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전위, 전극반응의 속도론, 계면의 전기화학 등의 기초지식 습득을 시작으로 voltammetry 및 spectroelectrochemistry에 의한 화학물질의 물성조사, 분석, 또한 반도체의 광전기화학에 관하여 강의한다. 전기화학공업의 분야로는 광화학적 에너지전환, 전지, 부식 및 센서 등이 포함된다.응용바이오공학과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바이오공학 분야의 연구현황과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세미나 형태로 진행된다. 이 세미나의 주요 주제는 생체 소재, 바이오 의료기기, 의료 영상, 그리고 나노바이오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이며,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과 산업체에서 초청된 저명한 연사들의 초청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다.물리·천문학부
열과 통계물리학의 기본 개념을 다루며 <00.211 역학 1(또는 300.209 역학개론)>과 <300.214 전기와 자기(또는 884.002 전자기학개론)>이 먼저 수강했어야 하는 과목이다. 주요 내용은 상태수와 엔트로피, 열역학의 여러 법칙, 볼츠만 분포, 이상기체의 성질, 깁스 자유에너지와 화학반응, 상전이, 기체분자의 운동이론, 브라운 운동 등이다.영어교육과
낭만주의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영문학과 영국문화의 개관으로서 선별된 작품의 감상과 당대의 시대정신 및 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배경지식을 제공한다.기계공학부
본 과목에서는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다양한 기계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과 동적 거동의 라플라스 공간, 주파수 공간 및 상태 공간에서의 해석 방법에 대해 배우고, 그에 기반한 기본적인 제어 설계 및 해석 기법에 대해서 공부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국제 스포츠 및 레저에 관련된 연구와 최근 이슈를 살펴봄으로써, 스포츠/레저조직에 대한 지식을 쌓고 더욱 폭넓은 이해를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포츠와 레저 조직을 경영할 때 고려해야 할 기초적인 부분들에 대해 초점을 두고, 다양한 스포츠 조직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하여 관리적 관점에서 계획, 실행, 평가해 봄으로써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해 본다.화학생물공학부
촉매반응의 구분 및 특징, 촉매의 종류와 정의, 촉매작용에 관한 이론 및 공업적 반응, 촉매로 많이 이용되는 금속의 결합구조 및 특성, support의 종류 및 특성 등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이와 아울러 흡착·탈착의 특징, 촉매반응의 속도론, 기초적인 표면화학 분야 등도 다루어 실험으로의 응용과 촉매반응의 반응기구 및 특징 등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배우게 된다.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세포 및 T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전기·정보공학부
전기전자기술이 산업에 응용될 때에는 이론적인 면 외에 실제적인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이 강좌에서는 전기전자기술을 산업에 응용할 때 다루어야 하는 집적화 기술, 실장 기술, 제품화 기술 등을 설명하고, 여러 전기전자산업 제품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국어국문학과
이 과목의 목적은 학생들이 대학 과정을 원활하게 이수하고 교양인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학생들은 이 과목에서 글쓰기 이론의 학습과 글쓰기 실습을 통해 작문 능력을 기르고, 발표와 토론을 통해 소통 능력을 키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한다. 첫째, 텍스트를 읽고 분석하면서 사고를 넓히고 새로운 관점을 발견한다. 둘째, 다양한 서술 방식을 익혀 실제 글쓰기에 활용한다. 셋째, 글을 조직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표현한다. 넷째, 글을 완성하는 과정을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킨다. 다섯째, 첨삭 및 대면 지도를 통하여 글을 고쳐 쓰면서 글의 완결성을 높인다.임상의과학과
의사-과학자로서 의과학 분야의 논문을 읽고 이에 대한 과학적인 비평과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각 분야별 주제를 정하여 발표와 토론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매주 각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를 선정하고 담당교수가 주관하여 발표자와 참여학생이 토론하고 습득한 지식내용을 평가한다. 의과학과 전공 학생들은 본 교과목을 석사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체육교육과
이 과목에서는 체육학 연구에 필요한 방법론을 소개한다. 본 과목은 체육학의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고 세부전공별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주제설정, 연구설계, 양적/질적 연구방법 등 체육학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 개념과 방법을 폭넓게 공부한다.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대학원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운동역학이론(M1886.000600) , 장애인 체육특강(722.758A)
이 과목에서는 체육학 연구에 필요한 방법론을 소개한다. 본 과목은 체육학의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고 세부전공별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주제설정, 연구설계, 양적/질적 연구방법 등 체육학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 개념과 방법을 폭넓게 공부한다.
