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의학과
신경근육질환은 척수, 척수뿌리, 뇌신경, 말초신경, 근신경접합부와 근육의 장애로 발생하는 질환들이다. 이 과목에서는 이 분야 질환들의 최신 지견에 대한 강의와 토론, 논문리뷰를 통하여 이 질환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임상연구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한다.화학생물공학부
화학공학에 관련된 최근의 학술연구에 대한 동향이나 산업계의 현황을 습득하게 하는데에 주목적을 둔다. 그러므로 관련 분야의 전문가의 초빙 강연을 통하여 새로운 공학적 기술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연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 자신의 연구 내용을 발표하게하여 연구 방향을 체계화 시키고,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질의 응답을 통하여 타인의 연구내용을 토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국어국문학과
고대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문학 작품으로의 이해와 해석의 방법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어법, 운율, 표현 방법 등에 유의하여 고전 시가 작품을 강독하면서 작품을 읽고 작품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loading...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중급회계1(251.204A) , 시창청음 2(650.1245)
고대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문학 작품으로의 이해와 해석의 방법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어법, 운율, 표현 방법 등에 유의하여 고전 시가 작품을 강독하면서 작품을 읽고 작품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武人時代와 삼별초 : 유현종 대하역사소설
武人時代와 삼별초 : 유현종 대하역사소설
현대시조, 정격으로의 길 : 현대시학과 시조의흐름 및 시조창작원리
현대시조, 정격으로의 길 : 현대시학과 시조의흐름 및 시조창작원리
그리움은 세월의 뒤안길로 다닌다 : 안영희 시조집
그리움은 세월의 뒤안길로 다닌다 : 안영희 시조집
연꽃속의 부처님 : 박희진 시집
연꽃속의 부처님 : 박희진 시집
두두 : 오규원 시집
두두 : 오규원 시집
中国说唱文学之发展流变
中国说唱文学之发展流变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와인즈버그, 오하이오
와인즈버그, 오하이오
杏亭風月 : 漢詩集
杏亭風月 : 漢詩集
시가 바람되어 구름 속을 걷다 : 윤재희 시집
시가 바람되어 구름 속을 걷다 : 윤재희 시집
The Aeneid
The Aeneid
Emily Dickinson's poems : as she preserved them
Emily Dickinson's poems : as she preserved them
Revolution plus love : literary history, women's bodies, and thematic repetition in twentieth-century Chinese fiction
Revolution plus love : literary history, women's bodies, and thematic repetition in twentieth-century Chinese fictionArt and context in late Medieval English narrative : essays in honor of Robert Worth Frank, Jr.
Art and context in late Medieval English narrative : essays in honor of Robert Worth Frank, Jr.둥근 밀떡에서 뜨는해 : 김길나 시집
둥근 밀떡에서 뜨는해 : 김길나 시집
러브 스틸러 : 스탠 패리시 범죄 스릴러
러브 스틸러 : 스탠 패리시 범죄 스릴러
한국문학의 근본주의적 상상력 : 정호웅 평론집
한국문학의 근본주의적 상상력 : 정호웅 평론집
Verlaine
Verlaine
문학교육 틀짜기
문학교육 틀짜기
T. S. 엘리엇의 시와 시극에 대한 종교적 접근
T. S. 엘리엇의 시와 시극에 대한 종교적 접근영어영문학연구
김영수Journal of Global Postcolonial Studies
Roberts, TaylorArchives and Records
Michelle Paull山东师范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ShanDong Normal University(Social Sciences)
孙之梅; Sun Zhimei중국어문논총
姚大勇British Journal of Middle Eastern Studies
Behnam Mirzababazadeh Fomeshi上海戏剧 / Shanghai Theatre
史欣冉Boundary 2
Bernstein C.Methis
Merilai A.대한소화기학회지
한동수Archiv für Religionsgeschichte
Johnston, Sarah Iles辽宁师范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Liaoning Normal University (Social Sciences Edition)
