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생명과학부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재료공학부
막대한 자원 및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막거나 멈추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용 억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이 강의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올바른 재료의 선택, 재료의 제조 그리고 재료의 재활용 등 재료의 생애주기를 따라가면서 어떻게 하면 최소의 자원과 에너지 소비 속에서 우리의 문명을 지속시킬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보건학과
보건통계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서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 및 평가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습득하게 한다. 본 교과목의 내용은 주로 일반통계부문에서 평균치와 산포도, 정규분포 및 그외 여러가지 성질, 카이자승분포, 포아슨분포, F분포와 그의 검정법, 추정법, 분산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법을 포함한다.에너지자원공학과
다공질 지층 내에 존재하는 유체, 즉 석유, 가스, 그리고 지하수의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암석의 물리적 성질과 암석내에서 지하유체분포 제어기능, 지하유체의 물리적 특성 및 상거동 등을 학습하며 이와 관련된 실험이 수행된다.수리과학부
생명과학을 전공할 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로서 전염병 전염모델의 연립 미분방정식과 축차근사법을 이용한 해 등 자연현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생명과학 관련 현상들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과 그 해법을 소개한다. 수학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재료역학은 자연 또는 인공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특성을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응력과 변형도, 변형과 변위, 탄성과 비탄성, 변형에너지, 하중지지능력 등의 기본개념을 소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다양한 역학 및 구조 시스템의 해석과 설계에 요구되는 전문지식 형성의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역학문제를 다루는 실험시간을 통하여 개념적인 강의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국악과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 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를 깊게 한다. 전통음악을 주로 소개하며, 창작음악의 경우 전통음악을 의식적으로 수용한 작품을 소개한다. 1, 2학기 연강이다.재료공학부
재료공학의 입문자에게 재료공학의 역사 및 학문의 구성원리를 소개한다. 재료공학 전반의 강의구성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통해 능동적으로 수학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재료공학을 전공한 선임자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재료공학의 응용 사례를 탐방함으로써 재료공학이 산업 및 연구계에서 실증적으로 활용됨을 체험하여 재료공학 이론의 습득 필요성을 인지한다.수리과학부
선형대수학 1에서는 벡터 공간, 선형 변환과 행렬, 일차 연립 방정식 풀이, 행렬식, 대각화 등을 공부한다. 일차 연립방정식의 근들의 집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벡터 공간을 이해해야 한다. 벡터공간의 기저와 차원, 그리고 이를 정의하기 위해 벡터들의 일차독립과 일차종속에 대해서 배운다. 이어서 벡터공간들 사이의 선형변환과 행렬 간의 관계성에 대해서 배우며 이 때 영공간과 치역의 차원과 원래 벡터공간의 차원과의 관계를 배운다. 벡터 공간과 선형 변환을 배운 이후 행렬이 주어져 있을 때 기본행렬변환을 사용하여 행렬의 차수와 그 역행렬을 구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를 이용하여 일차연립방정식의 해를 잘 기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행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행렬식과 대각화에 대해서 배우며, 행렬이 만족해야 하는 Cayley-Hamilton 정리를 배운다. 마지막으로 내적공간과 Gram-Schmidt 직교화에 대해 배우며, 이를 이용하여 어떤 선형변환이 직교대각화 가능한지에 대해 배운다.
loading...
자연과학대학 수리과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주제탐구세미나 1(991.101) , 전공설계 1(991.103)
선형대수학 1에서는 벡터 공간, 선형 변환과 행렬, 일차 연립 방정식 풀이, 행렬식, 대각화 등을 공부한다. 일차 연립방정식의 근들의 집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벡터 공간을 이해해야 한다. 벡터공간의 기저와 차원, 그리고 이를 정의하기 위해 벡터들의 일차독립과 일차종속에 대해서 배운다. 이어서 벡터공간들 사이의 선형변환과 행렬 간의 관계성에 대해서 배우며 이 때 영공간과 치역의 차원과 원래 벡터공간의 차원과의 관계를 배운다. 벡터 공간과 선형 변환을 배운 이후 행렬이 주어져 있을 때 기본행렬변환을 사용하여 행렬의 차수와 그 역행렬을 구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를 이용하여 일차연립방정식의 해를 잘 기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행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행렬식과 대각화에 대해서 배우며, 행렬이 만족해야 하는 Cayley-Hamilton 정리를 배운다. 마지막으로 내적공간과 Gram-Schmidt 직교화에 대해 배우며, 이를 이용하여 어떤 선형변환이 직교대각화 가능한지에 대해 배운다.