평생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평생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Online education for lifelong learning
Online education for lifelong learning
Learning outside the academy : international research perspectives on lifelong learning
Learning outside the academy : international research perspectives on lifelong learning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ifelong learning : from recurrent education to the knowledge society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ifelong learning : from recurrent education to the knowledge society
An Introduction to Medical Teaching : The Foundations of Curriculum Design, Delivery, and Assessment
An Introduction to Medical Teaching : The Foundations of Curriculum Design, Delivery, and Assessment
Lifelong learning bibliography : a European VET perspective No.7-8 January-December 2004
Lifelong learning bibliography : a European VET perspective No.7-8 January-December 2004Technology and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 new challenges
Technology and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 new challenges
The futur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a changing world
The futur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a changing world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Saving higher education : the integrated, competency-based three-year bachelor's degree program
Saving higher education : the integrated, competency-based three-year bachelor's degree program
Adult learning : linking theory and practice
Adult learning : linking theory and practice
Ecrire au quotidien : pratiques du journalisme
Ecrire au quotidien : pratiques du journalisme
Policies and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NGO forum on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ternational NGO forum on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Training
Crisis and chang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risis and chang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L'animation socioculturelle
L'animation socioculturelle
Information and news literacy pedagogy : a learner-centered lifespan approach
Information and news literacy pedagogy : a learner-centered lifespan approach
Toil and trouble : good work, smart workers, and the integr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education
Toil and trouble : good work, smart workers, and the integr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education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Bel M.,Coeugnet S.치위생과학회지
유지수, 김한홍, 한양금, 김승희湖北开放职业学院学报 / Journal of Hubei Open Vocational College
王丽; WANG LiREVISTA PRAXIS EDUCACIONAL
Nobre, Ana; Mouraz, Ana; Goulao, Maria de Fatima; Henriques, Susana; Barros, Daniela; Moreira, Jose Antonio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Chan C.K.Y.,Luk L.Y.Y.Revista de Educación a Distancia
Blaschke L.M.,Marín V.I.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Rita Lankauskienė; Živilė Gedminaitė-Raudonė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Changzhou Vocational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陈春蕙; 沈君; CHEN Chunhui; SHEN Jun南通职业大学学报 / Journal of Nantong Vocational University
方雪梅; FANG Xue-meiJournal of bioethical inquiry
Skapetis T; Nicholl B; Hansen K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 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athew V.辽宁警察学院学报 / Journal of Liaoning Police College
张禹石; ZHANG Yushi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Sofiana N.,Mubarok H.,Yuliasri I.OBRAZOVANIE I NAUKA-EDUCATION AND SCIENCE
Emelyanova, I. N.; Teplyakova, O. A.; Efimova, G. Z.Discrete Dynamics in Nature and Society
Discrete Dynamics in Nature and SocietyAdministration and Society
Miller S.A.,Hildreth R.W.,Stewart L.S.M.清華教育學報 / Tsing Hu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郭展有(Chan-Yu Kuo)Studies in English Language and Education
Ivone F.M.,Jacobs G.M.,Renandya W.A.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Craps S.,Pinxten M.,Knipprath H.,Langie G.物流科技 / Logistics Sci-tech
梁辰; 徐扬; LIANG Chen; XU Yang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논문 / 대학원