刘文飞; Liu Wenfei国际比较文学(中英文) / International Comparative Literature
徐志鸿; XU Zhihong哈尔滨学院学报 / Journal of Harbin University
张若男; ZHANG Ruo-nanUniversity of Toronto Quarterly
Lepage, Élise淮南师范学院学报 / Journal of Huainan Normal University
吴怀东; WU HuaidongNASLEDE
Pavlovic, Tomislav M.EUPHORION-ZEITSCHRIFT FUR LITERATURGESCHICHTE
Manger, KlausThe Journal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Byeong-chun NoModern Language Review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롱기누스등의 문학비평이론에 대한 원전을 강독함을 통해서 고전시대 문학비평의 내용과 방법을 검토하고 연구한다.전필 / 학사
프랑스문학개론은 중세에서 현대까지의 프랑스 문학을 대상으로 삼는다. 한편으로는 여러 문예사조를 중심으로 문학사적 접근의 중요성과 의의를 배우며, 다른 한편으로는 대표적인 텍스트들을 읽고 해석하면서 텍스트 설명이라는 정치한 해석 방식의 기초를 배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문학사의 흐름, 문학과 사회의 관계, 개별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프랑스문학개론 1에서는 프랑스어가 문학의 언어로 사용되기 시작한 중세 텍스트들에서 출발하여, 르네상스 및 16세기의 작품들, 바로크 문학, 고전극으로 대표되는 17세기의 고전주의 문학, 그리고 18세기 계몽주의 문학 텍스트들을 다룰 것이다. 몽테뉴, 라블레, 라신, 코르네유, 볼테르, 루소처럼 프랑스 문화와 사상의 꽃을 피운 대가들의 작품을 통하여 우리는 전통 프랑스 문화의 핵심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전선 / 학사
17세기 식민지 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시인들의 작품을 광범하게 읽고 미국시의 특성과 그 전통을 포괄적으로 이해한다. 동시대의 주요 영국시와의 비교연구, 그리고 미국시와 미국적 현실과의 관련 연구 역시 이 과목의 중요한 한 부분을 이룰 것이다. 브라이언트, 포우, 에머슨, 휘트먼, 디킨슨, 로빈슨, 프로스트, 샌드벅, 크레인, 윌리엄스, 스티븐스, 파운드, 휴즈 등을 주로 다룬다.전선 / 학사
1919년 오사 운동 이후의 중국현대문학은 백화문학운동을 필두로 민족형식논쟁·문예대중화논쟁·국방문학논쟁 등 수많은 논쟁을 거치는 한편 현실주의·낭만주의·현대주의 등의 다기한 문예사조가 교차되면서 전개돼 나간다. 이러한 논쟁과 다양한 문예사조에 대해 문인들의 검토가 진행되면서 중국현대문학은 풍부한 문학논의로 채워지게 된다. 의 이 과목은 논쟁사와 사조사의 관점에서 중국현대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고찰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수강생이 일본문학을 접하는 시각과 방법을 자율적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작품의 깊이 읽기 훈련과 더불어 일본문학과 관련해서 자명하게 여겨져 왔던 것들에 대한 도전적인 고찰을 병행한다. 전근대기에서 근대로 이행하면서 문학의 역할은 어떻게 바뀌었는가? 메이지 후기에 제도화된 일본문학연구는 어떤 방식으로 일본의 민족적, 문화적 특질에 관한 담론을 생산해왔는가? 한문학 또는 서양문학은 일본문학의 특질 형성과 어떤 관련을 맺는가? 와 같은 논점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한다.교양 / 학사
고대 그리스·로마의 위대한 작가들의 작품들-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비롯하여 서사시, 서정시, 비극, 희극 등-을 분석하고 고대 그리스 및 로마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또한 작품속의 인물들과 주제를 분석함으로써 고대 그리스·로마인들의 인간성과 그들의 인생관, 가치관 , 세계관을 고찰해 보며, 아울러 현대인들의 삶과 가치관을 비교해 봄으로써 "나" 자신의 인생관을 재확립하는 기회를 갖는다.전선 / 학사
개화기의 여러 시가부터 최근의 시까지 1차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시 분석의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발표 당시의 원문표기를 살린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능력을 배양하는 훈련을 하며 동시에 시 분석을 위한 이론들을 재검토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을 통해 고전 라틴어 운문을 정확하게 읽고 독해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라틴 서사시의 고전인 <아이네이스> 등을 함께 읽으면서 서사시를 운율에 따라 정확하게 낭송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배양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이 과정은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플라톤의 원전들 중에서 정해진 주제에 알맞는 핵심적인 부분을 발췌해서 강독함으로써 그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러시아문학비평이론에서 다루어진 다양한 이론들을 여러 작품들에 직접 적용해 봄으로서 문학비평이론의 다각적인 제검토를 해 봄으로써 문학작품과 비평간의 관계를 재정립해 본다.교양 / 학사
