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육학과
이 교과는 교육철학과 교육사를 통합한 입문 과정으로서 교직과정의 한 과목이다. 이 교과는 교육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적·실제적 쟁점에 대한 철학적 분석의 성과를 다루며, 또한 교육사의 주요 변화와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추구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본 교과목에서는 조경학 및 지역시스템공학의 개론에 대하여 강의한다. 조경 부분에서는 조경학을 전공하는 학생과, 조경학에 관심을 가진 학생들에게 조경학 전반의 기초를 소개하는 조경학 개론이 강의된다. 지역시스템공학 부분에서는 미래복지사회에 필요한 전원공간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공학적요소를 담당하며, 이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지역시스템 공학에 대한 소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개론을 강의한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 기후, 땅, 지형, 물, 식생, 경관 등 조경에서 다루는 주요 요소와, 단지 계획과 개발, 동선계획, 조경식재, 입체공간과 시각경관의 설계, 주거지 계획, 도시설계, 광역조경계획 등을 학습하고, 국내외 각종 유명 조경 사례를 시청각자료와 문헌 등을 통해 공부하고, 현장답사도 실시할 계획이다. 지역시스템을 구성하는 물, 공기, 토지 등의 자연자원의 관리, 생산자원 관리, 농촌공간 구성을 위한 공학 기술의 전반적인 소개와 수자원 시스템, 지역 환경공학, 농촌시스템 공학, 자연자원 관리를 위한 컴퓨터 응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서도 다루어지며, 현장 견학을 통하여 실제로 구현된 사례를 살펴 볼 수 있도록 한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수학 1(F31.104) , 물리학(F33.105)
본 교과목에서는 조경학 및 지역시스템공학의 개론에 대하여 강의한다. 조경 부분에서는 조경학을 전공하는 학생과, 조경학에 관심을 가진 학생들에게 조경학 전반의 기초를 소개하는 조경학 개론이 강의된다. 지역시스템공학 부분에서는 미래복지사회에 필요한 전원공간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공학적요소를 담당하며, 이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지역시스템 공학에 대한 소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개론을 강의한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 기후, 땅, 지형, 물, 식생, 경관 등 조경에서 다루는 주요 요소와, 단지 계획과 개발, 동선계획, 조경식재, 입체공간과 시각경관의 설계, 주거지 계획, 도시설계, 광역조경계획 등을 학습하고, 국내외 각종 유명 조경 사례를 시청각자료와 문헌 등을 통해 공부하고, 현장답사도 실시할 계획이다. 지역시스템을 구성하는 물, 공기, 토지 등의 자연자원의 관리, 생산자원 관리, 농촌공간 구성을 위한 공학 기술의 전반적인 소개와 수자원 시스템, 지역 환경공학, 농촌시스템 공학, 자연자원 관리를 위한 컴퓨터 응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서도 다루어지며, 현장 견학을 통하여 실제로 구현된 사례를 살펴 볼 수 있도록 한다.
Detail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Detail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West 8
West 8
Land forum.
Land forum.
