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전위, 전극반응의 속도론, 계면의 전기화학 등의 기초지식 습득을 시작으로 voltammetry 및 spectroelectrochemistry에 의한 화학물질의 물성조사, 분석, 또한 반도체의 광전기화학에 관하여 강의한다. 전기화학공업의 분야로는 광화학적 에너지전환, 전지, 부식 및 센서 등이 포함된다.응용바이오공학과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바이오공학 분야의 연구현황과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세미나 형태로 진행된다. 이 세미나의 주요 주제는 생체 소재, 바이오 의료기기, 의료 영상, 그리고 나노바이오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이며,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과 산업체에서 초청된 저명한 연사들의 초청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다.물리·천문학부
열과 통계물리학의 기본 개념을 다루며 <00.211 역학 1(또는 300.209 역학개론)>과 <300.214 전기와 자기(또는 884.002 전자기학개론)>이 먼저 수강했어야 하는 과목이다. 주요 내용은 상태수와 엔트로피, 열역학의 여러 법칙, 볼츠만 분포, 이상기체의 성질, 깁스 자유에너지와 화학반응, 상전이, 기체분자의 운동이론, 브라운 운동 등이다.영어교육과
낭만주의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영문학과 영국문화의 개관으로서 선별된 작품의 감상과 당대의 시대정신 및 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배경지식을 제공한다.기계공학부
본 과목에서는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다양한 기계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과 동적 거동의 라플라스 공간, 주파수 공간 및 상태 공간에서의 해석 방법에 대해 배우고, 그에 기반한 기본적인 제어 설계 및 해석 기법에 대해서 공부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국제 스포츠 및 레저에 관련된 연구와 최근 이슈를 살펴봄으로써, 스포츠/레저조직에 대한 지식을 쌓고 더욱 폭넓은 이해를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포츠와 레저 조직을 경영할 때 고려해야 할 기초적인 부분들에 대해 초점을 두고, 다양한 스포츠 조직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하여 관리적 관점에서 계획, 실행, 평가해 봄으로써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해 본다.화학생물공학부
촉매반응의 구분 및 특징, 촉매의 종류와 정의, 촉매작용에 관한 이론 및 공업적 반응, 촉매로 많이 이용되는 금속의 결합구조 및 특성, support의 종류 및 특성 등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이와 아울러 흡착·탈착의 특징, 촉매반응의 속도론, 기초적인 표면화학 분야 등도 다루어 실험으로의 응용과 촉매반응의 반응기구 및 특징 등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배우게 된다.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세포 및 T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loading...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방사성의약품화학 개론(M1605.001600) , 데이터사이언스의 원리와 응용(M2480.001100)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세포 및 T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Lactogenic immunity in the sow : a practical approach
Lactogenic immunity in the sow : a practical approach
Immunogenicity
ImmunogenicityImmunology
Immunology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held at Racine, Wisconsin, October 30-November 1, 1986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held at Racine, Wisconsin, October 30-November 1, 1986
(Kuby) 면역학
(Kuby) 면역학
Avian immunology
Avian immunologyLymphocytes and mast cells,
Lymphocytes and mast cells,Progress in immunology, V
Progress in immunology, V
Immunology
Immunology
(Roitt) 면역학
(Roitt) 면역학
Biology of the immune response
Biology of the immune response
T-Cell immunology
T-Cell immunology
Immunology : a short course
Immunology : a short course
Case studies in veterinary immunology
Case studies in veterinary immunology
New Trends in vaccine Rearch and Development : adjuvants, delivery systems and antigen fromulations, February 26-28, 1998 = Nouvelles tendances dans la R & D des vaccins : adjuvants, presentation et formulation de l'antigene, 26-28 Février 1998
New Trends in vaccine Rearch and Development : adjuvants, delivery systems and antigen fromulations, February 26-28, 1998 = Nouvelles tendances dans la R & D des vaccins : adjuvants, presentation et formulation de l'antigene, 26-28 Février 1998
핵심 면역학 =
핵심 면역학 =
Immunology : understanding the immune system
Immunology : understanding the immune system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Blood Research
