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조경설계를 위한 컴퓨터그래픽을 기초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분야로 나눠 학습하며, CAD소프트웨어를 활용한 2D와 3D 모델링, 설계, 분석기법 등을 학습한다. 수업은 주로 실습과 과제를 통해 이루어지며 OS, 워드프로세서 등 컴퓨터에 대한 기본지식이 요구된다.농경제사회학부
농업경제에 관한 기초이론을 이해시킴과 아울러 그 이론을 현실적인 농업문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함양케 하는 데 목적을 두고, 특히 일반경제현상과 구별되는 바의 농업경제현상의 특수성을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구체적으로는 농업 및 생산경영이론, 농산물가격이론, 농산물유통이론, 농업금융이론, 농업자원 및 환경경제이론, 농업성장과 발전이론, 농촌개발, 농업협동조합이론, 농업정책이론 등을 학습한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농경제사회학입문(500.165) , 경제원론 1(M2649.001100)
농업경제에 관한 기초이론을 이해시킴과 아울러 그 이론을 현실적인 농업문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함양케 하는 데 목적을 두고, 특히 일반경제현상과 구별되는 바의 농업경제현상의 특수성을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구체적으로는 농업 및 생산경영이론, 농산물가격이론, 농산물유통이론, 농업금융이론, 농업자원 및 환경경제이론, 농업성장과 발전이론, 농촌개발, 농업협동조합이론, 농업정책이론 등을 학습한다.
Your farming program
Your farming program
Innovations in agricultural techn.in ThailandNational Seminar Report No.3;organizer Siribongse Boon-Long
Innovations in agricultural techn.in ThailandNational Seminar Report No.3;organizer Siribongse Boon-LongExport potentials of tropical agricultural products in Asia and the Pacific
Export potentials of tropical agricultural products in Asia and the Pacific
Intensification of hill country farming
Intensification of hill country farming
Processing agricultural and municipal wastes : symposium
Processing agricultural and municipal wastes : symposium
The future of mountain agriculture
The future of mountain agriculture
Building the homestead : agriculture, labour and beer in South Africa's Transkei
Building the homestead : agriculture, labour and beer in South Africa's Transkei
Agricultural insurance in Asia planning and practices
Agricultural insurance in Asia planning and practices
Crisis in agriculture : the agricultural adjustment, administration and the New Deal 1933
Crisis in agriculture : the agricultural adjustment, administration and the New Deal 1933
International agricultural trade disputes : case studies in North America
International agricultural trade disputes : case studies in North AmericaFood design
Food design
North Atlantic policy : the agricultural gap
North Atlantic policy : the agricultural gapWomen in agriculture
Women in agriculture
Saline agriculture: salt-tolerant plants for developing countries:report of a Panel of the Board 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Office of International Affairs,National Research Council.
Saline agriculture: salt-tolerant plants for developing countries:report of a Panel of the Board 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Office of International Affairs,National Research Council.
Rural and farming systems analysis European perspectives
Rural and farming systems analysis European perspectivesGrowth and adjustment in national agricultures : four case studies and an overview
Growth and adjustment in national agricultures : four case studies and an overview
Urban water engineering and management
Urban water engineering and management
Radioisotopes in biology and agriculture : principles and practic
Radioisotopes in biology and agriculture : principles and practic
XI International Congress,the Use of Plastics in Agriculture
XI International Congress,the Use of Plastics in Agriculture
Feeding and greening the world : the role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 Derek E. Tribe.
