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기계공학부
본 과목에서는 기계공학에서 응용되는 여러 가지 수학적 해석기법을 다룬다. 학사과정의 공학수학 1 및 2에서 학습한 방법들을 보다 정도를 높여 대학원 수준에서 기계공학에서의 실제 문제와 연관하여 학습한다.
loading...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 대학원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질병의 병태생리학(494.614) , 생물물리약학(M1605.001800)
Environmental ethics and philosophy
Environmental ethics and philosophy
Social ethics : issues in ethics and society
Social ethics : issues in ethics and society
Bioethics : an anthology
Bioethics : an anthology
Ethics : the big questions
Ethics : the big questions
Birth to death : science and bioethics
Birth to death : science and bioethics
A companion to applied ethics
A companion to applied ethicsEngineering cybernetics
Engineering cybernetics
A companion to bioethics
A companion to bioethics
Critical thinking : strategies for decision making
Critical thinking : strategies for decision making
히포크라테스 첨단의학시대에 살아남을까
히포크라테스 첨단의학시대에 살아남을까
Living and dying well
Living and dying well
Running 5K and 10K : A Training Guide
Running 5K and 10K : A Training Guide
Values and imperatives; studies in ethics.
Values and imperatives; studies in ethics.
The business of management : art or craft?
The business of management : art or craft?
The training of good physicians : critical factors in career choices
The training of good physicians : critical factors in career choices
Bioethics : principles, issues, and cases
Bioethics : principles, issues, and cases
American small sailing craft
American small sailing craft
탄생에서 죽음까지 : 과학과 생명윤리
탄생에서 죽음까지 : 과학과 생명윤리
Applied ethics : a non-consequentialist approach
Applied ethics : a non-consequentialist approach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Pedagogy
Rostoka M.,Kuzmenko O.Human Biology
Winful, Taiye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Bencze L.,Pouliot C.,Pedretti E.,Simonneaux L.,Simonneaux J.,Zeidler D.Theoretical Medicine and Bioethics
Seppe Segers; Michiel De Proost创新创业理论研究与实践 / The Theory and Pracice of Innovation And Entreptrneurship
丛山; 苑硕; 鲍佩华; 叶秀芬; 唐滨; 唐墨; 梁洪; 蔡成涛; 姚晓辉; CONG Shan; YUAN Shuo; BAO Peihua; YE Xiufen; TANG Bin; TANG Mo; LIANG Hong; CAI Chengtao; YAO Xiaohui기초조형학연구
이길옥장애인복지연구
김영준Journal of Chemistry
Yu, Hyunjong; Park, Jun-Young; Kwon, Chang Woo; Hong, Sung-Chul; Park, Kyung-Min; Chang, Pahn-Shick化工高等教育 / Higher Education in Chemical Engineering
吕佳绯; 赵广荣; 宋浩; 李艳妮; 蒋建兰; 冯佳; 朱宏吉; Lü Jiafei; Zhao Guangrong; Song Hao; Li Yanni; Jiang Jianlan; Feng Jia; Zhu Hongji长春工程学院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Changchun Institute of Technology (Social Science Edition)
吴波; 张嵩; 于博; 晓冬; 长青; WU Bo创新创业理论研究与实践 / The Theory and Pracice of Innovation And Entreptrneurship
周黎明; 吴明霞; 喻洪平; ZHOU Liming; WU Mingxia; YU HongpingEducation Sciences
Badir A.,O’Neill R.,Kinzli K.D.,Komisar S.,Kim J.Y.AALL Spectrum
教育教学论坛 / jiaoyu jiaoxue luntan
杨颖; 何伟光; YANG Ying; HE Wei-guang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Eboreime E.A.,Banke-Thomas A.Journalism Studies
Bucholtz I.Ethics & Behavior
Donald Sharpe; Julie Ziemer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Cassie Wallwey; Emily Dringenberg; Bailey Braaten; Yiqing Li; Rachel Kajfez职业技术 / ZHIYE JISHU
黄健; HUANG JianRadiography (London, England : 1995)
Patel K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과학을 실생활과 연결시키는 것은 과학 대중화를 위한 중등 과학교육의 중요한 임무 중의 하나다. 이 과목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가전제품, 사무용품, 의료 기기, 운송수단, 센서와 같은 도구의 과학적 원리를 깊이 있게 조사하고 정리하여 중등 과학교육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구의 제작과 사용에 동원된 과학적 원리를 자세하고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분석하여 자료집을 만들어 중등 과학교육에 응용될 수 있도록 한다.논문 / 대학원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일정 수준의 논문을 작성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식물미생물학 연구자로서 대학원생이 습득해야 할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학생들은 식물미생물학 관련 연구 활동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술 및 정보, 식물미생물학 분야의 진로 등 향후 식물미생물학 연구자로서 활동에 필요한 전반적인 정보를 얻고 관련 기술을 습득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전공 2학년을 대상으로 바이오시스템공학의 교육과 연구 분야를 학습하는 과목으로 전공 개요와 세부 연구영역, 전공과목 및 교과과정, 졸업 후 진로 등을 소개하고 대학원 실험실의 연구분야를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진로와 미래 바이오시스템공학도의 연구역량을 확보하는 기초를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필 / 대학원
본 과목은 공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이 개별 프로젝트 관련 연구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연구 수행에 관련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전공 필수 프로젝트 지도과목 중 첫 번째 과목이다. 학생들은 관련 분야의 논문, 최신 기술에 대한 동향 등 여러 종류의 문헌 검토를 통하여 관련 분야에서 존재하는 연구 갭들을 파악하고 이 중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한 후 전체 연구 프로젝트의 목표 및 문제를 설정한다. 지도교수는 관련 문헌 및 분야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연구토픽에 대한 지식들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며 학생들의 개별 프로젝트 정의 형성과정을 지도하고 검토한다.전선 / 학사
