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육학과
이 교과는 교육철학과 교육사를 통합한 입문 과정으로서 교직과정의 한 과목이다. 이 교과는 교육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적·실제적 쟁점에 대한 철학적 분석의 성과를 다루며, 또한 교육사의 주요 변화와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loading...
사범대학 교육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경험과 성장(M2184.000500) , 국어교육학개론(705.151)
이 교과는 교육철학과 교육사를 통합한 입문 과정으로서 교직과정의 한 과목이다. 이 교과는 교육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적·실제적 쟁점에 대한 철학적 분석의 성과를 다루며, 또한 교육사의 주요 변화와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A Philosophy of education
A Philosophy of education
The everything guide to understanding philosophy : the basic concepts of the greatest thinkers of all time--made easy!
The everything guide to understanding philosophy : the basic concepts of the greatest thinkers of all time--made easy!
The reason of things : living with philosophy
The reason of things : living with philosophy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 a reader's guide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 a reader's guideMetaphysics, 2001
Metaphysics, 2001
Husserl at the limits of phenomenology : including texts by Edmund Husserl, Maurice Merleau-Ponty
Husserl at the limits of phenomenology : including texts by Edmund Husserl, Maurice Merleau-Ponty
Zwei Reden : Aus Anlaβ der Verleihung des Hegel-Preises 1973 der Stadt Stuttgart an Jurgen Habermas am 19. Junuar 1974
Zwei Reden : Aus Anlaβ der Verleihung des Hegel-Preises 1973 der Stadt Stuttgart an Jurgen Habermas am 19. Junuar 1974
Naturalizing epistemology
Naturalizing epistemology
Hegel
Hegel
Creating scientific controversies : uncertainty and bias in science and society
Creating scientific controversies : uncertainty and bias in science and society
The philosophy of science : a collection of essays
The philosophy of science : a collection of essays
헤겔철학 서설
헤겔철학 서설
생태교육철학
생태교육철학
Traité des premiers principes
Traité des premiers principes
Theories of explanation
Theories of explanation
La denrée mentale
La denrée mentale
西方哲学家中的中国之友 : 马勒伯朗士、莱布尼茨、伏尔泰思想研究
西方哲学家中的中国之友 : 马勒伯朗士、莱布尼茨、伏尔泰思想研究
윤리의형이상학적요소.The Metaphysical Elements of Ethics, by Immanuel Kant
윤리의형이상학적요소.The Metaphysical Elements of Ethics, by Immanuel Kant
Introductory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Introductory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Nietzsche aus Frankreich : Essays
Nietzsche aus Frankreich : Essays
방법서설 : 정신지도 규칙
방법서설 : 정신지도 규칙
스쿨 : 미국 공교육의 역사 1770~2000
스쿨 : 미국 공교육의 역사 1770~2000
한나 아렌트, 교육의 위기를 말하다 : 학습중심의 시대, 가르침의 의미는 무엇인가?
한나 아렌트, 교육의 위기를 말하다 : 학습중심의 시대, 가르침의 의미는 무엇인가?
페다고지 : 50주년 기념판
페다고지 : 50주년 기념판
페다고지
페다고지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과거와 미래 사이 : 정치사상에 관한 여덟 가지 철학 연습
과거와 미래 사이 : 정치사상에 관한 여덟 가지 철학 연습윤리학과 교육
윤리학과 교육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플라톤의)국가(政體)
(플라톤의)국가(政體)아동과 교육과정 ; 경험과 교육
아동과 교육과정 ; 경험과 교육
메논
메논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윌리암 보이드)서양교육사
(윌리암 보이드)서양교육사(플라톤의) 국가 (政體)
(플라톤의) 국가 (政體)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교육, 문해 그리고 인간화 : 전작으로 보는 파울루 프레이리의 삶과 사상
교육, 문해 그리고 인간화 : 전작으로 보는 파울루 프레이리의 삶과 사상
에밀.
에밀.