Feeding and greening the world : the role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 Derek E. Tribe.Price theory and applications
Price theory and applications
Advanced microeconomic theory
Advanced microeconomic theory
Microeconomic theory : basic principles and extensions
Microeconomic theory : basic principles and extensions
Microeconomic theory : basic principles and extensions
Microeconomic theory : basic principles and extensionsPrice theory and applications
Price theory and applications
Economics and management of the food industry
Economics and management of the food industry
Intermediate microeconomics : a modern approach
Intermediate microeconomics : a modern approach
농업경제학
농업경제학
Microeconomic theory : concepts and connections
Microeconomic theory : concepts and connections
Microeconomic theory : basic principles and extensions
Microeconomic theory : basic principles and extensionsPrice theory and applications
Price theory and applicationsPrice theory and applications
Price theory and applications
Game theory for applied economists
Game theory for applied economists
Intermediate microeconomics : with calculus
Intermediate microeconomics : with calculus농산물가격론 : 이론과 정책
농산물가격론 : 이론과 정책Food Policy
Khan M.F.,Nakano Y.,Kurosaki T.C&EN Global Enterprise
null Craig BettenhausenJournal of the Saudi Society of Agricultural Sciences
Al Hinai A.,Jayasuriya H.CABI Agriculture and Bioscience
Villanueva D.,Enriquez Y.,Capilit G.L.Organic Agriculture
Suwanmaneepong S.,Kerdsriserm C.,Lepcha N.,Cavite H.J.,Llones C.A.创新创业理论研究与实践 / The Theory and Pracice of Innovation And Entreptrneurship
陆文利; 李增安; 孔令广; LU Wenli; LI Zengan; KONG LingguangBiological Conservation
Agronomy
Marino S.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Gao B.,Wang L.,Cai Z.,Huang W.,Huang Y.,Cui S.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Balakrishnan Solaraju-Murali; Louis-Philippe Caron; Nube Gonzalez-Reviriego; Francisco J Doblas-ReyesWorld Development
Hirpa Tufa A.,Alene A.D.,Cole S.M.,Manda J.,Feleke S.,Abdoulaye T.,Chikoye D.,Manyong V.Global Environmental Change
Escobar N.,Tizado E.J.,zu Ermgassen E.K.H.J.,Löfgren P.,Börner J.,Godar J.농촌계획
안계복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Thomas, Steve; Ausseil, Anne-Gaelle; Guo, Jing; Herzig, Alexander; Khaembah, Edith; Renwick, Alan; Teixeira, Edmar; van der Weerden, Tony; Wakelin, Steve; Vetharaniam, Indrakumar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Chengot R.,Knox J.W.,Coxon G.,Cojocaru G.,Holman I.P.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Zamani O.,Grundmann P.,Libra J.A.,Nikouei A.Outlook on Agriculture
Kumar K.K.,Moharaj P.Frontiers in Sustainable Food Systems
Bahta S.,Temoso O.,Ng'ombe J.N.,Rich K.M.,Baker D.,Kaitibie S.,Malope P.ENVIRONMENTAL TECHNOLOGY & INNOVATION
Rahman, Md Hafizur; Haque, K. M. Shamsul; Khan, Md Zaved HossainAmbio
Christensen B.T.,Pedersen B.F.,Olesen J.E.,Eriksen J.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다양한 농업자원의 유전형과 환경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영양성분의 가치를 식품의 관점에서 학습한다. 영양소로는 생명현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그리고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을 포함한 물질을 포함하며, 이의 구조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기능을 그 학습내용에 포함한다. 또한 관련 최신 연구의 동향을 학습하며, 이는 발표와 토론의 형태로 진행한다.교직 / 학사
