식물에 대한 기초 지식과 유용자원으로서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본 과목은 농림생물자원학부로 5개 전공이 융합되었지만 전공분야별 대상과 접근이 다른 산림유전육종학과 작물생명과학 전공 교수가 협업적 팀티칭으로 공동 참여하여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산림분야와 작물분야를 구분하지 않고 두 분야의 학문적 시각 차이와 접근 방법 등에 대한 차별성을 극복하고 장점은 활용하여 두 분야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수업을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농작물의 재배, 생리, 생태 등에 관련한 연구과제에 대해 발표와 토론을 하도록 한다. 농학 관련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보고서를 작성함은 물론 그 결과를 발표하여 토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농학 연구의 타당한 계획수립, 구체적인 방법론 확립, 합리적인 결과의 해석 및 발표능력 함양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다양한 농업자원의 유전형과 환경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영양성분의 가치를 식품의 관점에서 학습한다. 영양소로는 생명현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그리고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을 포함한 물질을 포함하며, 이의 구조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기능을 그 학습내용에 포함한다. 또한 관련 최신 연구의 동향을 학습하며, 이는 발표와 토론의 형태로 진행한다.전필 / 대학원
국가는 가용자원의 합리적인 배분을 통하여 성장하는데, 대부분 농업 부문의 개발을 통하여 초기자본을 축적한 후 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산업화된 현대 국가로 성장하게 된다. 본 과목은 개발경제에 대한 기초적이면서도 사회과학적인 측면과 경제학적 이론을 개괄적인 수준에서 학습한 후, 농업 부문이 국가성장에 어떠한 방식으로 연계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국제농업개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이슈인 UN의 MDGs, Post-2015 개발의제, 원조의 효과성, 개발의 효과성, 무역과 원조, 비구속성 원조 등을 학습하고, 나아가 민관협력 등 원조의 방식에 대한 이해, 농업부문 원조의 현황과 애로점 등을 학습한다. 또한 기업활동과 연관이 있는 농업부문 해외투자, 특히 한국의 해외농업개발에 대한 다양한 협력사례도 살펴보게 된다. 본 과목은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이 지향하는 개발도상국가와의 농업기술 협력과 관련하여 원조와 개발협력의 기초적인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농업에 적합한 작물 개발에 필요한 정밀육종 기술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필요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전자교정에 필요한 유전자 형질 선정, 유전자교정을 위한 벡터 개발, 형질전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유전자교정 식물체 선발 등 정밀육종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술을 배운다. 이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정밀육종 기술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스마트농업에 적합한 작물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필수 기술을 갖추도록 한다. 본 실습 과정을 통해 수강생은 정밀육종 기술의 기본 원리를 탐구하고 작물 개발에 필요한 주요 방법론에 대한 숙련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습 교과목에서 다루는 주제에는 정밀육종의 원리, 벡터 개발, 형질전환기술, 유전자 편집 식물 선발법 등이 포함된다.전선 / 대학원
전 세계적으로 닭고기의 생산과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계란의 경우에는 완전식품으로서 높은 영양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가금 산업의 중요성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강의를 통해서 세계 가금 산업과 발전 현황,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가금 산업 및 사육 현황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대량 생산 체계뿐만 아니라 본 강의를 통해서는 지속 가능한 가금 생산 기술 습득 및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소규모 가금 사양 기술을 습득하고자 한다. 이에 청정생산 공정 체계 연구, Backyard poultry farming 현황 및 생산성 향상 방안, 소규모 가금을 위한 사육 전략 연구 등 다양한 내용으로 통합적 이해 및 기술 활용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농식품관련산업의 주요 이슈들에 대한 경제학적 실증 분석기법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동 분야의 실증적 연구 수행에 기초를 마련한다. 실증적인 연구 수행을 위하여 기존 발표 논문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시도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농작물의 재배, 생리, 생태 등에 관련한 연구과제에 대해 발표와 토론을 하도록 한다. 농학 관련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보고서를 작성함은 물론 그 결과를 발표하여 토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농학연구의 타당한 계획수립, 구체적인 방법론 확립, 합리적인 결과의 해석 및 발표능력 양양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교직 / 학사
이 강좌는 중등학교에서 식물자원/조경, 동물자원, 농공, 식품가공, 농산물유통 등의 과목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직무들을 교사 후보생으로 하여금 체계적으로 수행하게 하여 실무 역량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본 강좌에서는 교사윤리, 사회변화와 교육, 진로교육, 학교,학급경영, 학사,인사,행정실무 등 중등학교 교사로서 학습지도 영역 이외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영역을 포괄하여 주제별로 운영한다. 또한, 관련 근거를 준거로 하여 업무를 추진하도록 각 관련 법령들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한다.전선 / 대학원
국제농업개발협력은 크게 국제농업에 있어 개발과 협력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발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데, 경제적 측면에서는 개발경제학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즉 경제성장에 대한 거시모형을 간단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개발의 미시적인 효과성 측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따라서 미시경제학적인 접근법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다. 한편 협력은 공적인 영역에서 ODA와 같은 정부간 협력도 있으며, 민간 NGO를 중심으로 한 민간차원의 협력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협력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현실적인 컨설팅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협력 부분에 대한 학문적 연구과 이에 대한 다양한 현실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한국의 경우 해외농업개발 부분이 중요하다. 이는 정부의 식량안보 정책에 기반을 두면서도 기업들의 해외개발 수요에 부응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식량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또한 국제농업개발협력에서 하나의 중요한 주제로 학습하게 될 것이다. 본 과목은 수강생들로 하여금 이러한 국제농업에 대한 개발협력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는데 기여한다.전선 / 학사
농산업경영실습은 농업경제학을 전공한 졸업 예정 학생들의 전공 관련 분야의 진로와 기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졸업 및 사회진출을 준비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과목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농산업경영 현장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본 교과목은 국내 유수 기업에 진출한 최근 졸업생 및 경영진의 강의와 기업현장 방문 등으로 이루어진다.전선 / 대학원
본 수업에서는 경제개발과 환경퇴화의 관계를 탐구하고 현재까지 제시되어온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지속가능성 문제의 지역적인 범위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모두 포함하고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정치적 방면의 지속가능한 경제개발성과에 대하여 모색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농림생물자원학부에 소속된 작물생명과학, 원예생명공학, 산림환경학, 환경재료과학, 바이오소재공학의 5개 전공 재학생들에게 농림생물자원 분야 전반에 걸쳐 농림생물자원 소재에 대한 생산, 생명공학, 가공, 바이오산업 등 통합 융합 학문의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정보 교류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각 전공의 세부적인 지식을 공유할 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을 경험하기 위하여 외부 산업체, 소속 전임교원, 연구원 및 대학원생들이 참여하여 적극적인 토론을 통해 분야 간의 소통과 협력 연구를 도모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작물 재배를 위한 환경은 작물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조절된다. 작물의 생장 특성을 이해하고 환경 또는 생육 단계 변화에 따른 표현형 정보를 올바르게 계측하는 것은 작물 생산의 생력화, 자동화 및 최적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생장 지수, 기체 교환, 엽록소 형광 등의 식물 생장 지표를 소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응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함으로써 정밀농업 분야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초 지식과 전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