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생명과학부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재료공학부
막대한 자원 및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막거나 멈추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용 억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이 강의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올바른 재료의 선택, 재료의 제조 그리고 재료의 재활용 등 재료의 생애주기를 따라가면서 어떻게 하면 최소의 자원과 에너지 소비 속에서 우리의 문명을 지속시킬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보건학과
보건통계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서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 및 평가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습득하게 한다. 본 교과목의 내용은 주로 일반통계부문에서 평균치와 산포도, 정규분포 및 그외 여러가지 성질, 카이자승분포, 포아슨분포, F분포와 그의 검정법, 추정법, 분산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법을 포함한다.에너지자원공학과
다공질 지층 내에 존재하는 유체, 즉 석유, 가스, 그리고 지하수의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암석의 물리적 성질과 암석내에서 지하유체분포 제어기능, 지하유체의 물리적 특성 및 상거동 등을 학습하며 이와 관련된 실험이 수행된다.수리과학부
생명과학을 전공할 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로서 전염병 전염모델의 연립 미분방정식과 축차근사법을 이용한 해 등 자연현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생명과학 관련 현상들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과 그 해법을 소개한다. 수학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재료역학은 자연 또는 인공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특성을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응력과 변형도, 변형과 변위, 탄성과 비탄성, 변형에너지, 하중지지능력 등의 기본개념을 소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다양한 역학 및 구조 시스템의 해석과 설계에 요구되는 전문지식 형성의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역학문제를 다루는 실험시간을 통하여 개념적인 강의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국악과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 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를 깊게 한다. 전통음악을 주로 소개하며, 창작음악의 경우 전통음악을 의식적으로 수용한 작품을 소개한다. 1, 2학기 연강이다.재료공학부
재료공학의 입문자에게 재료공학의 역사 및 학문의 구성원리를 소개한다. 재료공학 전반의 강의구성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통해 능동적으로 수학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재료공학을 전공한 선임자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재료공학의 응용 사례를 탐방함으로써 재료공학이 산업 및 연구계에서 실증적으로 활용됨을 체험하여 재료공학 이론의 습득 필요성을 인지한다.수리과학부
선형대수학 1에서는 벡터 공간, 선형 변환과 행렬, 일차 연립 방정식 풀이, 행렬식, 대각화 등을 공부한다. 일차 연립방정식의 근들의 집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벡터 공간을 이해해야 한다. 벡터공간의 기저와 차원, 그리고 이를 정의하기 위해 벡터들의 일차독립과 일차종속에 대해서 배운다. 이어서 벡터공간들 사이의 선형변환과 행렬 간의 관계성에 대해서 배우며 이 때 영공간과 치역의 차원과 원래 벡터공간의 차원과의 관계를 배운다. 벡터 공간과 선형 변환을 배운 이후 행렬이 주어져 있을 때 기본행렬변환을 사용하여 행렬의 차수와 그 역행렬을 구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를 이용하여 일차연립방정식의 해를 잘 기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행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행렬식과 대각화에 대해서 배우며, 행렬이 만족해야 하는 Cayley-Hamilton 정리를 배운다. 마지막으로 내적공간과 Gram-Schmidt 직교화에 대해 배우며, 이를 이용하여 어떤 선형변환이 직교대각화 가능한지에 대해 배운다.제약학과
약물속도론이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과정을 속도론적 입장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이와 같은 약물의 생체내 이행을 간단한 모델로 가정하여 투여후의 약물의 혈중농도, 소실반감기, 대사속도, 배설속도 및 축적량 등을 정량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생체 내에서의 약물현상의 기구를 해명하고, 투여량, 투여간격 및 투여제형을 적절히 규정하여 투여계획의 설계와 나아가서 보다 유효하고 안정성이 높은 제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속도론의 목적이다. 약물체내 동태의 현상을 수식화하여 콤파트먼트 분석을 강의한다.
loading...