이 강좌는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우리 현대시사(現代詩史)를 대표할 만한 시인과 대표작을 꼼꼼히 읽고 감상하면서 현대시의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시 읽기의 즐거움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뜻하지 않게 현대시 안에 내재된 중요한 역사적, 철학적, 감각적 체험의 차원들을 추체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강좌는 현대시를 강독하며 시 감상에 필요한 기본적인 시론과 시사를 정리할 것이다. 아울러 현대시에 나타난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함께 경험해 봄으로써 이해의 폭을 넓혀보려 한다. 여러 예술 장르를 비롯하여 역사, 정치, 민중 등의 이념뿐만 아니라 사랑, 음식, 패션, 대중가요 등과 같은 테마를 풍성하게 선별하고 공부하며 ‘시적인 것’에 대한 원론적인 의미 역시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이 강좌에서 다루는 시는 함께 읽으며 ‘향유’할 수 있는, 좋은 시들이다. 그러므로 시를 좋아하는 학생들은 누구나 이 강좌를 즐겁게 수강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의 교양 수준으로서의 시의 ‘감상’이란, 작품을 읽고 독해하는 수준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우리는 즐겁게 시를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당대를 관통하는 중요한 시적 정신의 행방을 탐색해 왔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러시아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작가들 중 한 작가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사상과 감정이 어떠한 주제와 형식으로 표현되고 있는가를 개관하고, 이 작품들이 러시아문학사에서 갖는 의의와 특성을 규명해 본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한국현대문학 작품들을 그 시대와의 연관 아래 분석하고 검토하는 훈련을 통해 학생들이 문학 작품과 관련된 맥락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다른 시대의 문제를 자신의 시대와 연결시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문학에 대한 심도 있는 시각을 지닐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98세대 및 27세대 시문학을 거쳐 최근에 이르기까지 스페인문학 전통의 한 축을 이루어온 시 장르의 주된 경향을 폭넓게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에스쁘론세다 이 델가도, 아돌포 베께르, 안또니오 마차도, 후안 라몬 히메네스, 가르시아 로르까 등 스페인을 대표하는 근현대 시인들의 주요 작품을 읽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각 시인의 독창적인 시론과 시대별 특징을 개괄한다.전선 / 학사
중국의 소설은 근대 이전 명청(明淸) 시기에 이미 확고한 작자-독자의 시장 체계와 독서 환경의 중심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소위 ‘사대기서(四大奇書)’ 혹은 ‘육대기서(六大奇書)’라 불리는 작품들을 통해 당시의 문화 및 문학적 역량의 총결 혹은 정점으로서의 획기적인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과로 인해 이 시기 대표적 작품들은 근대의 변혁을 거쳐 現當代에 이르기까지 중국 소설의 고전으로서 확고부동한 지위를 얻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영화와 드라마, 애니메이션과 같은 각종 매체의 유력한 콘텐츠로서 끊임없이 재창작 및 재해석되는 대상이 되었다. 이 과목은 이러한 명청 시기 소설 작품들을 통해 당시 사회의 모습과 문화를 이해하고, 아울러 전통시기에서 현재에 이르는 중국 문화의 연속성과 근원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이 수업에서는 중국 소설의 역사적 중요성 및 현대적 수용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학생들은 중국 소설에 대한 탐색과 이해를 통해 중국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이 작품들이 향유되는 방식을 고찰함으로써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고전의 보편성이 어느 지점에서 형성되고 의미화 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전선 / 대학원
고전문학비평연습 1의 연속과정으로서 전과정에서 설정된 주제영역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