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약학대학 / 대학원
2024-1학기
권장 선수과목 약학연습 1(375.501)
고급 유기화학이론을 토대로 개설 부분과 반응 부분으로 대별하여 강의하며 최신 유기 반응의 topic을 아울러 논함
Fundamentals of organic chemistry
Fundamentals of organic chemistry
Physical and mechanistic organic chemistry
Physical and mechanistic organic chemistry
Teaching chemistry with models
Teaching chemistry with models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Study guide to organic chemistry, 6th ed.
Study guide to organic chemistry, 6th ed.
Carbene chemistry
Carbene chemistry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 the rational design, mechanistic study & therapeutic applications of chemical compounds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 the rational design, mechanistic study & therapeutic applications of chemical compounds
Reactions and syntheses in the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Reactions and syntheses in the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Chemistry of the soil
Chemistry of the soilStereocontrolled organic synthesis
Stereocontrolled organic synthesisPhysical organic chemistry : the fundamental concepts
Physical organic chemistry : the fundamental concepts
Stereochemistry of coordination compounds
Stereochemistry of coordination compounds
Inorganic chemistry : toward the 21st century
Inorganic chemistry : toward the 21st century
Organic chemistry of nucleic acids, pt.A-B, ed. by N. K. Kochetkov and E. I. Budovski, tr. by Basil Haigh, tr. ed. by Lord Todd and D. M. Brown.
Organic chemistry of nucleic acids, pt.A-B, ed. by N. K. Kochetkov and E. I. Budovski, tr. by Basil Haigh, tr. ed. by Lord Todd and D. M. Brown.Organic chemistry
Organic chemistry
유기화학 길라잡이
유기화학 길라잡이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Physical and mechanistic organic chemistry
Physical and mechanistic organic chemistry
Small molecule medicinal chemistry : strategies and technologies
Small molecule medicinal chemistry : strategies and technologies
Industrial organic chemistry
Industrial organic chemistry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Materials Chemistry Frontiers
Tuci G.,Rossin A.,Pham-Huu C.,Mosconi D.,Luconi L.,Agnoli S.,Granozzi G.,Giambastiani G.Organic Letters
Su C.,Tao X.,Yin Z.,Zhang X.,Tian J.,Chen R.,Liu J.,Li L.,Ye F.,Zhang P.C.,Zhang D.,Dai J.RSC Advances
Chhabra, Arzoo; Reich, Sabrina; Shannon, Timothy M.; Maleczka, Robert E.; Smith, Milton R.대한화학회지
최서연, 최희선Chemistry - A European Journal
Lei T.,Zhou C.,Wei X.Z.,Yang B.,Chen B.,Tung C.H.,Wu L.Z.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Eun Jin Kim, Kyung Mi An, 고수영Natural Product Research
Liang Y.Q.,Liao X.J.,Zhao B.X.,Xu S.H.REACTION CHEMISTRY & ENGINEERING
Chen, Jianli; Xie, Xiaoxuan; Liu, Jiming; Yu, Zhiqun; Su, WeikeCHEMISTRY OF HETEROCYCLIC COMPOUNDS
Gorichko, Marian V.ACS Omega
Roman S. Kirsanov; Ljudmila S. Khailova; Tatyana I. Rokitskaya; Konstantin G. Lyamzaev; Alisa A. Panteleeva; Pavel A. Nazarov; Alexander M. Firsov; Iliuza R. Iaubasarova; Galina A. Korshunova; Elena A. Kotova; Yuri N. AntonenkoOrganic Chemistry Frontiers
Ma C.H.,Zhao L.,He X.,Jiang Y.Q.,Yu B.Journal of Molecular Liquids
Zhang S.,He Y.C.,Ma C.Journal of Molecular Liquids
Chen X.,Shang J.,Chen Y.,Kong X.,Hojo M.Chemistry - An Asian Journal
Mochimatsu T.,Aota Y.,Kano T.,Maruoka K.Journal of Organic Chemistry
Tokarenko A.,Nosek V.,Míšek J.Organic Process Research and Development
Burns M.,Perkins D.,Chan L.C.,Pilling M.J.,Jawor-Baczynska A.,Mullen A.K.,Steven A.,Wimsey C.,Elmekawy A.,Lamacraft A.,Dobson B.C.,McMillan A.E.,Hose D.R.J.,Inglesby P.A.,Raw S.A.,Jones M.F.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Wang, Xi; Peng, Yu; Zheng, Jianfeng; Li, Wei-Dong Z.Molecules