Housing moves on : architects and their views = Positionen zum Wohnungsbau
Housing moves on : architects and their views = Positionen zum Wohnungsbau
Landscape architectural graphic standards
Landscape architectural graphic standards
Performative materials in architecture and design
Performative materials in architecture and design
Romantic gardens : nature, art, and landscape design
Romantic gardens : nature, art, and landscape design
Dictionary of Today's Landscape Designers
Dictionary of Today's Landscape Designers
Structure : an architect's approach
Structure : an architect's approachHow I made the world : shaping a view of landscape
How I made the world : shaping a view of landscape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 illustration appendix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 illustration appendix
Great streets
Great streets
Landscapes
Landscapes
Airport Architecture
Airport Architecture
A material life : adventures & discoveries in materials research
A material life : adventures & discoveries in materials research
Geoffrey Jellicoe : the studies of a landscape designer over 80 years
Geoffrey Jellicoe : the studies of a landscape designer over 80 years
Green roofs in sustainable landscape design
Green roofs in sustainable landscape designKremgylilafatroy·Nagboul : happy architecture in a real world
Kremgylilafatroy·Nagboul : happy architecture in a real world
The architecture of bathing : body, landscape, art
The architecture of bathing : body, landscape, artDutch architecture after 1900
Dutch architecture after 1900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Bernabei M.,Marchese F.International Journal of Architectural Computing
Robson Canuto; Reinhard Koenig; Angelos Chronis; Theodore Galanos; Gabriela CelaniSustainability and Climate Change
Nurul Hidayah Mohd AliMobile Information Systems
YunJuan Sun; Fang JiangSUSTAINABILITY
Ronsivalle, DanieleThe Journal of Architecture
Lerma, Carlos; Borràs, Júlia G.; Vercher, Jose; Mas, Ángeles; Gil, Enrique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Thompson V.D.JOURNA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LOGY
Yu Xianxian; Ni Changhuizi; Bi Yifei; Yuan ShengyuanSAGE Open
Zhu H.,Ang L.H.,Mansor N.S.,Lam K.C.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임기택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홍성원Journal of King Saud University - Science
Li F.,Lin B.,Meng K.Applied Acoustics
Kuri A.B.,Pérez R. S.J.Space and Culture
McDuie-Ra D.Applied Sciences (Switzerland)
Xiao G.,Tong C.,Wang Y.,Guan S.,Hong X.,Shang B.한국환경과학회지
Sang Sup Shin, JaeBuilding Simulation
Amraoui K.,Sriti L.,Di Turi S.,Ruggiero F.,Kaihoul A.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You X.,Zhang Y.,Tu Z.,Xu L.,Li L.,Lin R.,Chen K.,Chen S.,Ren W.高等建筑教育 / Journal of Architectural Education in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李奕成; 耿华峥; 刘磊; 周建华; LI Yicheng; GENG Huazheng; LIU Lei; ZHOU JianhuaJournal of Urban Design
Miller B.J.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문화경관은 인간과 자연환경 사이의 관계를 반영한 지리적 구역, 즉, 인간에 의해 설계되거나, 자연적으로 진화되거나, 특정한 그룹의 사람에게 의미를 지니는 경관을 말한다. 이 과목에서는 복잡한 문화경관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화경관의 구분, 해석, 평가, 보전 및 미래 경관조성에의 응용 등을 위한 능력을 기른다. 특히 문화경관해석 방법 및 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커뮤니티 참여방법을 현장에서 실습을 한다.전선 / 대학원
한국건축의 역사적인 특성을 고찰하고 한국건축양식발전의 기본이 된 지리적, 사회적, 경제적 배경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사례 연구와 참고문헌 분석 및 세미나 발표를 통하여 한국건축에 대한 이해를 깊이하며, 중국건축과의 비교를 통하여 특성을 파악한다.전선 / 대학원