약학대학 제약학과 / 대학원
2025-1학기
약물속도론이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과정을 속도론적 입장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이와 같은 약물의 생체내 이행을 간단한 모델로 가정하여 투여후의 약물의 혈중농도, 소실반감기, 대사속도, 배설속도 및 축적량 등을 정량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생체 내에서의 약물현상의 기구를 해명하고, 투여량, 투여간격 및 투여제형을 적절히 규정하여 투여계획의 설계와 나아가서 보다 유효하고 안정성이 높은 제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속도론의 목적이다. 약물체내 동태의 현상을 수식화하여 콤파트먼트 분석을 강의한다.
Basic concepts in pharmacology : a student's survival guide
Basic concepts in pharmacology : a student's survival guide
Translational ADMET for drug therapy : principles, methods,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Translational ADMET for drug therapy : principles, methods,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임상약물동태학의 개념과 응용
임상약물동태학의 개념과 응용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임상약동학·약력학 :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의 원리
임상약동학·약력학 :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의 원리
Concepts in clinical pharmacokinetics : a self-instructional course
Concepts in clinical pharmacokinetics : a self-instructional course
Pharmacodynamic basis of herbal medicine
Pharmacodynamic basis of herbal medicine
Drug benefits and risks : international textbook of clinical pharmacology :
Drug benefits and risks : international textbook of clinical pharmacology :
Pharmacology
PharmacologyDrug responses in man
Drug responses in manImportance of fundamental principles in drug evaluation
Importance of fundamental principles in drug evaluation
Handbook of clinical drug data.
Handbook of clinical drug data.
Basic concepts in pharmacology : what you need to know for each drug class
Basic concepts in pharmacology : what you need to know for each drug class
Rang and Dale's pharmacology
Rang and Dale's pharmacologyRang and Dale's pharmacology
Rang and Dale's pharmacology
Principles of pharmacology : the pathophysiologic basis of drug therapy
Principles of pharmacology : the pathophysiologic basis of drug therapy
A pharmacology primer : theory, applications, and methods
A pharmacology primer : theory, applications, and methods
Neuropharmacology of polyamines
Neuropharmacology of polyamine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Kumar R.,Kumar R.,Khurana N.,Singh S.K.,Khurana S.,Verma S.,Sharma N.,Kapoor B.,Vyas M.,Khursheed R.,Awasthi A.,Kaur J.,Corrie L.Biopharmaceutics and Drug Disposition
Shim, Hyun J.; Lee, Eun J.; Kim, Jung H.; Kim, Soon H.; Kwon, Jong W.; Kim, Won B.; Cha, Shin‐W.; Lee, Myung G.Marine Drugs
Tian W.,Yang L.,Wu D.,Deng Z.,Hong K.Journal of chromatographic science
Chen M; Shen X; Yang X; Yin Q; Tian D; Li L; Lu C; Ye CJ; Chen Y; Yan L; Wang FActa Pharmaceutica Sinica B
Shen B.,Shen C.,Zhu W.,Yuan H.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Oggianu L.,Garrone B.,Fiorentini F.,Del Bene F.,Rosignoli M.T.,Di Giorgio F.P.,Kaminski R.M.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Barth A.,Hossain M.,Brimhall D.B.,Perry C.R.,Tiffany C.A.,Xu S.,Dumont E.F.CPT: Pharmacometrics and Systems Pharmacology
Djebli N.,Parrott N.,Jaminion F.,O'Jeanson A.,Guerini E.,Carlile D.Pharmaceutics
Dong J.,Wang S.,Mao J.,Wang Z.,Zhao S.,Ren Q.,Kang J.,Ye J.,Xu X.,Zhu Y.,Zhang Q.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Seo, Seong-Wook; Choi, Soon Ho; Hong, Jung-Ki; Kim, Kyoung Mi; Kang, Se Chan; Yoon, In-SooCannabis and Cannabinoid Research
