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이 강좌에서는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장애인 체육 저널 및 논문을 소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토론을 통해 장애인 체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 또한 제공하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이 교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실험을 통하여 자연의 다양한 현상을 탐색하고, 또 주위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일 뒤에 숨어있는 물리 법칙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은 물리, 자연과학, 공학 등 관련 분야의 학생들에게 실험실에서의 종합적인 경험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힘과 운동, 에너지, 파동, 그리고 열 현상 등과 관련된 실험을 주로 다룬다.경영학과
본 과목은 회계원리를 수강한 학생들을 위하여 중급재무회계의 다양한 주제들을 강의한다. 먼저, 자산, 부채 및 주주지분과 관련한 회계절차를 살펴본 후, 리스회계, 법인세회계, 회계변경 및 오류수정, 현금흐름표, 파생상품회계 등과 같은 특수주제도 다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과목은 기업이 재무정보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당면하는 의사결정의 문제와 이슈도 다룬다. 본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수업 중에 다루었던 문제와 이슈들을 완전히 이해하여, 재무제표를 해석하고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또, 逆으로 재무자료가 주어지면, 이를 이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도 있어야 한다. 아울러, 습득한 회계이론과 개념을 말과 글로 자신 있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물리·천문학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은하의 세계와 우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학습하여 올바른 현대적 우주관을 배양한다. 우리 은하의 구조 및 진화, 정상은하의 특성, 퀘이사와 활동은하의 본질, 우주의 거대구조, 우주의 팽창과 나이, 우주배경복사, 우주론 등을 학습한다. 현대천문학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인 중력렌즈와 아직도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암흑물질 등을 소개한다.화학생물공학부
이 강의에서는 화학 반응 현상을 이해시켜 최종적으로는 반응기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 반응 전후의 물질수지, 반응물질의 전환율과 반응기 크기의 결정 방법, 화학양론과 반응속도와의 관계 등을 배운 다음 온도가 일정한 상태로 운전되는 회분반응기, 혼합조반응기 및 관형반응기의 설계법,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로부터 반응기 설계에 필요한 반응 속도 정수 및 반응차수를 구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배운다. 마지막으로 촉매를 사용하는 불균일계 반응계에서 흡착, 표면반응 및 탈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험을 통해 반응기 설계 자료를 구하는 방법, 촉매반응기의 종류 및 기초설계 방법 등에 대하여 이해시킨다.화학생물공학부
본 학부와 관련된 학계 및 산업계에 종사하는 외부인사를 초청하여 강연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연사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장래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자연과학 또는 공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물리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터득케 하는 과정으로서 중력, 물체의 운동, 에너지, 파동, 열현상 등에 연관된 물질세계의 특성에 대해 물리학적 접근 방법을 배운다. 이공계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초교과목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한다.물리·천문학부
이 교과목은 광학, 열물리, 전자기, 양자물리 등을 포함한 현대 물리학 주제와 관련된 중급 수준의 실험을 학생 스스로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리 연구에 사용되는 실험의 개념과 관련 장비의 작동 원리를 배운다.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물리 개념을 테스트하거나 검증할 수 있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며, 그 결과를 동료 학생들과 토론하고 대화할 수 있는 실험 물리의 기본 소양을 기르는데 중점을 둔다. (※ 수강을 원하는 학생은 <전자학 및 계측론>을 먼저 수강하였거나 아니면 과목 담당교수의 허락을 받을 것)
loading...
약학대학 / 대학원
2025-1학기
생리활성물질의 활성 발현과 관련하여 심혈관계 및 자율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의 작용기전을 이해하고, 심혈관계에서 vascular tone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여러 가지 활성인자들의 특성, 세포내 작용기전, 병태 생리학적 중요성 및 응용에 대해 강술한다. 또한 세포 단위에서 발생하는 체내 현상에 대한 신경계의 연관성, 특히 자율신경계의 역할과 이의 생리활성물질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수용체, 역학 및 자체조절 기능을 중심으로 해서 이론 및 실험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더불어 심장, 신장 및 간 이상으로 생기는 부종 및 고혈압의 보조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loop diuretics의 pharmacokinetics 및 pharmacodynamics를 연구한다.
