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페이지 (1/1)
더보기페이지 (1/14)
더보기페이지 (1/0)
더보기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페이지 (1/0)
더보기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페이지 (1/0)
더보기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페이지 (1/1)
더보기김권재.; 교육방송.EBS 미디어센터 공급
2012년
1919년 국권이 강탈되어 조선총독부의 무단통치로 암울했던 시기에는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도 박탈당했다. 당시 가장 대표적인 신문이었던 대한매일신보는 경술국치 바로 다음 날 매일신보로 바뀜과 동시에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역할을 했다. 전국 방방곡곡에서 독립만세를 거족적으로 펼쳐나갔던 3.1 독립운동을 소요 사태로 표현하고 고종황제의 독살설도 빠지는 등 일본의 처지에서 왜곡된 보도가 되었음을 자료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일제의 삼엄한 검열과 통제 속에서도 민족지로 있었던 일명 지하신문과 해외동포들이 발행한 신문, 국민대의 취지문과 선포문 등을 살펴 당시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3.1 독립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확인해본다. 또한, 3.1 독립운동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던 앨버트 테일러라는 미국인 특파원과 해외에서 보도된 기사들을 통해 국내 혹은 해외동포 뿐 아니라 세계 언론이 주목하며 계속 기사화되었음을 확인해보고, 당시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민족운동, 필리핀 마닐라 학생들의 독립운동, 이집트 카이로 학생들의 독립운동 등을 통해 세계사적으로도 엄청난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었음을 밝혀본다.'일제, 검열' 에 대해 도서 결과가 1건 있습니다.
'일제, 검열' 에 대해 논문 결과가 133건 있습니다.
'일제, 검열' 에 대해 강의 결과가 0건 있습니다.
'일제, 검열' 에 대해 서울대 연구자 결과가 0건 있습니다.
'일제, 검열' 에 대해 기타자료 결과가 1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