Benson M.J.,Anderson L.L.,Low I.K.,Luo J.L.,Kevin R.C.,Zhou C.,Mcgregor I.S.,Arnold J.C.한국균학회지
한상민, 김지윤, 이종수Malaria Journal
Xie Y.,Liu H.,Sun Y.,Xing J.Medical mycology
Gu K; Spitz R; Hammett E; Jaunarajs A; Ghazaryan V; Garvey EP; Degenhardt TClinical Pharmacokinetics
Di Paolo V.,Ferrari F.M.,Poggesi I.,Quintieri L.CPT: Pharmacometrics and Systems Pharmacology
Yau E.,Gertz M.,Ogungbenro K.,Aarons L.,Olivares-Morales A.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Zhang L.,Wicha W.W.,Bhavnani S.M.,Rubino C.M.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Kamp J.,Jonkman K.,van Velzen M.,Aarts L.,Niesters M.,Dahan A.,Olofsen E.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Ahn J.E.,Carrieri C.,Dela Cruz F.,Fullerton T.,Hajos-Korcsok E.,He P.,Kantaridis C.,Leurent C.,Liu R.,Mancuso J.,Mendes da Costa L.,Qiu R.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Li Z.,Li Z.,Yu H.,Wang B.,Song W.,Liu J.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임상약물계량학이란 약물의 약동/약력 현상을 수학적으로 정량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존에는 약물의 효과나 부작용을 예측하기 위해 약물 혈중농도에 기반한 약동학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약물 혈중농도와 실제 효과 및 부작용 간의 상관관계가 부족하다는 지론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약동뿐만 아니라 약력 현상까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더욱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약물계량학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약물계량학은 집단약동학은 물론 약동/약력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그 범위 및 활용도가 매우 높은 학문이다. 본 임상약물계량학 교과과정은 강의와 토론을 통해 이러한 약물계량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실습을 통해 그 활용 능력을 계발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이 약물계량학을 통해 "맞춤약물치료"를 위한 최적 용량ㆍ용법개발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데에 그 궁극적 목표를 둔다전필 / 학사
약물작용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의임상에서 활용되는 약물의 작용과 효율적인 약물치료법에 대하여 소개하는 교과목이다. 내분비계에 작용하는 약물, 항균제, 항진균제, 구충제및 항암제의 약리작용에 대하여 공부하며, 아울러 동물종 간의 약리작용의 차이, 약물의 처방, 안전휴약기간의 설정, 설명서외 사용 등에 대하여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소개된다. 교과서: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R Adams, 8th)전선 / 대학원
특정기관, 조직에 작용 및 분포하는 약물에 관한 작용, 기능, 기전, 대사 등에 관한 특이성, 원리 등에 관해 강의, 토론 및 실험적 연구를 수행함.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신약개발의 전반적 과정의 설명하고, 약물디자인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약물 작용기전을 약물과 표적분자인 효소, 수용체, 핵산, 지질, 당과의 작용관계를 분자 수준에서 강의하고, 약물 분자구조와 활성간의 상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약리작용단, 생체활성구조, 생동등체, QSAR등의 개념을 강의한다. 또한 신약개발 과정에 필요한 약물의 체내 동태 및 대사, 독성, 전구약물의 개념을 이해하며, 개발기술로서 유효물질 도출기술, 조합화학, 분자모델링등도 강의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약물 용량과 시간-혈중농도 관계를 해석하고 환자 개별적인 임상적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를 최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약물용량 결정을 위해 임상 약동학, 약력학적인 활용을 배운다. 약물의 분포용적에 대한 이해로 목표 농도 도달을 위한 부하용량과 적정농도 유지를 위한 유지용량을 산출하고, 소실 반감기를 계산하여 투여간격을 결정하는 방법을 함양토록 한다. 치료영역이 좁은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 소아, 신부전 및 간부전 환자 등 취약계층 환자의 약동학적 파라미터 및 혈중농도 모니터링을 통해 의료진에게 최적의 용량 및 투여간격을 제안할 수 있도록 환자의 임상약동학적 상태에 따른 약물요법을 관리하는 과정 전반에 대해 학습한다. 임상현장에서 TDM이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aminoglycosides, warfarin, carbamazepine, phenobarbital, phenytoin, valproic acid, vancomycin, digoxin의 약물에 대하여 임상약동학의 지식에 기반하여 사례중심의 problem-based learning (PBL) 학습방법으로 TDM 수행과정을 실습한다.전선 / 대학원
