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loading...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 대학원
본 강좌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고급 대학원 과정으로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관련 최신 연구 주제를 다룬다. 주요 주제는 매학기 마다 달라질 수 있다. 이 강좌는 교수의 강의, Term Project 발표 그리고 일회 이상의 시험으로 구성된다.
Thinking in C++
Thinking in C++Database : a primer
Database : a primer
Black Hat Python : 해커와 모의 침투 테스터를 위한 공격용 파이썬 프로그래밍
Black Hat Python : 해커와 모의 침투 테스터를 위한 공격용 파이썬 프로그래밍
HTML 4 for the World Wide Web
HTML 4 for the World Wide Web
손에 잡히는 10분 SQL : 가볍게 시작하는 데이터 분석의 첫걸음
손에 잡히는 10분 SQL : 가볍게 시작하는 데이터 분석의 첫걸음
Computer architecture : a minimalist perspective
Computer architecture : a minimalist perspective
File organization for database design
File organization for database design
Web 2.0 for librarians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Web 2.0 for librarians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Microsoft Windows 2000 driver development reference.
Microsoft Windows 2000 driver development reference.
(라즈베리 파이와 윈도우 10 IoT 코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프로그래밍
(라즈베리 파이와 윈도우 10 IoT 코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프로그래밍
Operating systems principles
Operating systems principles
The Go programming language
The Go programming languageWindows terminal services
Windows terminal services
マイクロソフト戦記 : 世界標準の作られ方
マイクロソフト戦記 : 世界標準の作られ方
Mastering Solaris 2
Mastering Solaris 2
C++ interactive course
C++ interactive course
(10일에 끝내는) Java 입문 교실
(10일에 끝내는) Java 입문 교실
Essentials of FORTRAN programming
Essentials of FORTRAN programming
Standard FORTRAN programming
Standard FORTRAN programmingBMJ HEALTH & CARE INFORMATICS
Morris, Andrew D.; Sebire, Neil J.; Cake, CarolinePROCEEDINGS OF THE 54TH ACM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VOL 1, SIGCSE 2023
Iwasaki, Ishin; Hardin, Caroline D.Empirical Software Engineering
Alahmadi M.,Khormi A.,Parajuli B.,Hassel J.,Haiduc S.,Kumar P.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IEEE Journal of, IEEE J. Sel. Top. Appl. Earth Observations Remote Sensing
Proceedings of the ACM on Programming Languages
Van Strydonck, Thomas; Piessens, Frank; Devriese, Dominique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Han, Hojae; Kim, Jaejin; Yoo, Jaeseok; Lee, Youngwon; Hwang, Seung-WonFormal Methods in System Design
Tiago Cogumbreiro; Julien Lange; Dennis Liew; Hannah ZicarelliInternational Journal of Intelligent Networks
Karthikeyan P.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우종정, 안치현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Wu J.,Luo S.,Wang S.,Wang H.Applied Thermal Engineering
Zhang J.,Wang Z.,Li S.,Wei P.Ore Geology Reviews
Qiu Q.,Tian M.,Ma K.,Tan Y.J.,Tao L.,Xie Z.政法学刊 /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and Law
屈佳; Qu JiaAntiquity
Hyvönen E.,Rantala H.,Ikkala E.,Koho M.,Tuominen J.,Anafi B.,Thomas S.,Wessman A.,Oksanen E.,Rohiola V.,Kuitunen J.,Ryyppö M.Journal of Management Analytics
Sokolova M.V.,Gómez F.J.,Borisoglebskaya L.N.Automated Software Engineering: An International Journal
Pattipati, Dileep Kumar; Nasre, Rupesh; Puligundla, Sreenivasa KumarPROCEEDINGS OF THE 25TH ACM SIGPLAN SYMPOSIUM ON PRINCIPLES AND PRACTICE OF PARALLEL PROGRAMMING (PPOPP '20)
Nikolaev, Ruslan; Ravindran, BinoyHeliyon
Rubén Alonso; Rodolfo E. Haber; Fernando Castaño; Diego Reforgiato RecuperoIEEE Transactions on Computer-Aided Design of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Song C.,Chen X.,Liu D.,Li J.,Tan Y.,Ren A.IEEE Micro, Micro, IEEE
