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전위, 전극반응의 속도론, 계면의 전기화학 등의 기초지식 습득을 시작으로 voltammetry 및 spectroelectrochemistry에 의한 화학물질의 물성조사, 분석, 또한 반도체의 광전기화학에 관하여 강의한다. 전기화학공업의 분야로는 광화학적 에너지전환, 전지, 부식 및 센서 등이 포함된다.응용바이오공학과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바이오공학 분야의 연구현황과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세미나 형태로 진행된다. 이 세미나의 주요 주제는 생체 소재, 바이오 의료기기, 의료 영상, 그리고 나노바이오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이며,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과 산업체에서 초청된 저명한 연사들의 초청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다.물리·천문학부
열과 통계물리학의 기본 개념을 다루며 <00.211 역학 1(또는 300.209 역학개론)>과 <300.214 전기와 자기(또는 884.002 전자기학개론)>이 먼저 수강했어야 하는 과목이다. 주요 내용은 상태수와 엔트로피, 열역학의 여러 법칙, 볼츠만 분포, 이상기체의 성질, 깁스 자유에너지와 화학반응, 상전이, 기체분자의 운동이론, 브라운 운동 등이다.영어교육과
낭만주의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영문학과 영국문화의 개관으로서 선별된 작품의 감상과 당대의 시대정신 및 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배경지식을 제공한다.
loading...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영어응용음성학(707.204) , 영어학개론(707.301)
낭만주의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영문학과 영국문화의 개관으로서 선별된 작품의 감상과 당대의 시대정신 및 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배경지식을 제공한다.
東北アジアの初期農耕文化と社会
東北アジアの初期農耕文化と社会
In search of ancient Ireland : the origins of the Irish, from neolithic times to the coming of the English
In search of ancient Ireland : the origins of the Irish, from neolithic times to the coming of the English
영어고전618 허버트 조지 웰스의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 세계사 대계ⅧEnglish Classics618 The Outline of HistoryⅧ: 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by H. G. Wells
영어고전618 허버트 조지 웰스의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 세계사 대계ⅧEnglish Classics618 The Outline of HistoryⅧ: 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by H. G. Wells
A history of modern Germany : 1648-1840
A history of modern Germany : 1648-1840
Historiae
Historiae
The Atlantic in world history
The Atlantic in world historyThe Oxford history of medieval Europe
The Oxford history of medieval Europe
東アジア民族史 : 正史東夷傳
東アジア民族史 : 正史東夷傳
Urban life in the distant past : the prehistory of energized crowding
Urban life in the distant past : the prehistory of energized crowding
Dundee and the Empire : "juteopolis" 1850-1939
Dundee and the Empire : "juteopolis" 1850-1939Servants of nature : a history of scientific institutions, enterprises and sensibilities
Servants of nature : a history of scientific institutions, enterprises and sensibilities
废墟的故事 : 中国美术和视觉文化中的"在场"与"缺席" = A story of ruins : presence and absence in Chinese art and visual culture
废墟的故事 : 中国美术和视觉文化中的"在场"与"缺席" = A story of ruins : presence and absence in Chinese art and visual culture
The Power of culture : studies in Chinese cultural history
The Power of culture : studies in Chinese cultural history
Shi'i Islam : an introduction
Shi'i Islam : an introduction
ビザンツ社會經濟史硏究
ビザンツ社會經濟史硏究
China's first hundred : educational missio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1872-1881
China's first hundred : educational missio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1872-1881
Современное российское корееведение : справочное издание.
Современное российское корееведение : справочное издание.
Science for all : studies in the history of Victorian science and education
Science for all : studies in the history of Victorian science and education隋唐文明.
隋唐文明.
