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간호학과
본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출생으로 부터 죽음에 이르는 전 생애에 걸친 인간의 발달단계별 건강 특성과 건강증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하여 인간발달에 대한 이론적 접근, 각 발달단계별 신체적, 사회심리적 특성, 건강과 질병의 개념변화, 그리고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 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간호과정 적용 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컴퓨터공학부
다양한 알고리즘 개발 방법과 알고리즘 분석 기법을 배운다. 귀납적, 재귀적 사고방식을 배우고 이를 통해 문제를 접근하고 해결해나가는 방법을 배운다.
loading...
약학대학 / 대학원
권장 선수과목 약학연습 1(375.501) , 미생물이차대사물질화학(821.735)
본 과목에서는 대체보완의약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각국에서 대체보완의약품에 대한 견해 차이 및 이에 따른 인정 범위의 차이점, 질병예방 또는 건강증진 효과의 검증, 대체보완의약품과 기존 정통의약품과의 약물상호작용에 의한 문제점, 안전성 검증의 문제점 등 장단점을 검토한다. 또한 대체보완의약품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예를 중심으로 하여 정통의약품과 대체보완의약품의 상호 보완적 효과의 검증을 위한 최근의 연구방향 및 이에 따른 제도적 개선방향에 대하여 검토한다.
Fundamentals of periodontal instrumentation
Fundamentals of periodontal instrumentationRecent advances in gerontology : proceedings of the XI International Congress of Gerontology, Tokyo, August 20-25, 1978
Recent advances in gerontology : proceedings of the XI International Congress of Gerontology, Tokyo, August 20-25, 1978Operative dentistry
Operative dentistry
치아미백
치아미백
(간호실무를 위한) 보완·대체요법
(간호실무를 위한) 보완·대체요법Acute appendicitis standard treatment or laparoscopic surgery?
Acute appendicitis standard treatment or laparoscopic surgery?
Sturdevant's art and science of operative dentistry
Sturdevant's art and science of operative dentistrySymposium on Microsurgery : practical use in orthopaedics, Durham, North Carolina, September, 1977, May, 1979
Symposium on Microsurgery : practical use in orthopaedics, Durham, North Carolina, September, 1977, May, 1979
고기 먹는 사람이 오래 산다 : 건강하게 장수하는 사람들의 진짜 생활습관
고기 먹는 사람이 오래 산다 : 건강하게 장수하는 사람들의 진짜 생활습관Outline of periodontics
Outline of periodontics
Notes on paediatric dentistry
Notes on paediatric dentistryA colour atlas and textbook of orthognathic surgery : the surgery of facial skeletal deformity
A colour atlas and textbook of orthognathic surgery : the surgery of facial skeletal deformity
Folate in health and disease
Folate in health and disease
Dentistry for the child and adolescent
Dentistry for the child and adolescent
Fluoroquinolone antibiotics
Fluoroquinolone antibiotic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위지선, 한경도, 권혁상, 길기철FRONTIERS IN IMMUNOLOGY
Wu, Di; Cline-Smith, Anna; Shashkova, Elena; Perla, Ajit; Katyal, Aditya; Aurora, Rajeev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Cutler, Hannah Rebecca; Barr, Logan; Sattwika, Prenali Dwisthi; Frost, Annabelle; Alkhodari, Mohanad; Kitt, Jamie; Lapidaire, Winok; Lewandowski, Adam James; Leeson, Paul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Theilen L.H.,Hammad I.,Meeks H.,Fraser A.,Manuck T.A.,Varner M.W.,Smith K.R.Nutrition and Diabetes
Burch E.,Williams L.T.,Thalib L.,Ball L.Journal of Periodontology
Badewy R.,Cardoso E.,Glogauer M.,Sgro M.,Connor K.L.,Lai J.Y.,Bazinet R.P.,Tenenbaum H.C.,Azarpazhooh A.The World Journal of Men's Health
정재훈, 이정우, 조정기, 김규식, 이승욱Irish journal of medical science
Ismail AMA; Hamed DE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Tsai S.Y.Annals of Nutrition and Metabolism
Assaf-Balut C.,García De La Torre N.,Duran A.,Fuentes M.,Bordiú E.,Del Valle L.,Familiar C.,Valerio J.,Jiménez I.,Herraiz M.A.,Izquierdo N.,Torrejon M.J.,Cuadrado M.Á.,Ortega I.,Illana F.J.,Runkle I.,De Miguel P.,Moraga I.,Montañez C.,Barabash A.,Cuesta M.,Rubio M.A.,Calle-Pascual A.L.Paediatric and Perinatal Epidemiology