교육사
교육사Australasian Philosophical Review
Weigelt, CharlottaEuropean Journal for Philosophy of Science
Povich M.Kantian Review
Kim, Hyoung SungSynthese
Warren J.Neohelicon: Acta comparationis litterarum universarum
Bessière, JeanPhilosophical Studies
Seipel P.Philosophical Studies: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Philosophy in the Analytic Tradition
Boult, Cameron臺北大學中文學報 / Journal of Chinese Literature of National Taipei University
王碩(Wang, Shuo)Analysis
David Builes; Caspar Hare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Life Sciences
van den Berg H.Philosophical Topics
Williamson T.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천호강Monist
Goldstein S.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Barimah GKSophia
Erik Kuravsky철학연구
이재호, 이석희European Journal of Analytic Philosophy
Faria D.Synthese
Czerkawski M.Movement Disorders
Sadnicka A.,Edwards M.J.Journal for General Philosophy of Science - Zeitschrift für allgemeine Wissenschaftstheorie
Alkemade, Elise; Deeg, Nils; Guillén Almiñana, Carles; Nasrullah Khan, Samar; Morales Hernández, Oriana; Nieves Delgado, Abigail; Schure, Elian; Whittle, Mark; Wouters, Hilbrand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별도로 개설된 과목에 포함되지 않는 과학철학의 주제 중에서 학기에 따라 강사와 수강생들에게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깊이 있게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동·서양 주요 사상가의 신체관(身體觀)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체육교육 및 체육학의 중심 과제인 신체에 관한 존재론·인식론·가치론적 해명의 토대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교과목은 현대의 심리철학과 철학적 인간학의 성과를 체육교육 및 체육학에 적용하도록 한다.교직 / 대학원
이 교과는 교육철학과 교육사를 통합한 입문 과정으로서 교직과정의 한 과목이다. 이 교과는 교육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적·실제적 쟁점에 대한 철학적 분석의 성과를 다루며, 또한 교육사의 주요 변화와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추구한다.전선 / 대학원
'마음의 본성은 무엇인가'라는 것은 古代로부터 이어지는 중요한 철학적 문제 중의 하나이다. 이 과목에서는 '마음과 신체의 관계는 무엇인가'라는 존재론적인 문제와, '심리용어의 의미는 어떤 근거에서 가능한가'라는 의미론적인 문제, '자신의 마음과 他人의 마음은 어떻게 인식될 수 있는가'하는 인식론적인 문제 등이 다루어진다. 이 과목은 위의 주제에 관한 주요 原典들을 선택하여 강독하고 이 강독의 토대 위에서 토론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전필 / 학사
교양 / 학사
이 과목에서는 경험과학과 관련된 여러가지 철학적 물음들을 선택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과학의 목표는 무엇이며,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어떤 방법들을 사용하는가? 과학 활동은 세계에 대한 진리를 산출하는가? 과학은 과연 진보하는가? 과학적 활동은 흔히 이야기되는 것처럼 합리적인가? 과학은 가치중립적인가? 과학과 사이비과학의 구분은 어떻게 가능한가?교양 / 학사
문학과 철학은 근원적으로 하나의 뿌리를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그 근원에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라는 인문학적 문제가 걸려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 두 인문학 분야는 동일한 문제를 탐구해 왔으며, 이로 인해 이 두 분야를 서로 견주어 조명하는 경우 인문학적 문제에 대한 보다 폭넓고 균형 잡힌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요컨대, 본 강의의 주제는 문학과 철학의 만남에 초점을 맞추고, 나아가 양자에 대한 교차 조명을 통해 인문학의 근본적 문제들을 탐구하는 데 놓인다. 본 교과목에서는 먼저 문학과 철학 사이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문학과 철학에서 공통으로 문제되는 ‘해석과 이해의 문제’를 몇 편의 영화를 통해 검토하기로 한다. 이어서 문학과 철학의 다양한 텍스트를 다루되, 철학적 사유를 유발하거나 철학적 상상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문학 텍스트 및 문학에 대한 다양한 사유를 담고 있는 철학적 텍스트를 꼼꼼하고 깊이 있게 읽어나감으로써, 문학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철학에 대한 문학적 이해의 폭을 넓히기로 한다.전선 / 대학원