약물이 체내에서 약효를 나타내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효를 극대화하는 최적 약물요법을 수행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본 강좌에서는 약물 작용의 기본 개념인 약동학, 약력학, 약동-약력학 관계를 다루며, 약물반응의 다양성의 원인과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최적의 약물요법 실현을 위한 임상 적용을 다룬다. 또한 최적의 약물 개발을 위한 신약개발과정 전반을 다루며, 최신 기술을 접목한 임상시험 연구방법을 다룬다. 이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은 최적 약물요법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과 최신 지견을 배운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약학지식을 응용하여, 신약후보물질의 탐색(Discovery)과 규제기관의 기준에 부합하는 신약의 개발(Development)에 관한 원리를 포괄적으로 학습하는 과목이다. 또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약품의 새로운 투여방법이나 투여형태의 개발에 관하여 학습한다.전선 / 학사
약물의 체내동태 특성은 흡수,분포,대사 및 배설 과정에 의해 결정되며, 그 변동은 약물의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각 개인의 유전자적 특성에 따른 약물 수송체와 대사효소의 기능과 다양성을 이해하여, 최적의 약물 치료효과와 그 변동을 예측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약물의 효능(efficacy와 afficnity)을 분자, 세포, 조직, 개체수준에서 평가하는 이론적 배경과 그 기법에 대하여 강의를 통하여 소개하는 교과목이다. 주요 강의 내용으로는 약물수용체이론, 흥분성 세포(근육, 신경세포) 및 단일이온채널에 대한 약물작용의 분석 등이 포함되어있다. 강의자료: Pharmacologic analysis of drug-receptor interaction. (T Kenakin). Single channel analysis (B Sakman and E Neher)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약사 및 약학자 양성에서 환경성 물질(의약품 포함)의 독성을 이해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며 이를 기반으로 신약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 또한 본 강좌는 환경성 물질이 유발하는 염증, 대사질환, 암 등과 같은 질병의 발생에 기여 하는 생리학적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신약개발의 기초를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전선 / 대학원
임상약동학은 임상약과학의 한 분야로서 약물치료 중에 있는 환자나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에게 어떤 약물을 투여했을 때 나타나는 그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의 현상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임상약력학은 이와 같은 환자에게서 발견한 약물의 농도와 임상 반응의 관계를 해석하고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 과목은 대학원 과정으로서 학부의 임상약동학 과목에서 배우지 못한 높은 수준의 임상약동학과 임상약력학의 원리와 응용에 대하여 강의하고 실습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인체가 투여한 의약품을 흡수 및 처리하는 과정 및 의약품의 체내노출-임상반응 관계를 학습하는 과목이다. 이 과목은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이나 환자를 치료하는 임상현장에서 개별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의 투여 용량과 용법을 결정하는 약동학 및 약력학 기법을 가르치는 것이 핵심이다.전선 / 대학원
약물속도론이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과정을 속도론적 입장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이와 같은 약물의 생체내 이행을 비교적 간단한 모델로 가정하여 투여 후의 약물의 혈중농도, 소실반감기, 대사속도, 배설속도 및 축적량 등을 정량적으로 예측함으로써 ① 생체내에서의 약물현상의 기구를 해명하고 ② 투여량, 투여간격 및 투여제형을 적절히 규정하며 ③ 나아가서 보다 유효하고 안정성이 높은 의약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속도론의 목적이다. 본 강좌를 수강하기 전 <약물동태학특강>의 수강이 필수이며 강의담당자에게 사전 상의할 것을 권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제제학 및 약물동태학의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약물 투여 후 약물의 체내동태를 심도있게 학습하고 비선형 약물동태를 나타내는 경우 그 기전과 해석을 학습함. 약물동태학과 생물약제학 연구가 실제 약물치료 및 신약개발에 적용되는 사례 및 약물상호작용의 기전, 바이오의약품의 약물동태, 약물유전체학의 기초에 대해 학습함.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실제 임상에서 환자의 치료에 활용되는 약물들, 특히 화학요법제의 약리작용, 부작용 및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핵심내용을 학습함. 또한 각 질환에 사용되는 약물의 독성 및 상호작용 이해를 통하여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투약법의 이해를 극대화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