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전위, 전극반응의 속도론, 계면의 전기화학 등의 기초지식 습득을 시작으로 voltammetry 및 spectroelectrochemistry에 의한 화학물질의 물성조사, 분석, 또한 반도체의 광전기화학에 관하여 강의한다. 전기화학공업의 분야로는 광화학적 에너지전환, 전지, 부식 및 센서 등이 포함된다.응용바이오공학과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바이오공학 분야의 연구현황과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세미나 형태로 진행된다. 이 세미나의 주요 주제는 생체 소재, 바이오 의료기기, 의료 영상, 그리고 나노바이오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이며,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과 산업체에서 초청된 저명한 연사들의 초청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다.물리·천문학부
열과 통계물리학의 기본 개념을 다루며 <00.211 역학 1(또는 300.209 역학개론)>과 <300.214 전기와 자기(또는 884.002 전자기학개론)>이 먼저 수강했어야 하는 과목이다. 주요 내용은 상태수와 엔트로피, 열역학의 여러 법칙, 볼츠만 분포, 이상기체의 성질, 깁스 자유에너지와 화학반응, 상전이, 기체분자의 운동이론, 브라운 운동 등이다.영어교육과
낭만주의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영문학과 영국문화의 개관으로서 선별된 작품의 감상과 당대의 시대정신 및 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배경지식을 제공한다.기계공학부
본 과목에서는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다양한 기계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과 동적 거동의 라플라스 공간, 주파수 공간 및 상태 공간에서의 해석 방법에 대해 배우고, 그에 기반한 기본적인 제어 설계 및 해석 기법에 대해서 공부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국제 스포츠 및 레저에 관련된 연구와 최근 이슈를 살펴봄으로써, 스포츠/레저조직에 대한 지식을 쌓고 더욱 폭넓은 이해를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포츠와 레저 조직을 경영할 때 고려해야 할 기초적인 부분들에 대해 초점을 두고, 다양한 스포츠 조직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하여 관리적 관점에서 계획, 실행, 평가해 봄으로써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해 본다.화학생물공학부
촉매반응의 구분 및 특징, 촉매의 종류와 정의, 촉매작용에 관한 이론 및 공업적 반응, 촉매로 많이 이용되는 금속의 결합구조 및 특성, support의 종류 및 특성 등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이와 아울러 흡착·탈착의 특징, 촉매반응의 속도론, 기초적인 표면화학 분야 등도 다루어 실험으로의 응용과 촉매반응의 반응기구 및 특징 등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배우게 된다.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세포 및 T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전기·정보공학부
전기전자기술이 산업에 응용될 때에는 이론적인 면 외에 실제적인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이 강좌에서는 전기전자기술을 산업에 응용할 때 다루어야 하는 집적화 기술, 실장 기술, 제품화 기술 등을 설명하고, 여러 전기전자산업 제품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국어국문학과
이 과목의 목적은 학생들이 대학 과정을 원활하게 이수하고 교양인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학생들은 이 과목에서 글쓰기 이론의 학습과 글쓰기 실습을 통해 작문 능력을 기르고, 발표와 토론을 통해 소통 능력을 키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한다. 첫째, 텍스트를 읽고 분석하면서 사고를 넓히고 새로운 관점을 발견한다. 둘째, 다양한 서술 방식을 익혀 실제 글쓰기에 활용한다. 셋째, 글을 조직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표현한다. 넷째, 글을 완성하는 과정을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킨다. 다섯째, 첨삭 및 대면 지도를 통하여 글을 고쳐 쓰면서 글의 완결성을 높인다.
loading...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물리학실험 1(F33.106L) , 물리학 1(F33.106)
이 과목의 목적은 학생들이 대학 과정을 원활하게 이수하고 교양인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학생들은 이 과목에서 글쓰기 이론의 학습과 글쓰기 실습을 통해 작문 능력을 기르고, 발표와 토론을 통해 소통 능력을 키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한다.
첫째, 텍스트를 읽고 분석하면서 사고를 넓히고 새로운 관점을 발견한다.
둘째, 다양한 서술 방식을 익혀 실제 글쓰기에 활용한다.
셋째, 글을 조직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표현한다.
넷째, 글을 완성하는 과정을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킨다.
다섯째, 첨삭 및 대면 지도를 통하여 글을 고쳐 쓰면서 글의 완결성을 높인다.