이 강좌는 중등학교에서 식물자원/조경, 동물자원, 농공, 식품가공, 농산물유통 등의 과목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직무들을 교사 후보생으로 하여금 체계적으로 수행하게 하여 실무 역량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본 강좌에서는 교사윤리, 사회변화와 교육, 진로교육, 학교,학급경영, 학사,인사,행정실무 등 중등학교 교사로서 학습지도 영역 이외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영역을 포괄하여 주제별로 운영한다. 또한, 관련 근거를 준거로 하여 업무를 추진하도록 각 관련 법령들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지역공간에서 농업 및 농촌 활동에 따른 수질 및 대기 환경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작과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학적인 원리에 기반한 최적 관리기법에 대해 공부한다. 이를 바탕으로 농업의 수질/수생태, 온실가스 배출 기작에 대한 공학적 이론에 수리/수문학의 원리를 접목하여 수리-수질-수생태를 연계한 하천 서식처 적합성 평가기법에 대해 배우고, 작물재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과 최적 관리기법에 대해 공부한다. 이를 통해 하천 및 지역환경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현장 특성을 고려한 공학적 해법을 도출하는 역량을 키운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에서는 지역수자원시스템공학 과목에서 강의된 지역수자원시스템의 구성요소, 지역수자원시스템공학에서 다루는 수자원 계획과 댐 구조물 설계를 위한 전반적인 공학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공학적 기술을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역수자원시스템 설계 및 실습 과정에서 팀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서 실제 문제에 대한 적응 능력을 갖도록 한다. 이 과목을 수강하기 위하여 "지역수자원시스템공학“을 필수적으로 수강하여야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농작물의 재배, 생리, 생태 등에 관련한 연구과제에 대해 발표와 토론을 하도록 한다. 농학 관련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보고서를 작성함은 물론 그 결과를 발표하여 토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농학연구의 타당한 계획수립, 구체적인 방법론 확립, 합리적인 결과의 해석 및 발표능력 양양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국제농업개발협력은 크게 국제농업에 있어 개발과 협력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발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데, 경제적 측면에서는 개발경제학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즉 경제성장에 대한 거시모형을 간단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개발의 미시적인 효과성 측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따라서 미시경제학적인 접근법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다. 한편 협력은 공적인 영역에서 ODA와 같은 정부간 협력도 있으며, 민간 NGO를 중심으로 한 민간차원의 협력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협력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현실적인 컨설팅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협력 부분에 대한 학문적 연구과 이에 대한 다양한 현실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한국의 경우 해외농업개발 부분이 중요하다. 이는 정부의 식량안보 정책에 기반을 두면서도 기업들의 해외개발 수요에 부응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식량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또한 국제농업개발협력에서 하나의 중요한 주제로 학습하게 될 것이다. 본 과목은 수강생들로 하여금 이러한 국제농업에 대한 개발협력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는데 기여한다.전선 / 학사
농업생태계 연구에 활용되어 온 원격탐사의 최신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작물 육종 및 표현형 정량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스마트 농업, 디지털 농업 등 미래의 농업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임. 과목 전반에 걸쳐 가시광선부터 극초단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파장대별 원격탐사 기술을 소개하고, 실제 작물 표현형 정량화, 육종 지원, 디지털 농업 등 농업 지원과 농업 연구에서의 활용을 논의함. 학생들은 원격탐사의 활용을 이해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음.전선 / 대학원
국제 농산물들의 생화학 개론을 포함하여 생화학적 원리(Principle of Biochemistry)와 함께 농산물별 수용성 비타민과 효소학,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핵산 등의 정보를 식품과 관련하여 강의. 또한 최근에 발표되는 중요한 관련 문헌들을 논의 함.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주제를 설계하며, 필요한 연구 기술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실습함.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수직농업에 관련된 이론과 실용화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구체적으로, 실용적 관점에서 필요한 수직농업 기초 이론, 환경생리, 식물생산 기술, 운영 방법 등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육묘, 작물 생산, 수경재배, 그리고 인공광 응용기술에 관한 내용을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농작물의 재배, 생리, 생태 등에 관련한 연구과제에 대해 발표와 토론을 하도록 한다. 농학 관련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보고서를 작성함은 물론 그 결과를 발표하여 토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농학 연구의 타당한 계획수립, 구체적인 방법론 확립, 합리적인 결과의 해석 및 발표능력 함양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축산식품 품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측정 방법의 원리를 품질요소별로 공부하고, 생산자가 의도하거나 소비자들이 원하는 품질의 축산식품을 지속가능하게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문헌 조사와 토론을 통해 공부함으로써 품질을 과학적으로 심도 있게 이해시킨다. 또한, 축산식품 품질의 진화방향, 품질개선이나 품질평가 방법을 위한 최신 기술을 소개한다.전필 / 대학원