Descartes에서 Hegel에 이르는 서양 근세철학자들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 해당 철학자의 학문 세계와 원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고전적 사상에 대한 철학사적 해석과 문헌 비판을 훈련하고, 근세철학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평가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에서는 문화에 대한 주요한 철학적 질문과 입장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문화현상의 철학적 함축과 문화변동의 논리적 구조를 검토한다. 비코에서 헤겔에 이르는 근대 문화철학의 입장을 개괄하고, 구조주의 이후의 현대 프랑스철학과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문화비평, 정신분석 등의 현대 문화이론을 참고자료로 제시할 것이다. 세계화, 정보화 사회의 도래, 영상의 확산, 페미니즘과 생태문제 등 이 시대의 문화적 정체성을 결정하는 주요 현상을 토론하며, 궁극적으로는 동서문화를 포괄할 수 있는 철학적 입지점을 모색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현대사회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비판적으로 설명하고 이해하는 이론과 개념들을 공부하고, 이들을 한국사회의 맥락에서 성찰하는 훈련을 받는 데 목적이 있다. 수강생들은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비판커뮤니케이션의 이론틀을 이해하고, 자신이 관심 있는 영역에 적용하는 훈련을 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현대철학의 핵심적인 사조 중의 하나인 현상학의 근본 문제들을 검토함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우선 현상학의 창시자인 후설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현대의 위기, 실증주의 비판, 엄밀학으로서의 현상학의 이념, 영역적 존재론, 형식적 존재론, 현상학적 심리학, 초월론적 현상학, 지향성, 초월론적 주관, 생활세계, 노에시스-노에마 상관관계, 현상학적 환원, 질적연구 등의 문제들을 살펴본 후 셸러, 하이데거, 인가르덴, 사르트르, 가다머, 메를로-퐁티, 레비나스, 리쾨르, 뒤프렌느, 슈츠, 거비치 등이 발전시킨 다양한 유형의 현상학의 근본 문제들을 살펴본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역사철학의 고전적 텍스트를 선정하여 그에 대한 강독과 토론을 진행함으로써 역사철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표한다.전필 / 학사
전선 / 대학원
유가철학의 중대한 주제로는 천인관계(天人合一), 인성론, 知行, 인격 수양 문제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분석해보면 인간의 도덕적 자기 완성을 통해 인간이 천지의 작용에 동참하기를 희구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孔子, 孟子, 荀子, 董仲舒, 二程, 朱子, 陸象山, 王陽明, 王夫之, 戴震 등은 각각의 독자성을 갖는다. 그래서 본 강좌에서는 위에 든 개별 사상가들의 특성을 특정 개념으로 규정하는 작업을 심도있게 학습한다.교양 / 학사
이 과목은 인공지능의 중요한 철학적, 인문학적 쟁점들을 고찰한다. 기계는 생각할 수 있는지, 인공지능은 가능한지, 기계가 감정이나 의식을 가질 수 있는지 등의 존재론적 물음뿐 아니라 인공지능의 도덕적 지위와 로봇 윤리의 문제, 그리고 인공초지능과 실존적 위협에 관해 다룬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서양 근대철학(합리론, 경험론, 비판철학 및 독일관념론)의 전통을 통해 부각된 일련의 미학 개념들을 다룬다. 특히 취미론, 감성(감성적 인식)의 학, 예술철학 등 근대미학의 골자를 이루는 이론들을 살펴본다.전선 / 학사
서양 기독교철학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교부철학, 스콜라철학의 주요문헌들을 통해 개관하여 서양철학의 중세적 전통을 이해시키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이다. 희랍철학과의 만남을 통해 서양에 유입된 기독교가 어떤 새로운 문제에 부딪치며 이 문제들을 어떤 개념들을 통해 체계화해 가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서양철학의 중세적 토대를 이해하게 하고 아울러 서양 근대철학의 형성에 미친 중세의 영향을 이해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