Chantana Polprasert, Kitsada Wudhikarn, Ponlapat RojnuckarinAllergology International
Kanno T.,Adachi Y.,Ohashi-Doi K.,Matsuhara H.,Hiratsuka R.,Ishibashi K.i.,Yamanaka D.,Ohno N.Journal of Molecular Liquids
Yu Z.,Ellahi R.,Nutini A.,Sohail A.,Sait S.M.JOURNAL OF THROMBOSIS AND HAEMOSTASIS
Chauhan, Anoop J.; Wiffen, Laura J.; Brown, Thomas P.Multiple sclerosis and related disorders
Rød BE; Wergeland S; Bjørnevik K; Holmøy T; Ulvestad E; Njølstad G; Myhr KM; Torkildsen ØFood and Chemical Toxicology
Tanmay S.,Labrou D.,Farsalinos K.,Poulas K.Leukemia
Perzolli A; Koedijk JB; Zwaan CM; Heidenreich OFrontiers in Immunology
Renner T.M.,Akache B.,Stuible M.,Rohani N.,Cepero-Donates Y.,Deschatelets L.,Dudani R.,Harrison B.A.,Baardsnes J.,Koyuturk I.,Hill J.J.,Hemraz U.D.,Régnier S.,Lenferink A.E.G.,Durocher Y.,McCluskie M.J.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Chen G.,Huo X.,Luo X.,Cheng Z.,Zhang Y.,Xu X.Vaccines
Shimodaira S.,Yanagisawa R.,Koya T.,Hirabayashi K.,Higuchi Y.,Sakamoto T.,Togi M.,Kato T.,Kobayashi T.,Koizumi T.,Koido S.,Sugiyama H.Animals
Yuan C.,Tan D.,Meng Z.,Jiang M.,Lin M.,Zhao G.,Zhan K.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Ramendra Pati Pandey; Sachin Kumar; D N Rao; Dablu Lal Gupta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Posch W.,Vosper J.,Noureen A.,Zaderer V.,Witting C.,Bertacchi G.,Gstir R.,Filipek P.A.,Bonn G.K.,Huber L.A.,Bellmann-Weiler R.,Lass-Flörl C.,Wilflingseder D.International review of cell and molecular biology
Lecoester B; Wespiser M; Marguier A; Mirjolet C; Boustani J; Adotévi OImmuno-Oncology and Technology
Rafiei, A.; Bengert, I.; Kerr, L.; Sigrist, J.; Yang, C.L.; Gualandi, M.; Kumar, A.; Ebersbach, H.; Coats, S.; Belaunzaran, O. MarroquinAdvanced Science
Qin T.,Ma S.,Miao X.,Tang Y.,Huangfu D.,Wang J.,Jiang J.,Xu N.,Yin Y.,Chen S.,Liu X.,Yin Y.,Peng D.,Gao L.Cytokine
Imoto S.,Suzukawa M.,Takeda K.,Asari I.,Watanabe S.,Tohma S.,Nagase T.,Ohta K.,Teruya K.,Nagai H.CELLULAR & MOLECULAR IMMUNOLOGY
Sogkas, Georgios; Atschekzei, Faranaz; Adriawan, Ignatius Ryan; Dubrowinskaja, Natalia; Witte, Torsten; Schmidt, Reinhold Ernst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Scott P.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연충의 감염시 숙주 면역반응은 type 2 면역반응의 특징을 나타내며 이는 원충에서 나타나는 반응(type 1)과 구별된다. 특히 연충의 이러한 면역 반응은 알러지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의 억제와 많은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의학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강의를 통해 연충에 의한 면역반응에 대해 깊이 연구하고 면역관련질환을 면역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면역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면역 활성 및 억제, 회피현상들이 어떠한 기전에 의해 일어나는지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며 인체의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들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나아가, 면역학적 지식을 이용한 예방백신의 개발, 치료용 항체, 줄기세포나 조직이식시 대두될 수 있는 면역거부반응 등 다양한 응용적 측면에 대해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 세포 및 T 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전선 / 대학원
암세포는 끊임없이 우리몸의 면역세포의 면역력을 억제하거나 회피하여 점점 더 증식합니다. 이러한 암세포의 특징은 암환자의 치료중재 후에도 더 진행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강의는 면역계의 생리학적 역할에 대한 기본 지식에서 부터 면역 항암요법의 최신 치료 동향과 이해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항체, 펩타이드, 단백질, 소분자, 보조제, 사이토 카인,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이중 특이 적 분자, 세포 치료 및 면역 세포 사멸 (ICD)을 포함한 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명합니다. 면역 반응을 유도 치료부터 표적 항암 치료 방법에 대해 공부할 것입니다. 특정 주제 : 1. 면역 반응 소개 2. 암 면역 요법의 최근 병력 3. 새로운 약물 개발 고려 사항 4. 지금까지 개발 된 면역 요법 : 주요 항암 면역 치료 요법 5. 새로운 세대의 항암 면역 치료 6. 메카니즘 공부 : a. 후성 면역학 : 면역 반응에 대한 후성 약물의 효과 b. 복합 면역 요법 c. 표적 항암제 d. 면역 요법 치료의 부작용전선 / 대학원