재료공학부 전체 교수가 참여하여 현재 각 교수들이 수행하고 있는 연구를 자세한 배경 설명을 곁들여 소개함으로써 재료공학이라는 학문이 실제로 어떻게 응용이 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미래에 재료공학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될 것인가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장래 목표설정에 도움을 주는 강좌로 개설됨.전필 / 학사
이 강의는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신입생을 대상으로, 화학생물공학의 기본 개념과 응용 분야를 소개한다. 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화학공학과 생물공학의 교차점에 대해 학습하고, 최신 연구 동향과 기술 발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AI, 에너지, 신소재, 바이오, 반도체, 화학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화학생물공학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실례를 통해 탐구한다. 이 과정은 이론적 지식과 실용적 응용 사이의 균형을 맞추며, 학생들이 복잡한 공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지속 가능한 개발, 에너지 효율, 환경 보호 등 현대 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이슈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전선 / 대학원
동양의 시대적 상황에서 나타난 윤리적 문제를 다루고 그것을 현대적 시각에서 재조명하는데 중점을 둔다.전필 / 학사
<인간·사회·의료 1>의 목표는 1학년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 윤리, 심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의학역사 속에서 의료인문학의 각 주제들을 사고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데 있다.전선 / 대학원
분자생물학을 세부전공분야로 선택한 대학원생들을 위해 분자생물학과 관련된 분야에서 최근에 발표된 중요한 연구에 대한 문헌의 고찰 및 토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최근의 연구동향을 review하여 보고, 각자가 직접 문헌을 찾고 발표를 하면서 학문의 깊이와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또한 탐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각자의 전공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여, 급격하게 발전하는 학문추세에 대한 진취적인 수용적 자세와 비판적인 능력을 아울러 갖출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전필 / 대학원
생명공학 종자기술의 기초 이론에 대한 최신연구와 국내외 연구결과에 대한 다양한 학술논문을 학습하고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연구내용의 발표 및 토의를 통한 수업을 진행한다. 또한 대학원생의 연구내용과 관련이 있는 기초 기술 및 이론에 대해 토론함으로써 연구 논문의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전필 / 학사
‘과학적 관리’는 산업공학의 기초 필수교과목이다. 산업공학 전공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산업공학이 추구하는 이념, 원칙, 범위, 기본적 방법론 등을 강의한다. 수강생들은 Frederick Winslaw Taylor를 비롯한 산업공학 선구자들이 추구했던 사상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서 산업공학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며, 또 오늘날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을 시도하여 과학적 관리의 진정한 의미를 체화한다.논문 / 대학원
구체적인 논문의 방향을 잡아가고 그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점에 대해 의견을 나눔으로써 보다 깊이 있는 논문을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과목으로 전체적인 개요를 잡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학생들의 논문 진척정도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교양 / 학사
전선 / 대학원
이론과 실무의 조화가 중요한 기록관리의 특성상 실무교육은 교과내용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기록학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미래의 업무수행을 위한 실무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 강의는 기록의 수집, 평가, 정리, 기술, 보존 등 수업에서 다뤘던 기록관리 전반을 현장에서 실습하여 현장 적응력을 제고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학생들이 연구방법론의 필수 지식과 기술을 보강, 확대하고 나아가 관련내용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방법론상 견고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다루어지는 주제는 연구문제의 형성, 분석틀의 구성, 가설의 형성, 조사설계의 선택, 표본선정, 측정 등이 포함되며, 각 방법의 장단점 분석과 실제적용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또한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근거기반 정책과 실천, 과학적 연구의 사회정책과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 과학적 방법론과 연구윤리 및 실현가능성의 균형 맞추기, 논문게재와 학회발표 등을 통한 연구결과의 보급 등에 관한 탐색과 토론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수업내용에 기반한 학생들 자신의 연구제안서 혹은 논문의 작성 연습, 타인의 연구제안서나 기존논문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한 연구능력의 향상이 시도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예비 교사들에게 도덕․윤리 교과의 성격 및 목표에 부합되도록 논술을 지도할 수 있는 교사 역량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도덕․윤리 논리 및 논술교육의 목표, 지도 및 평가 방법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 내용 영역에서 제기되어 온 핵심 쟁점(특히, 정치철학, 서양윤리학, 동양윤리학, 통일학 등 다양한 교과 배경 학문 영역에서 중요한 논쟁적 이슈)을 활용하여 논술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화학산업 관련된 산업체에 종사하는 외부인사를 초청하여 강연하게 함으로써 산업계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게 하고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전필 / 학사
이 강좌는 전기전자 공학을 전공으로 학습하기 시작한 학생에게 전기전자 공학의 기초적이며 전반적인 원리 및 응용과 보고서 작성법, 구두 발표방법 등의 지식 및 연구윤리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개설되었다. 강좌의 내용은 전기전자 공학의 역사, 기초 원리, 응용 및 전기전자 공학의 전망 등을 다루어서 전공 분야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아울러, 공학자로서의 갖추어야 할 능력인 보고서 작성법, 구두 발표 방법, 연구 윤리에 대해서 강의한다. 이 강좌를 통하여 전공 분야에 대한 폭 넓은 시야를 갖도록 하며 공학 연구자로서의 기본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려 한다.전필 / 학사
(수의생명의학 연구 현장 실습) 본 과목에서는 수의생명의학 연구 분야 현장에서 2주간 근무하면서 실제로 연구소에서 수의생명의학을 연구하기 위해 어떤 연구방법과 실험을 통해 연구를 하는지 그 경험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학생은 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계획, 연구수행, 연구결과판정 등의 실습을 통해 수의사로서 지녀야 할 기본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