Petersen J.M.,Parker S.E.,Dukes K.A.,Hutcheon J.A.,Ahrens K.A.,Werler M.M.Diagnostics
Kang, Woo Young; Yang, Zepa; Park, Heejun; Lee, Jemyoung; Hong, Suk-Joo; Shim, Euddeum; Woo, Ok HeePerinatology
박미혜Journal of Nutrition
Voerman E.,Gaillard R.,Geurtsen M.L.,Jaddoe V.W.V.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Madsen M.,Elbe A.M.,Madsen E.E.,Ermidis G.,Ryom K.,Wikman J.M.,Rasmussen Lind R.,Larsen M.N.,Krustrup P.Revista da Associacao Medica Brasileira (1992)
Tandoğan Ö; Kugcumen G; Satılmış İGArchive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Reaves S; Mehta V; Baxter JK; Ross RMaternal and Child Nutrition
Nandi A.,Behrman J.R.,Black M.M.,Kinra S.,Laxminarayan R.Journal of ethnopharmacology
Brendler T; Cameron S; Kuchta KDRUG DEVELOPMENT AND INDUSTRIAL PHARMACY
Park, Dong-Min; Song, Yun-Kyoung; Jee, Jun-Pil; Kim, Hyung Tae; Kim, Chong-Kook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여러 심미치주치료와 치주조직 파괴시에 치주조직을 이식하는 방법,예후등에 관하여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항체는 다양한 분야에서 실험 도구로써 활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써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과목은 종양생물학 협동 과정의 대학원생들에게 치료용 항체 단백질의 기본적인 구조적 특성 및 기능을 소개해 항체 치료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에 그 목적을 둡니다. 이에 더해, 현재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는 항체 치료제를 소개하고 현재 개발되고 있는 최신의 항체 치료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전필 / 대학원
우리나라 양대 구강질병 중의 하나인 치아우식증의 정의와 발생기전 및 예방법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이 교과목을 통해 치아우식증을 정의, 분류할 수 있게 되며 치아우식증을 임상적, 방사선학적, 병리학적으로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치아우식증의 역학적 특성을 이해하게 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에서는 수복 후의 예후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보철 수복 후 실제로 발생하는 실활, 2차 우식, 시멘트 용해, 파절, 교합 변화, 악관절 불편감, 교모, 치아 이동, 식편 압입 같은 현상 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관련 지식을 점검함으로써 보철물을 오랜 시간 사용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사항을 정리하려 한다. 수복 후의 예후 분석을 통해 시간흐름에 따른 악구강계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으며 성공적인 보철 술식을 위해 대비해야 할 부분들에 대해 알 수 있다.전선 / 대학원
구강악안면부위에 발생하는 선천성 및 발육성 기형의 원인을 이해하고 구강악안면 기형을 진단하기 위한 임상적 평가, 방사선학적 분석, 모형분석 등 기형에 관한 총체적인 접근방법을 숙지하고 구강악안면 부위의 기형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계획, 수술방법, 술후처치를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폐경기 여성에서 관찰되는 내분비학적 변화를 이해하고, 폐경기 후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을 열거하고 치료할 수 있는 능력과 이와 관련한 연구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구체적 학습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폐경기 여성의 특징적인 내분비학적 변화를 이해하여야 한다. 둘째, 폐경기 여성에서 흔히 관찰되는 증상과 관상동맥질환 및 골다공증 등의 문제점을 알아야 한다. 셋째, 폐경기 여성의 치료에 사용되는 호르몬대체요법의 장단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넷째,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 이외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의 종류를 열거하고 및 각 약물의 작용기전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섯째, 현재 발표되고 있는 폐경 관련 논문을 열거할 수 있어야 한다.전선 / 대학원
유방암 환자의 사회환원 및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유방재건술은 이미 구미에서는 보편화 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수술법에 의한 유방재건술을 이해하고 새로운 수술재료 및 수술법을 연구 개발해야하는 과목이다. 학습목표는 유방의 발생학 및 Aging에 따른 해부학적 변화를 이해하고 그 재건술에 따른 적응증과 장.단점을 이해한다.전선 / 대학원
구강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의료이용, 의료비 지출과 의료자원 배분에서의 형평성을 이해한다.전선 / 대학원