Making is connecting : the social meaning of creativity from DIY and knitting to YouTube and Web 2.0
Making is connecting : the social meaning of creativity from DIY and knitting to YouTube and Web 2.0
Critical perspectives on global literacies : bridging research and practice
Critical perspectives on global literacies : bridging research and practice
Deeper than speech : frontiers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eper than speech : frontiers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The character of Americans : a book of readings
The character of Americans : a book of readings
말·하·는 뇌 : 언어커뮤니케이션의 비밀
말·하·는 뇌 : 언어커뮤니케이션의 비밀〈朝鮮〉表象の文化誌 : 近代日本と他者をめぐる知の植民地化
〈朝鮮〉表象の文化誌 : 近代日本と他者をめぐる知の植民地化
Language use in rural development : an African perspective
Language use in rural development : an African perspective異文化への理解
異文化への理解
Composition and cognition : reflections on contemporary music and the musical mind
Composition and cognition : reflections on contemporary music and the musical mind
Strategic narratives : communication power and the new world order
Strategic narratives : communication power and the new world order
Primate communication and human language : vocalisation, gestures, imitation and deixis in humans and non-humans
Primate communication and human language : vocalisation, gestures, imitation and deixis in humans and non-humans
A grammatical sketch of Rugciriku (Rumanyo)
A grammatical sketch of Rugciriku (Rumanyo)
The Routledge companion to musical theatre
The Routledge companion to musical theatre
Dimensions of character
Dimensions of character
Millennial teachers : learning to teach in uncertain times
Millennial teachers : learning to teach in uncertain times
Inner Messiah, divine character : narrative approaches to be beyond best /
Inner Messiah, divine character : narrative approaches to be beyond best /Adventures in Siam in the seventeenth century
Adventures in Siam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Abc of style : a guide to plain English
The Abc of style : a guide to plain EnglishJournal of Education
Kulmhofer-Bommer, Andrea; Seifert, Susanne; Paleczek, Lisa; Gasteiger-Klicpera, BarbaraGEOGRAFIA-MALAYSIAN JOURNAL OF SOCIETY & SPACE
Mohamed, Nor Aini; Samsuddin, Shamsul Farid; Shaffril, Hayrol Azril Mohamed; Bolong, JusangActa Classica
Monti, Giustina동남어문논집
이서희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cott-Phillip T.,Heintz C.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Stacie Brady; Linda H. MasonEducation 3-13
Naning Pratiwi; Ali Mustadi; Woro Sri Hastuti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Brunsdon J.J.Neuropsychologia
Almeida VNJournal of Writing Research
Albuquerque A.,Martins M.A.Celebrity Studies
Acar A.E.Journal of Literacy Research
Hikida M.,Chamberlain K.,Tily S.,Daly-Lesch A.,Warner J.R.,Schallert D.L.Vetus Testamentum
Myers J.A.苏州教育学院学报 / Journal of Suzhou College of Education
黄艺兰; HUANG YilanKurdish Studies
Mahmood I.A.Heliyon
Su Y教育理论与实践 /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张金萍; 陈少平; 陆媛; 韩艳丽; 刘婷婷; ZHANG Jin-ping; CHEN Shao-ping; LU Yuan; HAN Yan-li; LIU Ting-tingHorror Studies
Antunes F.,Plowman A.수학교육
한혜숙, 홍인숙, 이순용, 유기종, 김지연문화와융합
전종희, 한승훈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영화, 방송, 게임, 대중음악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및 공연, 전시 등 순수예술 산업과 관련된 마케팅 이슈를 다루게 되며, 일반 기업의 입장에서 문화예술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수업은 주로 문화예술 마케팅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읽고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문화산업 특유의 연구 주제에 대한 이론 및 사례에 대한 강의가 병행된다.전필 / 학사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 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를 깊게 한다. 전통음악을 주로 소개하며, 창작음악의 경우 전통음악을 의식적으로 수용한 작품을 소개한다. 1, 2학기 연강이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에서는 시대와 사회의 주요 인문적 화두를 능동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시의적이고도 구체적인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역대 중국의 문헌을 중심으로 다룬다. 본 강좌는 특정 주제에 대해 ‘통합 학문적’ 고찰 위에 ‘읽기’와 ‘다시 쓰기’를 중심으로 진행된다.전선 / 대학원