Modern pharmacology
Modern pharmacology
Pharmacology
Pharmacology
Enzyme kinetics in drug metabolism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Enzyme kinetics in drug metabolism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Clinical pharmacokinetics
Clinical pharmacokinetics
Focus on pharmacology : essentials for health professionals
Focus on pharmacology : essentials for health professionalsDrug information handbook for dentistry, 1998-99
Drug information handbook for dentistry, 1998-99
Drug measurement and drug effects in laboratory health science
Drug measurement and drug effects in laboratory health science
Upson's handbook of clinical veterinary pharmacology
Upson's handbook of clinical veterinary pharmacologyApplied pharmacokinetics : principles of therapeutic drug monitoring
Applied pharmacokinetics : principles of therapeutic drug monitoring
FDA bioequivalence standards
FDA bioequivalence standards
Drug and enzyme targeting
Drug and enzyme targeting
Lippincott illustrated reviews pharmacology
Lippincott illustrated reviews pharmacology
Pharmacology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harmacology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Topics in mediator pharmacology
Topics in mediator pharmacology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Alhadab A.A.,Salem A.H.,Freise K.J.BIOMEDICINE & PHARMACOTHERAPY
Anita, Chando; Munira, Momin; Mural, Quadros; Shaily, LalkaInternational journal of impotence research
Twidwell J; Mahon J; Tortorelis D; Levine L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Hwang, Inyoung; Park, Sang-In; Lee, SeungHwan; Lee, BackHwan; Yu, Kyung Sang; Jeon, Ji-Young; Kim, Min-Gul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Bielak-Zmijewska, Anna; Grabowska, Wioleta; Ciolko, Agata; Bojko, Agnieszka; Mosieniak, Grazyna; Bijoch, Lukasz; Sikora, EwaBiomedicine and Pharmacotherapy
Toledo C.R.,Paiva M.R.B.,Castro B.F.M.,Pereira V.V.,Cenachi S.P.d.F.,Vasconcelos-Santos D.V.,Fialho S.L.,Silva-Cunha A.동의생리병리학회지
김강산, 김래희, 이윤진, 이수현, 최지혜, 고하늘Reactions Weekly
Reactions Weekly
ACS pharmacology & translational science
Wichaiyo SReactions Weekly
Lung Cancer
Udagawa H.,Akamatsu H.,Tanaka K.,Takeda M.,Kanda S.,Kirita K.,Teraoka S.,Nakagawa K.,Fujiwara Y.,Yasuda I.,Okubo S.,Shintani M.,Kosloski M.P.,Scripture C.,Tamura T.,Okamoto I.Reactions Weekly
Reactions Weekly
Journal of Traditional and Complementary Medicine
Liss, Michael A.; Durson, Furkan; Hackman, G. Lavender; Gadallah, Mohamed I.; Saha, Achinto; Friedman, Chelsea A.; Rathore, Atul S.; Chandra, Preeti; White, James R.; Tiziani, Stefano; DiGiovanni, JohnFrontiers in Pharmacology
Lai Y.,Zhang Q.,Long H.,Han T.,Li G.,Zhan S.,Li Y.,Li Z.,Jiang Y.,Liu X.Journal of ethnopharmacology
Sun X; Li Y; Li J; Liang H; Zhang J; Chen X; Li Q; Pang X; Ding Q; Song J; Guo B; Ma B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Louly Nathan, Anusha; O’Broin, Cathal; Lally, AoifeFRONTIERS IN PHARMACOLOGY
Zhang, Ziyu; Li, Qinhui; Shen, Xiaoyan; Liao, Lankai; Wang, Xia; Song, Min; Zheng, Xi; Zhu, Yulian; Yang, YongQuaestiones Mathematicae