America's working women : a documentary history, 1600 to the present
America's working women : a documentary history, 1600 to the present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 major authors edition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 major authors edition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신라사학보
김미진Problemy Istoricheskoy Poetiki
Pigin A.V.Notes and Queries
Hokama, Rhema Mei LanAntiquity
Klevnäs A.,Aspöck E.,Noterman A.A.,Van Haperen M.C.,Zintl S.辽宁师范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Liaoning Normal University (Social Sciences Edition)
袁昆仑; 李裴蕾; Yuan Kunlun; Li PeileiThe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
Grimsted, David A.민속학연구
김윤정Religions
Li T.,Salonia M.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Journal of Late Antiquity
Shaw, Richard중국사연구
우성민安徽史学 / Historiography Research in Anhui
马俊亚; MA Junya비교문화연구
임주인Phoenix
Wilkinson, Kevin W.Journal of Central Asian History
Bigozhin, UlanThe Russian Review
Lucien FraryChina Review
Wang, ZhixiInternational Journal of Religious Tourism and Pilgrimage
Oželis R.English Studies
Paul CavillModernism/Modernity
McCracken, Saski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동아시아비교문학론은 동아시아비교인문학 연합전공에 관심을 가진 학생들이 해당전공의 범위와 성격을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개설되는 교과목이다. 비교문학적 접근을 통해 동아시아를 구성하는 여러 사회들, 한국 중국 일본 및 북한, 몽골, 대만 등 동아시아의 범주에 속하는 여러 지역이 근대화 및 전지구화라는 공통의 역사적 도전에 맞서는 과정에서 나름의 특유한 역사발전 경험 및 사회문화구조를 형성해온 과정을 비교문학적 방법으로 다루는 데 주안점을 둔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중세로부터 17세기까지의 프랑스 문학사를 탐구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에서는 메이지유신 전후 일본사회의 변모 양상을 문명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서양으로부터 도입된‘문명’은 사회, 문화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당시의 계몽담론 및 예술 표현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전선 / 학사
한국 문화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해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현 시점에서 한국어의 특성 및 위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와 관련한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의 습득은 한국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또한 한국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한국어와 동아시아 지역 다른 언어와의 관계, 한국 문화와 동아시아 지역 다른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한국고대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여 전체 한국사 체제 내에서 고대사의 위상과 다른 시대와의 관련성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국고대사를 전공하는 학생은 물론이고 다른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에게도 자신의 전공분야를 연구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나아가 본 강좌를 수강한 후 대학원생들이 장차 한국사개설이나 한국고대사 관련 강의를 담당할 때 강의내용을 설계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을 또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전선 / 학사
일본 문명의 형성과 발전에 영향을 준 핵심 개념을 이해한다. 특히 무사, 쇼군, 천황제, 신국사상 등 주요 개념을 통해 일본 문명의 특질을 폭넓게 고찰한다. 이와 아울러 고대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시기에 외부 세계와 접촉하면서 일본 문명이 어떻게 생성되고 변용되어 나갔는가를 파악한다.교양 / 학사
“과연 ‘나’는 무엇이고 어떻게 생겨나는가?”, “‘나’는 나를 둘러싼 또 다른 ‘나’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이러한 물음은 동양과 서양이 각각 그 문명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공통적이면서도 끊임없이 제기해 온 문제의식이고, 아마도 앞으로도 영원히 ‘미해결의 문제’로 남을 것이다. 본 교과목은 공자의 『논어』를 비롯한 철학서, 법률서 및 역사서 등의 동양고전 속에 핵심적으로 드러나는 ‘나’와 ‘나’를 둘러싼 관계라는 ‘삶의 핵심적 주제’를 다룰 것이다. 우선 동양고전 속에 담긴 다양한 견해의 글을 엄선하여 ‘한글세대’ 수강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번역을 기본적인 해설과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강의를 통해 철학·법학·문헌학·동양학·미학 등 다학제적 관점에서 이를 풀이해줌으로써 수강생들에게 해당 주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아울러 토론 시간을 통해 이러한 인류 보편의 주제를 수강생 자신의 관점에서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반성하는 기회를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동아시아 근세사의 전반에 걸친 다양한 주제들을 검토하면서 그것이 어떤 역사적 성격을 갖고 있는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논문과 저서, 사료 등 각종 자료들을 직접 읽고 그 내용을 분석, 비판하고 종합하는 훈련을 쌓도록 한다. 