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loading...
사범대학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경험과 성장(M2184.000500) , 영문학개론(707.207)
본 강좌는 교사가 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하는 것 이외에 지역 사회의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전인적 인격을 지닌 교육실천가로서 공동체 의식을 갖고 교사로서의 사명감과 인간애를 구현하도록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이 강좌는 기본 교육, 교육봉사활동, 평가회로 구성되며, 교육봉사활동으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보조교사, 부진아 학생지도 방과후교사, 초등돌봄교실 및 자유학기제 관련활동, 다문화학생 지도, 학생 생활지도 관련 활동, 재능기부 등을 교육적인 방법으로 실시한다.
The Anthropology of experience
The Anthropology of experience
Cross-national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Cross-national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Dance in the city
Dance in the city
생각을 담는 수업 : 비판적 사고 기능 익히기
생각을 담는 수업 : 비판적 사고 기능 익히기
Embodied progress : a cultural account of assisted conception
Embodied progress : a cultural account of assisted conception
Counternarratives from Asian American art educators : identities, pedagogies, and practice beyond the Western paradigm
Counternarratives from Asian American art educators : identities, pedagogies, and practice beyond the Western paradigm
The space between : a Christian engagement with the built environment
The space between : a Christian engagement with the built environment
Style, politics, and the future of philosophy
Style, politics, and the future of philosophy
Theory and practice in the study of adult education : the epistemological debate
Theory and practice in the study of adult education : the epistemological debate
Family theories
Family theories
The age of ideology : the 19th century philosophers
The age of ideology : the 19th century philosophers
Ethics and finitude : Heideggerian contributions to moral philosophy
Ethics and finitude : Heideggerian contributions to moral philosophy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Dance and ritual play in Greek religion
Dance and ritual play in Greek religion
Morality, philosophy, and practice : historical and contemporary readings and studies
Morality, philosophy, and practice : historical and contemporary readings and studies
Changing teachers, changing times : teachers' work and culture in the postmodern age
Changing teachers, changing times : teachers' work and culture in the postmodern age
The sociology of art : ways of seeing
The sociology of art : ways of seeing
The impact of Michel Foucault o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The impact of Michel Foucault o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istory and theory : contemporary readings
History and theory : contemporary readings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Eve Olney; Krini Kafiris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Bhuiyan, Miraj AhmedJournal of Borderlands Studies
Roluahpuia温州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Wenzhou University(Social Sciences)
张磊; 陈力祥; ZHANG Lei; CHEN LixiangTheological Studies
Minch D.Environmental Values
Luque-Lora R.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민동필湘南学院学报 / Journal of Xiangnan University(Medical Sciences)
周亚金; Zhou Yajin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 of Ideas
Omodeo P.D.,Garau R.,Rispoli G.Journal of Social Issues
Normann S.成都体育学院学报 / Journal of Chengdu Sport University
王松; 阿柔娜; 郭振; 刘波; WANG Song; A Rouna; GUO Zhen; LIU BoSocial Forces