응급의학의 주요 분야인 소아응급환자 처치의 전문적인 내용을 교육하기 위한 대학원 과정으로 1) 소아응급환자의 평가, 2) 순환기/호흡기/소화기/신장-비뇨기/신경계/감염병 응급의 처치, 3) 소아 외상, 4) 소아의 진정 및 진통, 5) 소아의 병원 전단계 응급의료전달체계, 6) 소아와 영유아의 심폐소생술, 7) 아동 학대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강의와 실습을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치과진료실에서 빈발하는 이물질 흡인, 의식소실 등의 다양한 응급상황의 종류와 그 진단 및 처치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심폐소생술 시행의 이론적인 배경을 토론하고 마지막 시간에는 Resusci Anne를 대상으로, 소아 및 성인의 심폐소생술 및 기관내 삽관을 실습한다.전선 / 대학원
노인병학은 노인의 질환을 진단, 치료, 관리하는 학문분야로서 우리나라에도 도래할 노령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는 분야이다. 노인병학은 노화, 질병,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발생되는 가능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노인의 독립적인 삶을 가능한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내과학과는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다. 급성질환에 의해 입원하게 되는 환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는 물론이지만 사회복지, 간호, 재활의학, 정신과, 신경과, 내과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가 참가하여 노인의 종합적인 기능을 평가하여 장기적인 관리를 위해서 노인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맞춤의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노인병에 대한 개념의 제공, 노인 환자의 치료의 특수성, 노인의 포괄적 평가 방법, 노인환자에서의 기능유지의 중요성, 노인 환자의 기능 회복 방법, 노인 환자의 장기 치료방법 등이 교과의 내용에 포함된다. 이러한 교과목은 의학의 어떤 분야에서도 주도적으로 시행할 수는 있으나 내과학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내과학 강좌의 일부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우리나라에도 도래할 노령사회에서 이러한 노인병의 개념을 가지고 노인병을 관리할 능력을 가진 대학원생의 배출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전필 / 대학원
실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중증도 난이도의 증례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진단에 관해 개별적으로 토의하고 그 내용을 숙지시킨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급성 및 중등도의 복합손상 및 다장기 (신장계, 위장관계, 내분비계, 혈액 및 면역계) 부전 문제를 가진 대상자에게 상급실무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전문간호사로서 통합적 환자 간호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본 과목을 이수함으로써 다장기의 구조와 기능, 복합손상 및 다장기 질환의 병태생리, 사정, 진단 및 치료에 관한 기본개념을 습득하고, 이를 복합손상 및 다장기부전 중환자 간호 문제의 진단, 계획 및 중재에 적용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성장 중인 아동에서 악골의 과성장이나 열성장에 의한 상악골ㆍ하악골 사이의 성장 부조화를 악안면 정형치료로 개선하는 방법을 토의하여 악안면 정형학적 치료에 필요한 악골의 성장시기, 악골의 성장방향 등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지식을 습득한다. 이러한 지식을 토대로 골격성 부정교합의 발생 원인과 진단법 및 악정형 치료에 대한 생역학과 기본적인 치료원리를 이해하여 골격성 부정교합에 대한 기초 및 임상적인 지식을 습득한다.전필 / 학사
대동물외과학에서는 반추류 (소, 염소, 양)와 말의 진료과정에 필요한 해부·생리학적, 병리학적 변화에 대한 외과적 처치방법을 학습한다. 이 교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반추류의 외과적 처치원리, 소의 신체검사와 수술적 고려사항, 마취와 술후 처치, 해부학적 부위에 따른 수술 (머리와 목, 제1위, 제4위, 소장 및 대장, 비뇨기계, 유두), 파행에 대한 치료 등을 학습한다. 또한 말의 신체검사, 수술적 고려사항, 마취, 각 부위별 (호흡기, 소화기, 운동기)의 수술과 함께 질환을 가지고 있는 동물의 수술적 처치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주요 질환의 발생, 진행, 회복 과정의 생물학적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질환의 근저를 이루는 분자·세포생물학적 개념이 필요하거나, 세포 혹은 질환모델 동물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세포생물학, 면역학 및 병리학의 기본개념 이해를 시작으로, 질병 발생 및 치유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원리를 파악하기 쉽도록 구성하였다.전필 / 학사
이 교과목에서는 동물의 번식과 산과학적 질병에 관한 전반적 사항을 다룬다. 동물의 생식기 구조 및 생리, 생식호르몬, 정자 및 난자, 임신 및 임신생리, 임신진단 등에 관해 강의하며 생식기의 구조, 정액검사 및 임신진단에 관한 실습을 실시한다. 대상동물로는 소와 개를 중심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생명과학의 하나인 약학을 연구하는데 있어 기초 분야의 지식, 특히 물리화학의 중요성은 대단히 중요하다. 학부에서 다룬 기초적인 물리 약학과 달리 이 과목에서는 실제 대학원생들이 여러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반드시 알아야 할 물리화학적 지식을 중점으로 강의를 전개할 것이다. 강의는 교과서와 더불어 최근 논문을 바탕으로 토론식으로 전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