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지리학과
대자연에서는 다양한 수문, 기상, 기후, 지형, 생물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자연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시공간상에서 펼쳐진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이라는 맥락에서, 지구를 기권(atmosphere), 수권(hydrosphere), 암석권(lithosphere), 생물권(biosphere)으로 나눈다. 본 교과목에서는 각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측조사와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각 영역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모아 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자연지리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환경정책의 입안과 효과적인 환경관리에까지 참여할 수 있는 지리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
loading...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학사
2025-1학기
대자연에서는 다양한 수문, 기상, 기후, 지형, 생물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자연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시공간상에서 펼쳐진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이라는 맥락에서, 지구를 기권(atmosphere), 수권(hydrosphere), 암석권(lithosphere), 생물권(biosphere)으로 나눈다. 본 교과목에서는 각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측조사와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각 영역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모아 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자연지리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환경정책의 입안과 효과적인 환경관리에까지 참여할 수 있는 지리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
Atmosphere, weather, and climate
Atmosphere, weather, and climateEnvironmental science : sustaining the earth
Environmental science : sustaining the earth
Humannature : biology, culture, and environmental history
Humannature : biology, culture, and environmental historyEthics, environmental justice and climate change
Ethics, environmental justice and climate change
Earth under fire : how global warming is changing the world
Earth under fire : how global warming is changing the world
Biosphere analyses for the safety assessment SR-Site-synthesis and summary of results
Biosphere analyses for the safety assessment SR-Site-synthesis and summary of results
Ethics and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Ethics and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Cycles of life : civilozation and the biosphere
Cycles of life : civilozation and the biosphereThe conflicts between labor and environmentalism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e conflicts between labor and environmentalism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Beyond the land ethic : more essays in environmental philosophy
Beyond the land ethic : more essays in environmental philosophy
The Green halo : a bird's-eye view of ecological ethics
The Green halo : a bird's-eye view of ecological ethics
작은 지구를 위한 마음 : 생태적 문맹에서 벗어나기
작은 지구를 위한 마음 : 생태적 문맹에서 벗어나기
Starlight and storm
Starlight and storm
Daylighting Chedoke : exploring Hamilton's hidden creek
Daylighting Chedoke : exploring Hamilton's hidden creek
Global change :bglobal climate change tratospheric ozone depletion
Global change :bglobal climate change tratospheric ozone depletion
School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School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Security and climate change :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limits of realism
Security and climate change :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limits of realism
Faunal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Great Nicobar Biosphere Reserve