강의는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상호 토론하고 담당 교수가 이에 대해 적절히 조언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동양과 서양의 문화 교류를 매개한 중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어떻게 다양한 문화가 실크로드를 통해서 전해졌는가 하는 점을 이해하는 것을 본 강의의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동양 사회에 보이는 서양의 다양한 문화 요소가 그 사회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가져왔고, 또한 반대로는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 하는 점을 이해한다. 이를 위해 동서 교류와 관련된 사료를 정리하여 이해하고, 논저를 정리하고 심화 학습함으로써 단순히 동서의 교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구대륙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세계사상을 이해하는데 노력한다.교양 / 학사
이 강의는 인류가 불을 획득하고 불의 온도를 높이는 과정, 그리고 불을 이용한 기술이 문명에 끼친 영향을 알아본다. 불, 토기, 석기, 청동기, 철기, 금·은을 중심으로 일어난 문명의 변화와 기술혁신, 그리고 이것이 갖는 사회적 의의에 대해 이해한다. 이 강의는 협업적 팀 티칭 강의로 재료공학 전공, 고고학 전공 교수자가 공동으로 강의한다. 강의에서는 재료기술의 공학적 원리, 기술의 존재 및 변화를 보여주는 고고학 유물과 유적, 나아가 기술혁신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모든 강의는 하나의 주제를 두 학문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청동기 시대에 대한 강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다음 주제들 1) 석기를 사용하던 인류가 어떻게 전혀 성질이 다른 구리를 만들 수 있게 되었으며 2) 여기에 주석까지 첨가해서 청동이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3) 그 과정에서 인류가 극복해야 할 문제들이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 그 후에 고고학적 증거와 그 의미를 바탕으로 그렇게 만들어진 청동이 어떻게 확산되고 인류 문명의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보여주는 강의가 진행된다. 그리고 학생들은 이러한 두 방향에서 얻어진 배경 지식을 활용해서 청동기 시대의 사회 발전이나 대안 그리고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서 토론을 진행하게 된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에서는 世界史 敎育에 필요한 敎材로서 무엇이 있으며, 어떻게 學級에서 사용할 것인가를 다룬다. 그 性格上 敎師가 敎授를 위하여 알아야 할 敎材와 學生 자신들의 學習을 위하여 제공되어야 할 資料를 硏究하는 두 側面을 지닌다. 물론 敎材로는 敎科書를 비롯하여 史料, 口傳, 歷史地圖, 遺物, 遺蹟, 視聽覺 資料 등 그 種類가 多樣하다. 이 과목에서는 資料의 有無, 長短點을 가리는 단계에서 나아가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資料의 開發이란 積極的인 次元까지 고려한다.전선 / 학사
일본의 원시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 역사 전체를 대상으로 그를 개설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일본의 역사 전개의 전체적인 흐름과 함께 그 시대 각각의 특징을 우선적으로 정리 강의하고, 일본사 전체의 역사적인 특질이 어디에 있고 이것이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는 어떤 보편성과 차별성을 갖는가 하는 점을 이해하게 한다.교양 / 학사
전통적으로 동양철학의 범주에는 철학사상으로 불교, 유교, 도교가 포함되고 지역적으로는 남아시아(인도, 세일론), 동북아시아(중국,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미얀마, 태국 등)가 그 범위에 든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랍권인 서남아시아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본 과목은 교양과목으로서 학생들의 동양철학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역학적 특색을 강조하기보다는 문화, 사상적인 측면에 비중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크게 불교, 유교, 도교, 한국의 민간신앙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전선 / 학사
중세는 “현대문명의 어린 시절”이다. 현대 유럽 문명의 여러 모습, 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기원과 성숙의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중세로 돌아가야 한다. 이와 같은 전제하에서 이 강좌는 유럽 중세시기(5-15세기)의 사회를 사료와 연구서를 통해 살펴봄으로 유럽 사회의 토대를 더 깊이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게르만의 이동으로부터 근대 사회로 이행하는 시기 사이의 주요 주제들, 예컨대 게르만, 카롤링 제국, 봉건제, 교권과 속권의 대립, 십자군원정, 경제 및 도시의 발전, 고딕 건축, 유럽 각국의 발전, 흑사병 등을 다룬다. 중세 유럽을 형성시킨 동력과 과정에 대해 검토하고, 중세 성기의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습들이 근대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도 살펴본다. 이 강좌는 유럽의 중세사회가 어둡고 정체된 사회가 아니라, 새로운 유럽으로 나아가는 역동적인 내적 변화가 일어났던 사회였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러한 역동적인 중세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주력한다.전선 / 학사
주로 잉글랜드의 역사를 중심으로 영국사를 전반적으로 다룬다. 작은 섬나라인 영국은 최초로 산업 혁명이 일어난 나라일 뿐 아니라 한때 세계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광대한 제국을 가졌던 나라이다. 또한 오늘날 거의 모든 나라가 채택한 의회 제도는 일찍이 영국에서 발달한 것이었다. 이 수업에서는 영국이 어떻게 이처럼 우월한 지위를 차지할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동시에 한때 ‘지지 않는 태양’으로 군림하던 영국이 오늘날 과거에 비해 훨씬 제한된 힘만을 갖게 된 원인을 살펴볼 것이다. 특히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내용은 의회 제도를 중심으로 발달한 영국의 시민사회가 어떻게 외부로부터의 변화에 대한 압력을 잘 수용하고 이에 적응함으로써 프랑스와 같이 급진적인 혁명을 피하게 되었는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