K-T. Howell; J. Rabi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신약개발과 관련된 제도적인 측면 및 규정을 이해하고, 신약개발 중 의약품 평가, 시판승인, 시판후 관리 제도에 대하여 임상약리학적인 측면에서 통합하여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임상시험 결과 검토 등 IND 과정, 임상시험 결과 검토 등 NDA 승인 과정, 그리고 PMS 제도, 약물유해반응 모니터링 제도 등에 대하여 다루게 된다.전선 / 대학원
임상약동학은 임상약과학의 한 분야로서 약물치료 중에 있는 환자나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에게 어떤 약물을 투여했을 때 나타나는 그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의 현상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임상약력학은 이와 같은 환자에게서 발견한 약물의 농도와 임상 반응의 관계를 해석하고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 과목은 대학원 과정으로서 학부의 임상약동학 과목에서 배우지 못한 높은 수준의 임상약동학과 임상약력학의 원리와 응용에 대하여 강의하고 실습한다.전선 / 대학원
약물영상학은 약리학과 이미징 기술을 접목한 중개연구 방법의 하나로서 개별 약물의 약동학, 약력학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이다. 정신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치료제인 동시에 질환의 병태생리를 알려주는 탐침의 역할을 해왔다. 따라서 정신 약물영상학은 정신질환의 치료 효과 규명을 위한 생체지표 발굴과 함께 정신질환의 병태생리 이해에 모두 도움이 되는 접근법이라 하겠다. 본 과목을 통해 약물영상학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약물영상학을 이용한 연구의 예를 살펴보고자 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약사 및 약학자 양성에서 환경성 물질(의약품 포함)의 독성을 이해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며 이를 기반으로 신약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 또한 본 강좌는 환경성 물질이 유발하는 염증, 대사질환, 암 등과 같은 질병의 발생에 기여 하는 생리학적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신약개발의 기초를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전선 / 학사
임상약물학은 실제 임상에서 환자의 치료에 활용되는 약물들의 약리작용, 부작용 및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투약법의 이해를 극대화시킨다.전필 / 학사
생체에 투여된 약물의 작용 원리를 소개하는 교과목이다. 약물과 수용체간의 상호작용 (약력학), 약물의 체내동태(약동학)를 비롯하여 자율신경계, 중추신경계, 신장, 심맥관계에 작용하는 약물의약리작용, 그리고 동물종간의 약물작용의 차이점에 대하여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소개된다. 교과서: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R Adams, 8th ed., 2001).전선 / 대학원
생체에서의 약물의 동태를 분석하는 기본이론및 정상및 질환동물의 약물치료를 위한 약동학적 지표의 임상적 응용및 그 통계 분석에 대한 고찰에 대하여 하여 소개하는 교과목이다. 특히, 조직잔류및 안전휴약기간의 설정및 종이 다른 동물간의 약동학적 지표의 외삽 등도 다루어진다. 강의 자료: Comparative pharmacokinetics (1999, J Riviere); Clinical pharmacokinetics (1995, M Roland & T Tozer).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인체가 투여한 의약품을 흡수 및 처리하는 과정 및 의약품의 체내노출-임상반응 관계를 학습하는 과목이다. 이 과목은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이나 환자를 치료하는 임상현장에서 개별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의 투여 용량과 용법을 결정하는 약동학 및 약력학 기법을 가르치는 것이 핵심이다.전선 / 대학원
임상약물계량학이란 약물의 약동/약력 현상을 수학적으로 정량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존에는 약물의 효과나 부작용을 예측하기 위해 약물 혈중농도에 기반한 약동학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약물 혈중농도와 실제 효과 및 부작용 간의 상관관계가 부족하다는 지론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약동뿐만 아니라 약력 현상까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더욱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약물계량학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약물계량학은 집단약동학은 물론 약동/약력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그 범위 및 활용도가 매우 높은 학문이다. 본 임상약물계량학 교과과정은 강의와 토론을 통해 이러한 약물계량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실습을 통해 그 활용 능력을 계발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이 약물계량학을 통해 "맞춤약물치료"를 위한 최적 용량ㆍ용법개발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데에 그 궁극적 목표를 둔다전선 / 대학원