동시대의 조경디자인은 전 세계 각 문화권의 트렌드, 도시정책의 변화와 기술적 진화에 발맞추어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 강의는 최근 주목할만한 아시아권과 서구권의 공모전 당선작과 개발 사례들을 실례로 최신의 조경전략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한국의 조경작품들을 함께 살피며 조경 설계 및 계획분야의 개선방안과 새로운 가능성을 고찰한다.전필 / 학사
고대로부터 근세이전까지 건축과 도시의 역사 및 이에 관한 이론의 변화를 개관한다. 시대별로 건축개념과 양식적 표현, 건축유형과 구축술의 변화와 발전을 학습한다. 각각의 역사적, 지역적 범주에서 건축양식과 형태가 결정되는데 건축가와 건축주의 역할과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문화적 요소의 복합적 작용을 이해한다.교양 / 학사
『건축학개론』은 건축의 사회‧문화적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건축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기초 교과목이다. 학생들은 건축적 사고를 통해 공간의 의미를 탐색하고, 시대별 건축의 특징을 비교하며 문화적 감수성을 키운다. 또한 친환경 설계, 에너지 효율, 스마트 빌딩 등 현대 건축의 주요 이슈를 학습하며 창의적 사고와 실용적 지식을 균형 있게 배양한다. 본 교과목은 다양한 건축 주제를 주차별로 구성된 모듈을 통해 체계적으로 다루며, 건축물 답사, 팀 및 개인 발표, 토론 등 참여형 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협업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조경학분야에서 연구나 설계의 주대상이 되고 있는 경관을 이해하고 경관의 특성을 파악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는 경관의 질과 경관의 미적 가치에 대한 객관적 평가방법을 습득하고 경관평가에 따른 기법상의 문제점들을 논의하고 경관의 의미와 해석 등에 관해서도 다루게 될 것이다.전필 / 학사
이 강의는 서양의 역사 속에 용해되어 있는 조경 문화를 조감함으로써 조경 양식의 변천사를 학습하고 현 시대 조경 실천의 역사성을 재발견하는데 초점을 둔다. 또한 이 강의에서는 조경 설계의 실천과 상호 작용해 온 철학과 이론의 흐름을 이해하고 그 쟁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조경의 학문적, 예술적 기예에 관해 중요한 문제를 발제하고, 이를 단원별로 검토하는 세미나 과목이다. 토론되어야 하는 과제는 원칙적으로 학생들의 희망 연구과제를 기초로 확정한다.전선 / 대학원
단지설계는 고급 수준의 정원설계라는 의미로서 이해하기보다는 하나의 단지수준에서 조경설계 기술이 원용될 수 있는 공간과 장소 적인 범위의 토지에 대한 설계기예를 학습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정원설계의 범위를 넘어서, 특정주제를 표방하는 상징공간이나 기념공간, 그리고 새로운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조경공간의 창출을 염두에 두고, 그러한 공간의 설계에 관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예술적 수준의 향상이라는 데에 과목의 일차적인 관심이 있는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첫째로, 우리나라와 외국 도시의 도시환경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도시환경의 여러 가지 변화를 고찰해 보면서 이러한 도시환경 변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와 사상들을 파악해 보고, 둘째로, 이러한 도시환경 변화과정 속에서 발생했던 도시계획, 건축, 조경, 도시설계 사례에서 나타난 계획가와 설계가의 설계철학, 설계안목, 설계가치, 설계방법론 등을 함께 연구해 본다.전선 / 대학원
건조환경 내의 각 공간의 상관관계를 정략적으로 분석하여 그 공간배치 패턴에 내재하는 사회, 문화적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을 다룬다. 여기 쓰여지는 분석모델로는 Visual Access and Exposure Model 및 Spaces Syntax Model이 있다. 이 공간분석학의 응용분야로는 주거문화사 건축사회학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범죄예방, 방재계획의 모듈로서 응용되기도 하며, 상업건축설계, 도시설계, 조경설계 등의 설계 실무에도 응용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우리나라는 2007년 경관법을 제정하였고, 그에 따라 많은 지자체가 경관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이 교과목은 도시설계 전공 학생들이 알아야하는 우리나라 경관법령, 경관보전이나 경관 조성 관련 외국법제, 경관계획과 설계 국내외 사례를 숙지하고, 대상지를 선정하여 경관 계획과 설계를 실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관계획과 설계 실무 전문성을 갖추도록 교육, 훈련하고자한다. 미국 Scenic America나 영국 CPRE (Campaign to Protect Rural England)같은 전문가/시민 단체가 경관보전과 개선을 위해 수행하는 활동도 학습하여 우리나라에서 “행동하는 경관 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목표도 포함한다.전필 / 학사
도시공원은 비교적 근대적은 도시현상이다. 서구에 해당되는 이야기이겠지만 오래된 도시현상이라 할 수 있는 정원, 묘지, 장터 등과는 달리 공원은 17세기가 되서야 발생하기 시작한 사회의 휴양공간으로서 의도적으로 계획되고 설계된 공공장소를 그 출발점으로 두고 있다. 지난 200여년 동안 조성된 대규모 도시공원의 개발은 크게 세가지의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그 첫 번째는 개인과 공공의 즐거움과 웰빙을 제공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이상적인 도시구조의 형태나 개념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자연계와 문화계를 연결하는 예술적인 작품으로서 존재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