Inglis C.M.,Manzano R.A.,Kirk R.M.,Sharma M.,Stewart M.D.,Watson L.J.,Hill A.F.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Laaroussi H.,Ding Y.,Teng Y.,Deschamps P.,Vidal M.,Yu P.,Broussy S.Journal of Organic Chemistry
Alekseeva K.A.,Nadirova M.A.,Zaytsev V.P.,Nikitina E.V.,Grigoriev M.S.,Novikov A.P.,Kolesnik I.A.,Mayer B.,Müller T.J.J.,Zubkov F.I.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의약품합성화학>에 이어 유기화학 지식을 기반으로 합성화학적 이론을 세분화하여 이해하고, 의약품의 합성에 필요한 다양한 유기반응들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학부 고학년 및 대학원 유기화학 전공자들을 위해 개설한 교과목으로 유기 분자의 구조와 반응성 및 유기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기초적인 사항을 다룬다. 유기화합물의 구조, 반응성 및 특성을 연구하는데 사용하는 물리적인 방법, 유형별 유기반응 메카니즘, 구조의 변화와 반응 메카니즘 및 반응성의 상관 관계 등을 고찰한다.전선 / 대학원
복잡한 구조의 천연물 전합성을 논의한다. 음이온, 양이온, 라디칼, 카베노이드를 중간체로 하는 반응들과 페리사이클릭 반응, 유기금속반응들이 복잡한 구조의 합성에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고찰한다.전선 / 학사
본 분석화학 강의는 미지시료를 알아내고 분리하고 정량적으로 측정해내는 분석기법의 기본 화학의 이론적 기반을 다룬다. 강의 초반에는 시료의 준비 및 측정값의 통계처리. 정량분석을 위한 화학평형 이론을 다룬다. 강의 중반에는 화학평형을 활용한 다양한 분석화학지식을 배운다. 분석시료로서 용해된 이온 및 화학분자들의 구조와 이를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산염기, 착화물, EDTA적정법의 원리를 다룬다. 이를 바탕으로 전기화학적 정량 분석법을 다룬다. 강의 후반에는 화학분자의 흡광 및 형광분광법 이론과 이에 기반한 다양한 정량 분석 이론을 다룬다. 나아가, 시료의 분리분석의 기초 이론을 간단히 다룬다.전필 / 학사
약화학에 대한 기본개념파악, 화합물의 구조, 반응성 등을 이해시킴으로서 장차 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능기별로 분류된 유기화합물의 명명법, 성상 및 물성, 제법, 반응성, 응용 등을 포괄적으로 강의하며 아울러 최신 유기반응이론, 입체화학, spectroscopy, 복소환식 화합물 등을 포함하여 강술한다전선 / 대학원
유기합성화학을 두가지 관점에서 심도있게 강의한다. 첫번째는 비대칭합성방법이고 두번째는 고리화합물의 합성법이다. 위의 두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유기합성의 동향과 효율적 방법들을 다양한 주제의 논문들을 참고하여 제시함으로써 대학원생들이 실질적 물질 합성에 활용될 수 있고자 한다.전필 / 학사
이 수업은 응용생명화학전공 학부생에게 전공 연구내용을 소개하고 관련 지식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 수업을 통해 수강생들은 응용생화학 (구조생물학, 미생물생화학, 분자생물학, 생물리화학, 생화학, 유기합성천연물화학) 및 농업환경화학 (농약화학 및 독성학, 식물영양유전체학, 토양학)의 이해에 필요한 지식을 익히고 관련 최신 연구 동향 및 연구 내용을 파악할 것임.전필 / 학사
의약품합성화학은 유기화학 지식을 기반으로 합성화학적 이론을 세분화하여 이해하고, 의약품의 합성에 필요한 다양한 유기반응들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필 / 학사
재료공학부 전공과정을 이수하기 위하여 알아야 할 유기화합물의 구조 및 특성, 유기반응과 이들을 이용한 새로운 재료의 합성에 대해 강의한다. 앞으로 재료는 유기재료 또는 무기재료의 뚜렷한 구분이 없이 함께 사용되거나 각각의 장점을 조화시킨 혼성재료 형태로 개발될 것이다. 유기재료화학은 재료공학을 전공한 사람이 새로운 재료개발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유기화학 개념을 제공할 것이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유기화학 강의와 병행하여 nitration, sulfonation, diazotization, coupling reaction, Friedel-Craft reaction, oxidation, reduction, halogenation, saponification 등 여러 단위 공정들에 의한 유기화합물들의 합성을 시도하며, 합성된 유기화합물들을 화학분석 및 기기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이들의 물성과 구조를 밝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대학원 및 학부 고학년 유기화학 전공자들을 위해 개설한 교과목으로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부분은 화합물의 구조와 상관된 반응성의 이해를 위한 분자결합 이론, 입체화학, 형태이론에 관해 배운다. 두 번째 부분은 앞에서 다룬 이론적 바탕에서 친핵성 치환반응, 부가 반응, 제거 반응, 방향족 친전자성 반응 및 페리 사이크릭 반응 등 반응(메커니즘)을 고찰한다전선 / 학사
해양환경에서 다양한 유기물의 생태적 기능은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유기화학 기본 개념에 대해 공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 환경 내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유기물과 이들 물질의 생태적 기능 및 생리적 역할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실험에서는 해양유기물의 다양한 추출법,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해양유기물의 분리 및 정제법이 다루어진다.전필 / 학사
화학의 모든 분야에 관련된 기본적인 여러 가지 화학반응 평형에 대한 체계적 접근방법을 다룬다. 그리고 농도, 활동도, 무게와 부피 분석법, 침전물의 생성반응을 이용한 적정법, 산 염기 중화반응과 이에 따른 적정법, 킬레이트 착화합물 생성반응과 이를 이용한 금속이온의 정량과 적정법을 다룬다. 이런 기본적인 화학반응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미지시료의 화학적 성분과 조성, 함량, 농도를 측정하는 원리와 방법을 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