Monge Ampère equation : applications to geometry and optimization : NSF-CBMS Conference on the Monge Amp?re Equation, Applications to Geometry and Optimization, July 9-13, 1997, Florida Atlantic University
Monge Ampère equation : applications to geometry and optimization : NSF-CBMS Conference on the Monge Amp?re Equation, Applications to Geometry and Optimization, July 9-13, 1997, Florida Atlantic University
Monotone operators in Banach space and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Monotone operators in Banach space and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Characteristic classes of foliations
Characteristic classes of foliations
Independent random variables and rearrangement invariant spaces
Independent random variables and rearrangement invariant spaces
Mathematics for consumers with business applications
Mathematics for consumers with business applications
An introduction to topological groups : lectures 197374
An introduction to topological groups : lectures 197374
Hardy spaces and potential theory on C1 domains in Riemannian manifolds
Hardy spaces and potential theory on C1 domains in Riemannian manifolds
The Brunn-Minkowski inequality and a Minkowski problem for nonlinear capacity
The Brunn-Minkowski inequality and a Minkowski problem for nonlinear capacity
Commutative semigroups
Commutative semigroups
New results in operator theory and its applications : the Israel M. Glazman memorial volume
New results in operator theory and its applications : the Israel M. Glazman memorial volume
Modern college algebra and trigonometry
Modern college algebra and trigonometry
Trends in Submanifold Theory
Trends in Submanifold Theory
선형대수학 express
선형대수학 express
Instanton moduli spaces and W-algebras
Instanton moduli spaces and W-algebras
Dade's conjecture for steinberg triality groups ³D₄(q) in non-defining characteristics
Dade's conjecture for steinberg triality groups ³D₄(q) in non-defining characteristics
Representations of integers as sums of squares
Representations of integers as sums of squares
Tables of integral transforms. Based, in part, on notes left by Harry Bateman,
Tables of integral transforms. Based, in part, on notes left by Harry Bateman,
Stable homotopy theory : lectures delivered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1961
Stable homotopy theory : lectures delivered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1961
Manis valuations and Prüfer extensions II
Manis valuations and Prüfer extensions II
Combinatorics '90 : recent trends and applications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Combinatorics, Gaeta, Italy, 20-27 May 1990
Combinatorics '90 : recent trends and applications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Combinatorics, Gaeta, Italy, 20-27 May 1990
Elementary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Elementary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선형대수와 군
선형대수와 군
Elementary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for mathematics, science, and engineering
Linear algebra for mathematics, science, and engineeringLinear algebra
Linear algebraElementary linear algebra : applications version
Elementary linear algebra : applications version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Elementary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Elementary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
Elementary linear algebraCOMMUNICATIONS IN ALGEBRA
Dhara, Basudeb; De Filippis, VincenzoDISCRETE ANALYSIS
Sisask, OlofSIAM Journal on Mathematical Analysis
Hiroyuki ChiharaRevista Matematica Complutense