세포면역학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는 학문으로 교과서에서 다루는 지식만으로는 국제적인 학문 추세를 이해하기 어려움. 따라서 최신 세포면역학 특론에서는 가장 최근에 대두된 면역학의 화두 및 연구내용, 그리고 치료법 적용 시도 등을 ‘면역세포’를 중심으로 논의함으로써 대학원생들의 최신 면역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전선 / 대학원
○ 인체 면역계에 대하여 학습함 ○ 인체 면역계를 구성하는 면역장기들에 대해서 학습함 ○ 면역장기를 구성하는 세포들에 대해서 학습함전선 / 대학원
면역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면역계질환들의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는 정상적인 면역계의 반응 및 조절기능 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또한 기초 면역학 연구와 응용분야 사이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는 면역학의 핵심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본 교과목은 특히 과민반응, 자가면역반응과 면역결핍 등 면역반응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의 유전적, 환경적인 원인과 이를 매개하는 면역학적 조절기전에 초점을 맞추어 전반적인 내용 및 각 질환에 대해 다루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정상적인 면역반응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면역학적인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질환의 진단법 및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생명체의 기본 단위인 개체 고유성을 유지하는 면역현상은 자신과 자신을 포함한 주위 환경과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현대 면역학이 환원론적 분석방법에 의거하여 특정 유전자나 생체물질에 대한 규명을 이룬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의하여 많은 진전을 이루었지만, 여러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다루는 진정한 의미의 면역학 발전이라는 관점에서는 이미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면역학에서는 최근 주체와 환경간의 인식 작용이 필수적인 인공 지능 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는 시스템 이론 등을 도입하여 비환원론적이며 총체적인 연구 접근 방식이 도출되고 있다. 본 교과목은 현대 면역학의 한계에 대한 이해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의 비환원론적 연구 방식에 대한 개론적 강의이다. 교재로서는 Irun Cohen 교수의 ‘Evolving the Cognitive Immune Self' (Academic Press, 2000)을 사용한다.전필 / 학사
면역시스템은 생명체가 유해한 외부 인자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선천면역 시스템과 후천면역 시스템이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작용한다. 본 면역학 강좌에서는 면역 세포가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는 원리와 선천면역 시스템에서 후천면역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유기적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면역세포는 흉선에서 발달하여 말초에서 항원을 만나 활성화 되어 암, 자가면역, 병원체 방어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양한 면역 세포의 아형 중 선천성 T 세포 (innate T cell)은 흉선에서 기억 세포로 발달하여 말초에서 항원을 만날 경우 즉각적으로 활성화 되어 기존의 T 세포와 구별되며 우리 몸에 있는 T 세포의 20-30%를 차지한다. 선천성 T 세포는 NKT (natural killer T), MAIT (mucosal-associated invariant T), gamma delta T 세포를 포함하여 사람과 마우스에서 공통적인 발달 양상을 보인다. 본 강의는 발표 수업을 통해 선천성 T 세포의 흉선 발달과 다양한 면역 질환에서의 역할에 대해 최신 지견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선천면역 반응과 관련된 다양한 기관들에 대해 이해하고, 선천면역 관련된 실험적 기법과 결과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천 면역 반응은 생물이 이미 가지고 있는 면역 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세균이나 미생물의 감염에 반응하여 빠르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선천 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면역 세포들로는 상피세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상피 내 존재하는 림프구 등 다양한 세포들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이러한 선천면역 세포들을 포함한 선천면역계의 핵심 주제들과 최신 연구동향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전선 / 대학원
인간, 설치류, 가축을 중심으로 한 면역학의 최근 연구를 바탕으로 동물과학, 수의학, 비교의과학 대학원생에게 융합연구를 위한 고급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강의는 선천성/적응성 면역, 항원 처리 및 제시, 면역 반응의 효과적인 메커니즘, 질병 및 방어에 대해 설명하고 토의한다. 이 과정은 동물모델 활용, 인간의 질병 치료 또는 예방, 숙주의 방어면역 증진과 같은 면역학적 접근을 목표로 세포 생물학과 응용 생명공학에 종사하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유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