Faunal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Great Nicobar Biosphere Reserve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Petroleum Hydrocarbons and Organic Chemicals in Ground Water : Prevention, Detection, and Restoration, November 15-17, 1989, the Westin Galleria, Houston, Texa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Petroleum Hydrocarbons and Organic Chemicals in Ground Water : Prevention, Detection, and Restoration, November 15-17, 1989, the Westin Galleria, Houston, Texas
The vehicle and the environment
The vehicle and the environmentGeophysical Research Letters
Lee W.R.,MacMartin D.G.,Visioni D.,Kravitz B.Journal of Animal Science
Sebastian Bedoya Mazo; Luisa Fernanda F Moreno Pulgarín; John Fredy Ramirez Agudelo; José Fernando Guarín Montoya; Pablo Guarnido-Lopez; Hector M MenendezEnvironmental technology
Li, Mingrun; Han, Fei; Zhang, Zhaoran; Zeng, Huiping; Li, Dong; Zhang, JieBiomass Conversion and Biorefinery: Processing of Biogenic Material for Energy and Chemistry
Uludag-Demirer, Sibel; Demirer, Goksel N.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Povinec PP; Kontul' I; Ješkovský M; Kaizer J; Richtáriková M; Šivo A; Zeman JExperimental Astronomy: Astrophysical Instrumentation and Methods
Sulaiman, Ali H.; Achilleos, Nicholas; Bertucci, Cesar; Coates, Andrew; Dougherty, Michele; Hadid, Lina; Holmberg, Mika; Hsu, Hsiang-Wen; Kimura, Tomoki; Kurth, William; Gall, Alice Le; McKevitt, James; Morooka, Michiko; Murakami, Go; Regoli, Leonardo; Roussos, Elias; Saur, Joachim; Shebanits, Oleg; Solomonidou, Anezina; Wahlund, Jan-Erik; Waite, J. HunterOcean Engineering
Rahman M.S.,Khan F.,Shaikh A.,Ahmed S.,Imtiaz S.Ecosystem Transformation
Syarki M.T.,Fomina Y.Y.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Peng J; Hou Z; Yuan J; Wu Y; Yang K; Lei B; Wang X; Chang S; Chu Z; Gao Z; Zheng B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Briones M.J.I.,Juan-Ovejero R.,McNamara N.P.,Ostle N.J.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Planets
Lemmon M.T.,Lorenz R.D.,Rabinovitch J.,Newman C.E.,Williams N.R.,Sullivan R.,Golombek M.P.,Bell J.F.,Maki J.N.,Vicente-Retortillo A.Environmental Science: Water Research and Technology
Harb M.,Ermer N.,Bounehme Sawaya C.,Smith A.L.Regional Studies in Marine Science
Liao B.,Karim E.,Zhang K.Chemosphere
Florentino A.P.,Xu R.,Zhang L.,Liu Y.Ecosystems
Wright J.,DeLaMater D.,Simha A.,Ury E.,Ficken C.Quaternary International
Lund S.Environmental Politics
Joe P. L. Davidson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Zhang F.,Xu N.,Wang C.,Wu F.,Chu X.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akar, Farokh Laqa; Liss, Steven N.; Elbeshbishy, ElsayedNATURE CLIMATE CHANGE
Brown, Michael S.; Munro, David R.; Feehan, Colette J.; Sweeney, Colm; Ducklow, Hugh W.; Schofield, Oscar M.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양 / 학사
현재 지구를 이루고 있는 4개의 시스템-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자연현상과 지구 내부의 움직임(판구조운동)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구의 탄생이래 일어났던 지구의 변천과정, 지구환경의 변화 및 생물의 발전과정을 알아본다. 이 강좌에서는 지구시스템의 영역과 이들의 상호작용의 이해에 중점을 두며, 미래 지구환경변화와 자연 현상을 이해하려는 과학적 사고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역학적 접근과 더불어 열역학적 고찰을 통해 비평형 지구시스템에서 가장 복잡하고 역동적인 생태계와 대기권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모델링 및 자료 분석을 통해 두 시스템간의 되먹임 기작을 이해한다. 특히, 두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엔트로피의 차원에서 고찰하고, 생태계모델과 첨단 실측자료를 사용하여 복잡생태계를 중심으로 이러한 되먹임 고리가 자연적 교란과 인위적 교란에 어떻게 반응, 적응하는지를 탐구한다.전선 / 학사