신약개발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며 성공 확률이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이며 안전한 신약을 개발하는 일은 건강 증진에 꼭 필요하고, 잘 개발된 신약의 경제적 가치는 매우 크다.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최근 기계학습에 기반을 둔 인공지능 기술을 신약개발의 제 과정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뿐만 아니라 임상 환경에서 의약품의 적정 사용을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크다. 이 강좌에서는 인공지능(기계학습)의 기본 개념과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후보물질의 탐색부터 전임상, 임상 단계에 이르는 신약개발, 그리고 허가 이후에 의사와 임상약사의 의약품 적정 사용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각 단계에 실제로 기계학습을 적용하는 간단한 실습도 실시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약학지식을 응용하여, 신약후보물질의 탐색(Discovery)과 규제기관의 기준에 부합하는 신약의 개발(Development)에 관한 원리를 포괄적으로 학습하는 과목이다. 또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약품의 새로운 투여방법이나 투여형태의 개발에 관하여 학습한다.전필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졸업 후 보존수복학 및 근관치료학 분야의 환자진료에 독자적인 판단력 및 응용력을 갖추도록 능력을 배양하는 과목으로, 급격히 발전하는 보존수복학 분야의 수복재료 및 임상시술기법에 대하여 강의하고, 근관치료학분야의 외과적 술식 및 응급처치와 최근 소개된 근관치료기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또한 다양한 증례의 분석을 통하여 보존수복학 및 근관치료학 분야의 질환 및 임상시술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전선 / 학사
<수의임상약리학>은 특정 개체나 집단의 동물에 대하여 최적화된 약물치료법에 대하여 연구하는 약리학의 한 분야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장기별 약물요법, 항암제의 용법, 주요 약물(간질치료제, aminoglycosides, benzodiazepines, theophylline, cyclosporine, cardiac glycosides)에 대한 therapeutic drug monitoring의 방법 및 결과의 해석,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제제의 합리적인 사용, 합리적인 설명서외 용법(rational extra-label drug use), 약물조직내 잔류, 주요약물의 약물요법의 활용 예에 대하여 강의와 internet 자료를 통하여 배우고 토론함으로써 약물치료를 최적화에 대하여 공부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제제학 및 약물동태학의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약물 투여 후 약물의 체내동태를 심도있게 학습하고 비선형 약물동태를 나타내는 경우 그 기전과 해석을 학습함. 약물동태학과 생물약제학 연구가 실제 약물치료 및 신약개발에 적용되는 사례 및 약물상호작용의 기전, 바이오의약품의 약물동태, 약물유전체학의 기초에 대해 학습함.전선 / 대학원
약물이 체내에서 약효를 나타내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효를 극대화하는 최적 약물요법을 수행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본 강좌에서는 약물 작용의 기본 개념인 약동학, 약력학, 약동-약력학 관계를 다루며, 약물반응의 다양성의 원인과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최적의 약물요법 실현을 위한 임상 적용을 다룬다. 또한 최적의 약물 개발을 위한 신약개발과정 전반을 다루며, 최신 기술을 접목한 임상시험 연구방법을 다룬다. 이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은 최적 약물요법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과 최신 지견을 배운다.전선 / 대학원
암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항암제 후보 물질이 발견되고 있다. 과거 고식적 항암제 부터 표적치료제, 최근의 면역 항암제에 이르까지 다양한 약제들이 개발되고 연구되고 있다. 이번 과정을 통해 고식적인 항암제,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의 임상 시험 개발과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신약개발은 질병치료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약과학, 비임상과학, 임상과학과 기술의 집약체이다. 이 교과목은 약학과 대학원 학생들이 규제기관으로부터 신약의 시판허가를 받기 위하여 수행하는 신약개발과정의 핵심영역을 심도있게 학습하도록 고안되었다. 이 교과목을 수강하면 의약품 규제기관이 요구하는 임상시험약의 생산 및 품질관리, 비임상시험을 통한 동물 모델에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임상약리시험을 통한 약동학적 약력학적 특성 평가, 단계별 임상시험을 통한 환자에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등 신약의 허가 목적으로 수행하는 신약개발의 전과정 중에서 학부에서 배우지 못한 고급영역을 학습하여 신약개발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