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조경설계를 위한 컴퓨터그래픽을 기초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분야로 나눠 학습하며, CAD소프트웨어를 활용한 2D와 3D 모델링, 설계, 분석기법 등을 학습한다. 수업은 주로 실습과 과제를 통해 이루어지며 OS, 워드프로세서 등 컴퓨터에 대한 기본지식이 요구된다.농경제사회학부
농업경제에 관한 기초이론을 이해시킴과 아울러 그 이론을 현실적인 농업문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함양케 하는 데 목적을 두고, 특히 일반경제현상과 구별되는 바의 농업경제현상의 특수성을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구체적으로는 농업 및 생산경영이론, 농산물가격이론, 농산물유통이론, 농업금융이론, 농업자원 및 환경경제이론, 농업성장과 발전이론, 농촌개발, 농업협동조합이론, 농업정책이론 등을 학습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이 과목은 기본적인 공간디자인 원칙과 기본 개념에 대한 환경/디자인 과목이다. 여러 개의 공간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개발과 디자인 기술을 배우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학생들은 기본적인 디자인 이론을 배움과 동시에 디자인 연습을 통하여 공간디자인을 배우게 된다. 이용자와 환경에 맞게 인간이 주어진 환경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 할 것이다. 평가방법은 프로젝트 제출로 하며, 시험은 없다.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며, 영어/한국어가 가능한 수업조교가 참여한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조경·지역시스템공학개론(500.173) , 교육철학 및 교육사(700.003)
이 과목은 기본적인 공간디자인 원칙과 기본 개념에 대한 환경/디자인 과목이다. 여러 개의 공간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개발과 디자인 기술을 배우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학생들은 기본적인 디자인 이론을 배움과 동시에 디자인 연습을 통하여 공간디자인을 배우게 된다. 이용자와 환경에 맞게 인간이 주어진 환경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 할 것이다.
평가방법은 프로젝트 제출로 하며, 시험은 없다.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며, 영어/한국어가 가능한 수업조교가 참여한다.
The Teaching and assess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he Teaching and assess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Developing support systems for rural teach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Developing support systems for rural teach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Research on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 a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professional development
Research on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 a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professional development
Social diversity within multiliteracies : complexity in teaching and learning
Social diversity within multiliteracies : complexity in teaching and learning
Intergroup relations in teacher education : an analytical study of Intergroup Education in Colleges an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functions, current expressions, and improvement
Intergroup relations in teacher education : an analytical study of Intergroup Education in Colleges an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functions, current expressions, and improvement
専門職の報酬と職域 =
専門職の報酬と職域 =
METAVERSE BUSINESS CREATIVITY 메타버스 혁신창업 대학교재
METAVERSE BUSINESS CREATIVITY 메타버스 혁신창업 대학교재This year in school science : scientific literacy ... Papers from the 1989 AAAS forum for School Science
This year in school science : scientific literacy ... Papers from the 1989 AAAS forum for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orizing and teacher education : complicating conjunctions
Curriculum theorizing and teacher education : complicating conjunction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LI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LIL teachers
Teacher education through classroom evaluation :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IT-INSET
Teacher education through classroom evaluation :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IT-INSET
Equity in STEM Education Research : Advocating for Equitable Attention
Equity in STEM Education Research : Advocating for Equitable Attention
Emerging technologies for the classroom : a learning sciences perspective