태초에 달의 궤도가 지구에 가까워서 오늘 우리가 보는 달보다 두 배나 컸었고, 지구의 자전 속도가 점차 느려짐에 따라 달이 지구에서 멀어져 가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지구 표면에 사는 우리가 관찰하고 경험하는 지구시스템은 고체지구를 기반으로 한 태양계의 한 행성으로서의 지구를 뜻한다. 따라서 지구시스템 연구는 지구의 중력, 자력장, 지진, 열 구조와 역학적 기본 원리를 포함할 뿐 아니라 해양과 대기와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다룬다. 이 과목은 지질학, 지구화학, 지구물리학의 방법 이외에도 인공위성이나 Quasar와 같은 별을 이용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우리에게는 하나밖에 없는 행성, "지구"에 대해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생성/구조특성과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연료 변환공정 및 바이오연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본다. 강의 중반부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되는 대표적인 바이오연료 형태인 칩/펠릿(고형연료), 바이오에탄올/바이오오일(액상연료) 및 합성가스 연료들에 대한 물리적, 연료적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고, 강의 후반부에서는 우리나라 및 해외에서 바이오연료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의 활용/보급 촉진을 위한 실시하는 제도적인 정책에 관하여 살펴본다.전필 / 학사
이 과목은 대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들의 원인과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세분화된 대기 과학 분야의 기초 지식으로 활용된다. 학습 내용에는 대기의 구조 및 특성, 대기 복사와 에너지 균형, 대기의 안정성, 구름의 형성과 강수 과정, 대기의 수평/연직 순환, 기후 변화 등이 포함된다.교양 / 학사
지구는 지권, 수권, 기권 및 생물권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표 및 지구 내부의 움직임이 결정된다. 지구의 탄생이래 일어났던 지구의 변천과정, 환경의 변화, 및 생물의 발전과정을 알아보고, <지구시스템과학> 교과목 강의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통해 과학적 이해와 해석능력을 기르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방사화학은 사용후핵연료 안에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의 거동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기초 지식이다. 본 과목은 핵변환에 의한 핵특성 및 화학특성변화, 방사성 추적자를 이용한 화학분석법 등 방사화학의 기초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사용후핵연료 안에 존재하는 우라늄, 초우라늄 등 악티나이드 원소의 화학적 특성 및 반응 그리고 장수명 방사성 핵종의 환경영향 등에 적용한다. 또한, 악티나이드 원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본 과목에서는 이러한 방사성 핵종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거나 처분 부담을 줄이는 다양한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의 공정원리, 설계방안, 분석예시 등을 학습한다. 용매추출법 기반 사용후핵연료 습식재처리와 전기화학 기반 건식재처리 기술을 중심으로 중요한 악티나이드와 핵분열생성물 분리 거동을 배운다. 학생들은 본 과목을 통해서 사용후핵연료 처리의 중요한 기술적 옵션에 대한 장단점과 함께 해당 분야의 최신 기술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지구 및 우주 환경의 형성과정, 우주 및 지구시스템의 구조, 지구환경의 장기적 및 경향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등에 대하여 교수 및 관련 전문가의 세미나 발표, 학생의 주제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한다. 이 과목은 지구환경과학 전공 학생들에게 지구 및 우주 환경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방법과 내용을 소개하고, 심층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를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전필 / 학사
대기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현상들의 원인과 성질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며, 세분화된 대기과목을 수학하는 기초지식으로 이용되도록한다. 대기의 구조 및 특성, 대기복사와 에너지 수지, 대기의 안정도, 구름의 형성과 강수과정, 대기의 수평, 수직운동, 기후변화등에 대해 배운다전선 / 대학원
최근 수십년간 환경에 대한 새로운 가치부여가 이루어짐에 따라, 인간사회에 대한규제에서 나아가 인간과 자연환경간의 관계, 자연 그 자체를 주제로 삼는 다양한 법제들이 발전되어 왔다. 이 강의는 이렇나 법제들의 바탕을 이루는 환경에 고낳나 거시적 이념에서 출발하여 기본적 법이론, 환경관련 실정법규들에 관한 분석을 아우르는 연구를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는 기후변화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과 쿄토메커니즘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국내에서 이루어질 기후변화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통계 및 DB 구축과 관련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 세부의 과제로는 기후변화의 원인, 영향, 해결 방안,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국제협약 대처방안 등을 강의한다. 이 과목을 수강하려는 학생들은 환경오염 개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있기를 권고한다.전선 / 대학원
해양학에 관련된 전반적인 소개와 함께 해양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적 현상에 관하여 토픽중심으로 강의한다. 가능하면 학생들에게 흥미있는 토픽을 선택하게 하고 이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에 의해서 결론에 이르도록 유도한다.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적인 주제에 의해 다양한 교육방법을 도입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