현악문헌의 이해를 돕는 학문적 접근의 한 방법으로서 시대별 장르별 그리고 매체별 주요 작품들의 심층분석에 비중을 둔 강좌이다.일선 / 대학원
본 강좌는 대학원에 재학중인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특별히 효과적으로 실시하도록 짜여있다. (1)가상강의에 띄운 ‘한국의 역사, 한국미술, 한국음악, 전통문화(가족과 친족, 세시풍속, 관혼상제, 민간신앙)’에 대한 토의 및 리포트 작성, (2) 교실강의에서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의 4 기능을 고루 발달시키도록 배려하여 작문연습 및 구두발표 청취, 한국문화의 이해를 위한 어휘, 문형의 학습과 내용 체험, 그리고 극본에 의한 대화 연습을 도모하도록 한다. (외국인 논문자격시험 대체교과목)교양 / 학사
문학 작품을 읽고 그 작품을 각색한 영화를 감상함으로써 문학과 영화의 매체적 특성과 상호 관계를 공부한다. 먼저 근대 소설의 발전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지만 상이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돈키호테』와 『로빈슨 크루소』를 원작 소설과 영화를 비교하며 살펴봄으로써 소설의 자기반영적 혹은 리얼리즘 기제가 영화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는지 이해하도록 한다. 이후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이슈들이 문학과 영화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비교분석하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문학과 영화의 표현기제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논문 / 대학원
본 과정은 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하며, 개인의 연구분야에 대한 특정 주제에 대해서 지도교수의 지도아래 연구하고 토의하는 강좌이다.전선 / 학사
한문 자료의 해독 능력은 중국문학 전공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과제이다. 고등학교 과정과 교양과정에서 배운 한문 지식을 보다 체계화하고 직접 한문자료를 다룰 수 있는 수준으로 고양시키는 동시에 좋은 문장을 보다 풍부하게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이다. 이 강의에서는 한문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좋은 문장의 전범으로 '맹자'를 선택하여 강독하는 것을 기본적인 과제로 한다. '맹자'강독을 통해 수강자들은 한문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을 쌓아가는 동시에 한문 자료를 다루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한문강독 1>과 연계하여 두 학기에 걸쳐 '맹자'의 완독을 목표로 강의를 진행한다.논문 / 대학원
대학원 석사 및 박사 논문의 체계적인 지도를 위해서, 논문의 준비에 필요한 사료와 관계 연구에 대한 논저의 이해를 통해 연구사 등을 정리하고, 논문 작성에 필요한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지도받는다. 또한 논문 작성 과정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지도교수와 상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또한 과목 개설의 매 학기마다 담당교수가 지정하는 부제에 따라서 논문 연구 과목을 개설하고, 그에 맞추어 논문을 지도한다.전선 / 학사
국어사교재강독은 한문 및 국문으로 남아 있는 국어학 자료 중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것들을 선별하여 강독함으로써 국어학 자료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국어학에 대한 통시적 조감 능력을 기른다. 국어학 자료에 대한 통시적 고찰은 현대의 국어학 자료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토대를 제공한다.교양 / 학사
본 교과목은 리듬, 음향, 음계, 화성, 조성 등의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본질적이고 실제적인 음악의 구성 원리, 즉 작품의 동인(動因)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학, 회화 등 음악 외적 요인과는 무관한 음악 내적인 구성 원리를 탐구한다. 이를 통하여 구체적 의미의 영역을 초월한 ‘추상적(비의미론적) 대상으로서의 음악’을 미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소양을 함양한다.전필 / 학사
바흐 양식의 인벤션을 매주 분석하며 그 양식의 연습곡을 작곡한다. 비단 바흐 양식의 인벤션작곡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양식의 작곡에도 응용될 수 있는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작곡기술을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21세기 매체시대를 맞이하여 문학교육에서는 독서, 독서능력, 독서의 사회화가 중심 테마가 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청소년의 독서행위와 독서습관, 독서와 매체와의 상관관계, 독서능력과 독서효과, 독서와 문학정전의 문제, 문학작품을 통한 독서교육, 독일의 독서교육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룬다.논문 / 대학원
이 과목은 지도교수와 학생간의 상의를 통해 주제를 선정, 연구와 검토를 거쳐 발표, 토론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를 정리하여 논문작성을 위한 학문적인 훈련을 쌓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