Emerging technologies for the classroom : a learning sciences perspectiveLearning for employment : second report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y in Europe
Learning for employment : second report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y in Europe
Reading in general psychology
Reading in general psychology
교육학 인간에게 다가서다 : 학교교육을 생각한다
교육학 인간에게 다가서다 : 학교교육을 생각한다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 1-3주기 초.중.고등학교 종합 분석 연구 =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 1-3주기 초.중.고등학교 종합 분석 연구 =
Inside the box : a proven system of creativity for breakthrough results
Inside the box : a proven system of creativity for breakthrough results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and music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职业技术教育 /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陈春霞; 李娜; 陈朝阳; Chen Chunxia; Li Na; Chen ChaoyangEducational Research for Policy and Practice
Kaur K.,Lim-Ratnam C.辽宁高职学报 / Journal of Liaoning Higher Vocational
牟贺贺; MU He-he辽宁高职学报 / Journal of Liaoning Higher Vocational
许志军; 刘玉梅; 宝尔江·叶波拉提; 田晓楠; 王婉祺; XU Zhi-jun; LIU Yu-mei; Baoerjiang Yepolati; TIAN Xiao-nan; WANG Wan-qi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Jiangsu Institute of Commerce
李国彦; LI Guo-yanCommunication Teacher
Vidi Sukmayadi成才之路 / The Road to Success
韩红菲; Han Hongfei职教通讯 / Communic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冉云芳; 周芷莹; 沈文; RAN Yunfang; ZHOU Zhiying; SHEN WenPublic Services Quarterly
Dee Anna Phares宁波教育学院学报 / Journal of Ningbo Institute of Education
周徐; ZHOU Xu长沙大学学报 / Journal of Changsha University
石晓辉; SHI Xiaohui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Ritonga D.A.,Damanik S.,Damanik S.A.,Suprayitno ,Priyambada G.Journal of Applied School Psychology
Breya L. Whitefield; Sarah W. Harry; David E. McIntosh; Connie E. McIntosh; Argnue Chitiyo; Abel M. English; Brianna R. Poore초등영어교육
김양희, 정영경湖北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Hubei Polytechnic Institute
徐红莉; 赵雪滢; XU Hong-li; ZHAO Xue-yingTeaching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Jonas Bergman Ärlebäck; Lluís AlbarracínAction in Teacher Education
Moldavan, Alesia Mickle; Gonzalez, Monica Lyn중등교육연구
황효정, 신세인, 이준기职教论坛 / Vocational & Technical Education Forum
徐宏伟; Xu HongweiNature Physics
Makarem, Ata; Klika, Karel Dougla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공통 / 대학원
인문사회 계열의 학술논문을 작성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교육하고, 기존에 발표된 학술논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훈련을 하도록 함으로써, 대학원생들이 각자의 학위논문 또는 학술논문을 쓰는 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한다. 첫째, 학술 논문 작성의 목적과 의의를 이해한다. 둘째, 학술 논문의 구조적 특성과 학술 논문 작성에 적합한 한국어 문장 작성법을 이해하여 원활하게 학술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자신이 속한 학술 공동체의 규칙에 따라 예비 학자로서 각 전문 분야에서 학문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전선 / 학사
현재까지 배운 고급 과정 지식을 토대로 실무에 연관시켜 문제 해결 능력 향상과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수업을 통하여 실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자신감을 부여한다.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통하여 창의적인 프로젝트 아이디어 기획, 설계, 개발 등의 자기주도적인 실무능력을 배양하며 학생 역량의 달성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는 한국교육사의 여러 주제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과목이다. 주제 설정에 있어서 시기와 대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수강자는 해당 주제에 대한 리뷰 논문과 개인 연구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논문 / 대학원
본 과정은 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하며, 개인의 연구분야에 대한 특정 주제에 대해서 지도교수의 지도아래 연구하고 토의하는 강좌이다.교직 / 학사