특정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 과제를 형성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응용공학세미나 I 및 II에 이어 공학의 산업응용 부문의 집중 토론과 세미나를 통해 수강생들의 공학기술 혁신전략 수립 및 성과확산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은 토론과 다양한 case study 위주로 진행되며, 특히 산업의 다양한 문제를 공학기술 간의 융합 및 협력을 통하여 해결하는 방안에 대한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문가 초청 특강을 통하여 기업의 공학 기술 활용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개발한다.전선 / 대학원
본 세미나에서는 동물생명공학 전반에 걸친 분야 중 특정 분야를 한 학기당 선정하여 그 분야에서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최근 연구동향과 학과 내 연구동향을 소개할 예정이다.전선 / 학사
‘의생명연구방법의 이해’과목은 의생명분야에서 실시하고 있는 연구방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연구 체험 및 결과 분석을 통해 의학계열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인 의생명연구방법을 이해하고 실질적으로 실험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 방법들을 체험해 봄으로써 의생명 관련 연구논문이 만들어지고, 생명에 현상에 대한 이론이 창출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국내외 논의들을 정리하고, 현 교육체제에서 인적자원개발의 실태를 조사하도록 할 것이다. 특히 인적자원개발논의는 평생학습의 시각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시각에서 현 국가 및 사회 단위의 인적자원에 관한 정책을 평가하고 대안정책을 제안하는 형태로 운영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자성재료를 연구하거나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다. 강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는데, 처음에는 자성의 기본적 현상과 이론을 강의하고, 그 다음으로 개발되어 온 여러 다양한 자성재료의 핵심 내용에 대해 강의하며, 마지막으로 수강자가 관심을 갖는 주제에 대해 논문을 조사하여 발표하게 하고 term-paper를 제출하게 함으로서 본 교과목의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전필 / 학사
첨단융합학부 학생의 전공탐색을 위한 과목으로, 혁신신약의 핵심 개념과 다양한 응용 분야를 소개하여 향후 전공선택에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혁신신약 분야에서 진행되는 첨단연구와 연구의 실제 응용 사례를 직접 체험하여, 자신의 전공 적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논문 / 대학원
전선 / 대학원
1. 의료의 질 관리의 필요성과 개념을 이해한다. 2. 외국 의료의 질 관리 현황을 이해한다. 3. 의료의 질 관리에 대한 방법론을 숙지한다. 4. 우리나라 의료의 질 관리를 위한 전략을 모색한다.논문 / 대학원
창의적이고 우수한 농림기상학전공의 학위논문을 쓸 수 있도록 지도교수와 적절한 관련 주제를 선정하여 문헌을 강독하고 분석하여 연구한 바를 지도교수와 정기적으로 토론한다.전선 / 학사
<개별연구 및 세미나 1>의 심화된 과정으로 개인별 작업 프로세스의 정립 및 작품 제작의 전 과정을 경험하며, 숙련된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학습된 개인별 작업프로세스에 필요한 새로운 표현 및 제작을 위한 소재와 기법개발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여 작업의 영역을 확장시키며, 정립된 프로세스를 검토 및 확정하여 개인별 작업에 알맞은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역량을 키워나간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빈번하게 일어나는 과학기술과 법의 접점과 상호작용에 대해서 다룬다. 과학기술과 법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은 이공계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현대 사회 속에서 과학기술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는 과학적 사실과 법적 사실, 증거의 의미, 정보통신기술과 법, 생명공학과 법, 신경과학과 법, 규제과학과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몇 가지 주제에 대해서는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수들을 초빙해서 초청강연을 들을 계획이다. 이 수업은 이공계학생들을 위해서 개설되는 것이지만, 과학기술사회를 더 잘 이해하고 싶은 인문사회계열 학생이나 법학전문대학원 학생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직업의 생성, 발전을 위시한 직업의 동태적인 측면과 직업의 특성과 구조 등 정태적인 측면을 과학적 방법으로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미래의 숙련 인력의 수급 전망을 예측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주요하게 다루어질 내용은 직업 구조, 직업 분류, 직업 이동, 직업 위세, 직업변동, 직업 및 숙련전망의 분석 등이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산업인력개발을 위한 직업 그 자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전공 2학년을 대상으로 바이오시스템공학의 교육과 연구 분야를 학습하는 과목으로 전공 개요와 세부 연구영역, 전공과목 및 교과과정, 졸업 후 진로 등을 소개하고 대학원 실험실의 연구분야를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진로와 미래 바이오시스템공학도의 연구역량을 확보하는 기초를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학사
공학연구의 실습 1을 수강한 학생들이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다. 학부 학생들이 대학원 연구실에서 한 학기 동안 실제적인 공학 연구에 참여하는 기회를 2회까지 가질 수 있도록 개설한다. 이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은 일주일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지도 교수와 연구 미팅을 갖고, 학기 중에 대학원 연구에 참여하며, 학기 말에 연구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연구 태도와 연구 성과를 근거로 지도교수가 S/U 학점을 부여한다.전필 / 대학원
최근 생명공학의 주된 분야인 줄기세포, 유전자 치료, 재생의학, 세포치료, 유전체 의학, 바이오나노기술, 정밀의료, 3D 프린팅,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최신 생명공학이 바이오메디컬 영역에서 적용되는 사례 중심으로 윤리적, 법적, 그리고 규제적 글로벌 이슈와 정책 방향 및 사회적 영향들을 함께 고찰하면서 현 시점에서 첨단생명공학의 한계와 발전 방향들을 심화 탐구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