Coley, Jonathan S.Human Ecology: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Mafferra, Luis Eduardo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La Revue Canadienne des Langues Vivantes
Jasor, Ingrid; Paquet, Pierre-luc; Woll, NinaThe Communication Review
Aly HillJournal of Literary Studies/Tydskrif vir Literatuurwetenskap
Sebola, Moffat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Peters, Michael A.Journal of Applied Philosophy
Samuel O.S.,Omosulu R.Southwestern Historical Quarterly
Joseph L. LockeSociology Compass
Cousins E.M.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양 / 학사
본 수업은 음악작품들을 중심으로 음악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역사적·체계적 관점에서 다룬다. <철학적 시각에서 음악에 대한 어떠한 이론이 전개되었는가?>, <음악에는 어떤 철학적 의미가 내재되었는가?>의 주제를 중심으로 철학적 텍스트와 다양한 음악작품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음악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이 이 수업의 목적이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에서는 인류학의 다양한 학설들이 발전해 나온 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인류학이라는 학문이 지닌 특성과 인류학의 주요 개념이나 이론, 그리고 방법들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 과목에서는 서구 학문에서 인류학이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피고, 이어 19세기 후반기를 풍미했던 진화주의의 이론과 방법론적 특성을 고찰한다. 다음에 20세기 전반기에 진화주의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전파주의, 기능주의, 역사적 특수주의 등의 관점을 대비적으로 고찰한다. 나아가 신진화주의, 구조주의, 민족과학, 행위이론, 네오마르크스주의, 해석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 20세기 중반기 이후 인류학의 주요 이론적 사조들에 대해 그 대표적 이론가들의 업적을 중심으로 학습한다.전선 / 학사
음악사회학은 음악을 사회적 산물로 보고 음악 현상의 사회적 기원과 그 과정 및 구조를 연구한다. 따라서 예술가, 예술작품, 예술제도, 청중의 조직과 상호작용이 연구대상이 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종교를 둘러싼 제반 사회적 행위를 분석대상으로 하며, 특히 현대 사회에서 종교가 수행하는 역할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문화와 문화환경의 개념을 이해하고, 최근 들어 이슈가 되고 있는 문화산업과 문화엔지니어링을 살펴본 후, 문화환경설계 관련 워크샵을 진행한다. 학기 후반부에는 도시 문화 정책과 관련된 도시 문화환경 및 이벤트를 알아보고, 전통 도심 및 새로이 조성되고 있는 도시 문화환경의 사례를 연구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기술과 인간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진화해온 관계, 즉 공진화(co-evolution)의 관점에서 AI 시대의 인간다움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사고, 감정, 공동체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다각도로 살펴봅니다. 특히 '따뜻한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기술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 공감, 윤리, 창의성을 담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심리, 인지, 사회 구조 등 인간 이해의 다양한 접근을 통해 기술 환경 속에서도 중심을 잃지 않는 자기 성찰과 책임 있는 판단력을 기릅니다. 이론 학습과 함께 토론, 글쓰기, 감각 기반 표현 활동 등을 융합하여, 기술과 인간이 어떻게 함께 살아갈 수 있을지를 실천적으로 고민합니다. 궁극적으로는 기술과 함께 공존하는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인간다움의 조건을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특강형식으로 불교철학의 특정 주제를 집중 연구하고, 또 최근 학계에서 불교철학이나 불교철학과 관련되어 논의되고 있는 핵심 쟁점들을 다룬다. 불교학의 최신 연구 경향을 알아 볼 수 있는 주제들을 선정하고 관련 자료들을 검토한다.전선 / 학사
대표적인 독일문화를 문자매체와 영상매체를 통해 감상함으로써 독일문화과 예술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영상매체를 이용해서 보다 사실적으로 독일문화교육의 발전과정에서 문화교육의 가치와 주요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문예학의 발전과 사회적, 문화적 발전에 상응하는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이해하고자 한다. 문화교육의 목적,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교수법적 측면에서 본 문화교육, 한국문화 교육의 현재와 독일 문화교육의 수용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될 수 있다.전필 / 학사
본 강좌는 문학교육의 개념, 성격, 범주 및 의의와 실제 교수-학습, 평가, 감상 등 문학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인 문학의 교육작용과 현대의 교육이 만나는 데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 위에서, 문학교육은 인문교육에 있어서 정당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특히 장차 문학교육의 실천과 연구를 담당하게 될 사람들에게는 이 강좌는 문학교육의 본질과 의의를 다시 생각하게 하고, 그 기초적 지식과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교양 / 학사