이 교과목은 교수법을 이수한 4학년 학생들이 일선 농업고등학교에서 4주간의 교생실습을 경험하도록 계획된 것이다. 농산업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를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농업(실업)계 고등학교에 파견하여 4주 동안 지도교사의 지도하에 교과관련 연구, 교사 업무이해, 수업실습, 학생지도 등의 직접적인 현장경험을 통하여 학습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교사와 교직에 관한 기본개념, 관점 그리고 이론을 개관함으로써 교사와 교직에 대한 논리적 분석과 이해의 틀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학교조직의 특수성, 교사와 교직의 특성, 교사의 자질과 자격, 양성과 임용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는 학생들에게 과학교육연구와 학계에 효과적인 글쓰기를 위한 기본 지식과 전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의에서는 동료/편집자와의 서신, 회의 제안서 작성 및 제출, 저널에 대한 동료 검토 실시, 검토자의 논평에 대응, 국제 회의의 발표 준비 등 학계의 일반적인 의사소통 문제와 맥락을 다룰 것이다. 또 과학교육지, 도서시리즈 등을 통해 학생들을 소개하고 출품작 원고 준비 전략을 배우게 된다. 이 과정은 영어로 진행되지만, 강의의 초점은 영어 사용법과 문법이 아니라, 대학원생들이 학계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될 수 있도록 어떻게 준비하느냐 하는 것이다.전선 / 대학원
성인교육의 개념과 종류, 성인교육을 위한 원리, 교육과정의 개발, 성인교육 방법, 평가방법 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작품 제작에 있어 형상의 구조적 원리(시간성, 존재성, 공간성)와 조형언어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고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국가 사회의 현안 문제들이나 환경교육의 주요 관심 주제들을 대상으로 환경교육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체계적·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힌다.논문 / 대학원
각 연구분야의 주요 흐름을 결정한 주요한 논쟁과 논문을 중심으로 자료를 연구한다. 그리고 현 국어교육학계라는 학문공동체의 현주소가 어디인지를 확인하는 자리를 갖게 하는 데 본 강좌의 취지가 있다.전필 / 학사
본 강의는 수학교육과 학부생들의 졸업논문 작성을 위한 주제 선정, 논문의 구조화, 논문 작성을 돕기 위한 것이다. 학부 졸업예정자들은 본 강의에서 수학교육학 관련 이론과 실제에 관련된 논문 주제를 탐색하고, 주제에 적합한 구조와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실습하며, 연구 윤리를 배워 적절한 인용 방법을 적용하며 졸업논문을 작성할 수 있다. 수강생들은 수학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통찰을 타당하고 객관적인 근거를 활용하여 타인을 설득할 수 있도록 말과 글로 바꾸어 제시하고, 타 수강생의 논문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과 적절한 제언을 제공하여 상호 협력하며 논문 작성에 참여해야 한다.논문 / 대학원
본 과목은 논문작성을 위해 필요한 예비작업인 자료수집 및 분석의 기술뿐 아니라, 구체적인 논문작성법을 지도함을 목표로 하며, 학점이수를 위해서는 지도교수가 개최하는 콜로퀴움에 3회 이상 참석하고 그 이외에 지도교수가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전선 / 학사
지리교육의 성격, 중고등학교 교재 분석, 수업안 작성, 교수 방법 등 지리교육지도의 실제 경험을 쌓도록 한다. 또한 지리교수법 개선의 방법과 수단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지리과수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함양에 중점을 둔다.전선 / 대학원
교수설계의 이론·원리·기법·전략 등에 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심층적으로 분석, 검토하고 논의한다. 아울러 교육현장의 교수-학습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인 가이드라인으로써 교수설계에 관한 최신 지식을 숙지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논문 / 대학원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구체적인 논문의 방향을 잡아가고 그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점에 대해 의견을 나눔으로써 보다 깊이있는 논문을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전체적인 개요를 잡기 위한 준비과정과 심도있는 세부내용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심화과정으로교양 / 학사
‘글쓰기세미나’는 여러 학술적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탐구적이고 논증적인 글쓰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르와 형식의 글쓰기 경험들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의 지성 공동체가 지향하는 글쓰기의 의의와 활용 능력을 공감하고 체득하게 하는 교과목이다. 원활한 글쓰기 능력은 성공적인 대학 생활과 학문 탐구, 미래 사회에서의 자기표현과 소통에 매우 중요하다. 이 교과목은 학문 탐구에 필수적인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동기와 관심, 태도와 능력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자유롭고 창의적인 글 창작의 기회와 능력을 제공한다.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이 교과목을 통하여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과 관심 및 열의를 가지고 텍스트 독해, 관련 자료 활용 및 근거 있는 논리적 사고와 주장, 설득력 있는 글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학생들은 친밀한 주제나 학문 분야의 중요한 이론, 실제 삶과 밀접한 글을 교수의 밀착 지도와 집중적인 상호작용 하에 작성하고 발표 및 토론하며, 첨삭 지도를 받는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은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텍스트 이해와 자료 분석을 통한 논리적 글쓰기의 기본적인 특징을 이해하며, 지성인으로서 글쓰기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스스로 수용한다. 나아가 학생들은 시, 소설, 수필, 희곡 등 여러 형식의 창작적 글쓰기 경험을 통하여 글쓰기의 의미를 찾고 즐거움을 공유하며, 글 쓰는 습관을 형성하고 글을 통한 소통의 필요성 및 주체적 자기표현의 가능성을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