Andrade J.C.,Yiasemides M.Acta Applicandae Mathematicae
Fernando Chamizo; Francisco de la HozSemigroup Forum
Manuell, Graham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Wen Si; Xinyu GuanCalculus of Variations and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Ke Y.,Zheng J.Mathematical Programming: A Publication of the Mathematical Optimization Society
Latafat, Puya; Themelis, Andreas; Stella, Lorenzo; Patrinos, PanagiotisAdvances in Mathematics
Chen X.,Ruan Y.,Sun L.Journal of Contemporary Mathematical Analysis (Armenian Academy of Sciences)
Mir, AbdullahJournal of Symbolic Logic
Laskowski M.C.,Ulrich D.S.Results in Mathematics: Resultate der Mathematik
Kabluchko, Zakhar; Marynych, Alexander; Raschel, KilianGeorgian Mathematical Journal
Wang, Y.; Wang, K.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Jiang C.,Lin Z.Mathematics
Matkowski J.,Wróbel M.Czechoslovak Mathematical Journal
Wu, Liyun; Zhu, HuihuiFunctional Analysis and Its Applications
A. R. MirotinApplied Mathematics and Computation
Yoshikawa S.ACTA MATHEMATICA SCIENTIA
Cui, Yunan; Foralewski, Pawel; Konczak, Joann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강의에서는 주로 조건부 기대값의 정의 및 성질, 마팅게일(martingale)의 성질 및 극한이론, 부등식, 분해, optional sampling 정리, 마팅게일 중심극한 정리 등을 다루고, 아울러 균등적분가능성 및 infinite divisible 분포 문제를 다룬다.전선 / 대학원
확률제어와 추정론 및 진보된 현대제어 이론의 기초가 되는 Stochastic Process Theory를 배운다. 확률 및 불규칙함수론의 Review로 시작하여 Stationary 및 Ergodic Process의 특성을 규명하고, 그 Power Spectrum을 이론적으로 배운다. 선형 시스템에 불규칙적인 신호가 가해졌을 때의 해를 구하고, 그 Harmonic Analysis를 배운다. Gaussian Process, Markov Process, Poisson Process의 특성을 살피고 그것들의 확률적 해를 모색한다.전선 / 대학원
수학 분야에서 조합론이나 그래프 이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 주된 이유는 조합론이나 그래프 이론이 전산학, operations research, 통계학, 사회학 등에 널리 응용되기 때문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그래프 이론과 조합론은 급속히 발전되어왔다. 본 과목에서는 수형도, 연결성, 오일러 그래프, 해밀턴 그래프, 매칭, 변 색칠하기, 꼭짓점 색칠하기, 평면그래프, 교차그래프, 유향그래프 및 네트워크 이론 등을 소개하고 조합론적으로 사고하는 법을 습득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의 전반부에서는 최근에 컴퓨터의 발전으로 많은 공학문제의 해를 수치적으로 구하는경향에 맞추어 수치해법의 기초를 다룬 다음 주로 2차 편미분 방정식의 수치해를 열어가지 서로 다른 경계조건에 따라 구하는 방법을 익힌다. 후반부에서는 자료를 처리하는 통계적 방법과 신뢰성구간을 다루며, 또한 대상변수의 확률을 구하는 방법과 확률함수의 성질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Hartog 현상, 정칙대역 및 Levi 문제, 폴리-디스크 상의 적분 공식, Bochner-Martinelli 적분, Bergman 핵함수, 다중준조화함수, 의사볼록 영역, 미분형식에 관한 Cauchy-Riemann 방정식의 Hoermander의 해 등을 배운다.전필 / 대학원
측도론(measure theory)의 기본, 확률변수, 독립성, 확률변수의 여러 가지 수렴성, 확률급수의 수렴,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 반복대수의 법칙, 분포수렴, 특성함수 (characteristic functions), 중심극한정리를 다룬다.전선 / 학사
편미분방정식의 가장 기초적 이론들을 고전적 방정식들의 예를 들어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다룰 내용들은 일계준선형 편미분방정식이론, 국소해의 존재성과 유일성, Cauchy-Kovalevsky 정리, Laplace 방정식, 최대치원리, Harnack 부등식, Hilbert 공간의 방법론, 변분원리 등이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에서는 물리학에 필수적인 수학적 도구를 물리현상을 기술하는 언어로서 배우고, 그것을 물리학에 이용하는 방법 등에 관한 훈련을 제공한다. 이 교과는 곡선좌표계, 벡터 해석, 상미분방정식과 선형대수학의 기초 내용을 중심 주제로 다룬다. (※ 수강을 원하는 학생은 <미적분학 1, 2>의 내용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전선 / 학사
물리현상을 기술하는 언어로서 물리학에 필수적인 수학적 도구들을 익히고, 또 이들이 물리학에 어떻게 응용되는지 그 방법론을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주요 내용은 벡터 미적분, 복소함수론의 기본, 급수전개, 상미분방정식, 슈텀-리우빌 이론, 적분변환, 특수함수의 성질등이다전필 / 학사
선형대수학의 기초로서 벡터공간, 선형방정식, 선형사상, 내적공간, 닮음관계에 대한 표준형을 중심으로 다음 내용을 학습한다 : 벡터공간과 기저, 선형사상과 행렬, 벡터의 내적, 행렬식, 고유다항식과 고유치, rational canonical form and Jordan canonical form, 선형사상의 정리들전선 / 대학원
Riemann 다양체, Riemann 계량, 접속이론, 측지선, 평행이론, 구조방정식, 완비성, 곡률, Jacobi 장, 길이와 부피의 변량공식 등을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