현대 생명과학의 세기에 필수적인 생물학 지식을 인문사회 및 예체능 계열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리더가 갖추어야 할 교양을 함양케 한다. 이를 위해 생명체의 본질을 이해하게 하고, 생명의 다양성과 환경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한다. 또한 기초적인 실험을 통해 생물학을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생명과학 관련 각종 사회적 이슈에 대해 과학적 지식을 갖고 토론하게 한다.교양 / 학사
일본 역사상 중요한 인물들을 통해 일본사의 전개와 특성을 검토한다. 단순히 인물의 일대기를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그 인물들의 행동과 사상을 가능케 했던 시대적 배경과 사회구조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한 개인의 역사적 선택, 결정, 성향 등을, 그 배후에 놓여있는 거대한 역사적 흐름의 관점에서 바라 볼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전선 / 대학원
한국역사상의 전통과학과 기술의 변화⋅발전을 학습한다. 천문학, 우주론, 의학, 과학 활동 등의 전통 과학기술이 시대적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동했는지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검토하며 그 시대적 의미를 고찰하는 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현대 도시공간의 복합적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이 수업은 지리학, 사회학, 계획학, 정치경제학과 같은 다양한 학문 분야를 바탕으로 도시화 과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도시이론, 신자유주의적 도시 정책, 도시적 삶에 대한 사회 이론, 비판도시이론 등 고전이론부터 현대적 관점까지 도시적 사고의 역사적 진화를 탐구한다. 학생들은 도시와 공간에 관한 주요 이론과 사례를 학습함으로써 도시공간의 생산과 소비, 공간적 불평등과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사회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힘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함양할 수 있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공학도에게 건축을‘보여’준다. 칸트가 정의한‘진’의 범주를 건축이나 공학에 적용하면 구조나 얼개가 정확하여 잘 작동하는지 따지는데 해당한다. ‘선’의 범주는 착한 가격 같은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제품의 경제성, 건설 제작 가능성을 가늠하여 좋고 나쁨을 가리는 범주에 속한다. ‘미’의 범주는 다양한 아름다움을 눈으로 보고 판단하는 인식 기관의 활동 범주에 속하는데 이는 건축과 공학의 어떤 부분에 해당할까? 이 강좌에서는 각 시기에 이룬 다양한 건축물 중 대표작 하나를 선정하여 각 공간의 창의적 구성 방식을 살펴보고 그 미적 효과를 감상한다. 더불어 건축을 건축가, 건축주, 건설인, 사용자나 동서양 문화권이 서로 주도권을 주장하는 경쟁 관계로 보는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 매 시기 새로운 공간과 건축 형식을 발견해 가면서 이룩한 인류 공동 문화유산으로 본다. 이러한 건축 문화적 협동 과정을 담당한 주체를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슬기 사람)중에서도 호모 사피엔스 아키텍투스 (건축 지은 슬기 사람) (줄여서 호모 아키텍투스/ 건축 지은 사람)이라 부르고자 한다. 이 강의는 진선미를 두루 갖춘 인류 건축 문화 유산을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건축학도를 포함하는 공학도가 갖추어야할 진정한 창의 의식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현대 사회에서 지식이 차지하는 위치의 변화, 그리고 지식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사고방식의 변화등을 다룬다. 이 강좌에는 규율의 형태로서의 지식과 자유를 위한 지식, 정치에서 지식인의 역할 등을 중심적으로 다룬다.전선 / 대학원
광고, TV 드라마, 영화 등 각종 영상매체와 공연예술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20세기 이후 급속히 발전해온 매체의 발달로 인해 전통적으로 인정되어온 연극적 특성이 새로운 매체환경에서 겪게되는 변화양상과 새로운 쟝르 개척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른바 뉴미디어와 공연예술의 연관성도 주요한 관심사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전선 / 학사
본강좌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커다란 쟁점이 되는 문제를 사회학적 시각에서 다룬다. 그 주제는 해마다 달라진다.전선 / 학사
현재 전 세계에서는 각 지역별로 체계적인 고고학 조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과목은 이러한 최신의 고고학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목에서 다루어질 지역은 유럽, 아프리카, 미국, 중남미 지역을 포괄하며, 시간적으로는 구석기 시대부터 국가 형성기를 포함하되, 실제 강의에서는 지역과 시기를 적절히 고려한 후 특정 주제를 정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세계 각지의 고유한 선사 및 고대 문명에 대해 한층 심화된 지식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의 관심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