국가는 가용자원의 합리적인 배분을 통하여 성장하는데, 대부분 농업 부문의 개발을 통하여 초기자본을 축적한 후 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산업화된 현대 국가로 성장하게 된다. 본 과목은 개발경제에 대한 기초적이면서도 사회과학적인 측면과 경제학적 이론을 개괄적인 수준에서 학습한 후, 농업 부문이 국가성장에 어떠한 방식으로 연계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국제농업개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이슈인 UN의 MDGs, Post-2015 개발의제, 원조의 효과성, 개발의 효과성, 무역과 원조, 비구속성 원조 등을 학습하고, 나아가 민관협력 등 원조의 방식에 대한 이해, 농업부문 원조의 현황과 애로점 등을 학습한다. 또한 기업활동과 연관이 있는 농업부문 해외투자, 특히 한국의 해외농업개발에 대한 다양한 협력사례도 살펴보게 된다. 본 과목은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이 지향하는 개발도상국가와의 농업기술 협력과 관련하여 원조와 개발협력의 기초적인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에서는 한반도의 산림이나 하천과 바닷가 등에 자생하는 식용 및 약용 식물로서의 농림기능성식물의 자생지 환경, 재배지 관리, 생리생태적 특성, 재배, 유전, 육종, 경제적 가치와 약리학적 효능 및 산업화에 대한 가치를 학습할 것이다. 아울러 각 식물의 식별과 분류, 유전과 품종개량, 기능성 분석과 물질추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조별 활동에서 강의 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식약용으로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발표한다. 이를 통하여 작물생명과학, 산림환경학 등 농림생물자원학부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에게 환경의 중요성 및 농림기능성식물에 대한 기초 지식과 유용자원으로서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본 과목은 농림생물자원학부로 5개 전공이 융합되었지만 전공분야별 대상과 접근이 다른 산림유전육종학과 작물생명과학 전공 교수가 협업적 팀티칭으로 공동 참여하여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산림분야와 작물분야를 구분하지 않고 두 분야의 학문적 시각 차이와 접근 방법 등에 대한 차별성을 극복하고 장점은 활용하여 두 분야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수업을 진행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농업을 비롯한 보건, 교육, 환경, 자원 등 다양한 주제의 국제개발협력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경제학적 방법론을 배우고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효과성평가 방법론과 더불어 실제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효과성평가 연구를 설계하고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고, 설문자료 수집하고 관리하는 과정과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다양한 최신 효과성 평가 사례 분석과 실제 자료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국제개발 효과성평가의 이론과 적용에 대해 공부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의 기본 개념과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농업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우는 것을 학습 목표로 한다. 인공지능 기술 분야인 전문가시스템, 퍼지이론, 유전 알고리즘, 인공신경망 및 딥러닝에 대해서 학습한다. 학습한 개념들의 농업 적용과 활용 사례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실제 농업 현장에 응용하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농업에 적합한 작물 개발에 필요한 정밀육종 기술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필요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전자교정에 필요한 유전자 형질 선정, 유전자교정을 위한 벡터 개발, 형질전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유전자교정 식물체 선발 등 정밀육종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술을 배운다. 이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정밀육종 기술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스마트농업에 적합한 작물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필수 기술을 갖추도록 한다. 본 실습 과정을 통해 수강생은 정밀육종 기술의 기본 원리를 탐구하고 작물 개발에 필요한 주요 방법론에 대한 숙련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습 교과목에서 다루는 주제에는 정밀육종의 원리, 벡터 개발, 형질전환기술, 유전자 편집 식물 선발법 등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