Aananthakrishnan, S.; Abedin, S.; Cave, V.; Checconi, F.; Bois, K.D.; Eyerman, S.; Fryman, J.B.; Heirman, W.; Howard, J.; Hur, I.; Jain, S.; Landowski, M.M.; Ma, K.; Nelson, J.; Pawlowski, R.; Petrini, F.; Szkoda, S.; Tayal, S.; Tithi, J.J.; Vandriessche, Y.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디자인 연구 목적에 따라 디자인 연구를 설계하고 접근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다른 연구 분야와 디자인 연구를 접목하여 새로운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디자인 연구를 연구 디자인(Research Design) 관점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 목적을 위해 연구를 설계하는 과정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디자인 연구의 본질에 대한 고민과 다른 분야와의 접목 가능성을 토론하여 디자인 연구 범주를 폭넓게 생각하고 새로운 연구를 제안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 이를 위하여 자료/논문 검색법, 연구의 기본 개념, 연구를 위한 툴과 같은 디자인연구에 필요한 기본내용을 탐구한다.전선 / 대학원
모든 시설은 지역이라는 테두리내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밀접한 연관관계를 유지한다. 본 강좌는 지역 시설들의 정보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계측, 구현,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본 강좌는 먼저 지역 정보의 특성과 정보계측방법, 정보가공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정보가공도구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므로, 학생들은 UML, program language, database등에 대해 공부해야 한다. 이로써 지역이라는 실제공간을 정보를 매개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그리고 프로젝트를 통하여 지역정보의 계측 및 응용능력을 배양한다.전필 / 학사
본 과목은 <디지털영상실습1>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영상 제작 심화 코스이다.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영상콘텐츠의 제작 및 표현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데이타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 그래픽스, 운영체계 등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있어서의 최신 동향과 주요 주제를 다룬다.전선 / 대학원
빅데이터 혹은 대용량 고차원 데이터의 출연으로 현대 통계학에서 계산의 중요성은 과거의 어떤 때보다 더 중요하게 되었다. 이 과목에서는 빅데이터를 다루는데 필요한 최신의 계산 기법들, 즉 GPU를 이용한 통계계산과 병렬처리를 활용한 통계계산의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전필 / 학사
본 강좌에서는 계산과학을 위한 수치연산 프로그래밍의 고급 방법론에 대해 강의하며, 이를 실습하기 위한 Python 심화 프로그래밍을 학습한다. 중대형 규모의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의 이론을 학습하게 되며, 이는 성능 분석, 최적화, 디자인 패턴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Python과 C를 이용한 모듈 작성 및 임포트를 실습을 통해 배운다. 나아가, 학습한 알고리듬을 구현하고 결과를 간단하게 가시화 해볼 수 있는 Python 확장 모듈들의 사용법에 대해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프로그래밍 언어분야의 이론 및 응용기술의 기초와 첨단 연구를 다룬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나날이 상위의 수준으로 올라 가고 있고,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도구들은 엄밀한 논리의 정교한 지능을 가지고 프로그래머들을 편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미래를 가능하게 하는 연구를 다룬다.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구조, 프로그램 정적분석 및 검증, 프로그램 합성, 프로그래밍 논리, 분석도구, 검증도구, 프로그래밍 환경도구 등을 다룬다.전선 / 학사
본 강좌에서는 실제 정보디자인 컨텐츠 제작 실습을 통하여 개념적이고 시각적인 솔루션을 탐색하고 정보를 구성, 시각화 및 전달하는 창의적인 프로세스를 탐구한다. 본 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디자인 도구 및 컴퓨터 미디어를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전달 가능한 인포그래픽스, 시각화 애니메이션, 공공 장소에서의 대형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로 구성할 수 있다. 실습과 더불어 예술, 디자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과학기술연구 분야의 읽기 자료와 프로젝트에 관한 토론을 통하여 정보디자인의 원칙, 장르 및 사회적 함의를 탐구한다.전선 / 대학원
자료구조 및 알고리듬을 학습한 학부 학생들이 대량의 데이터를 메모리 및 디스크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모델에 대한 학습과 실제 시스템의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관계형 모델, 객체지향형 모델, SQL 질의 언어, 파일 시스템 구조, B+tree 및 해쉬 인덱스 구조, 질의처리 및 최적화, 트랜잭션처리, 동시성 제어, 그리고 회복 방법 알고리듬을 학습하고 프로그래밍 프로젝트를 통하여 강의에서 배운 여러 가지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을 구현하도록 한다.공통 / 대학원
컴퓨팅, 기계학습 알고리즘 및 확률/통계의 추론적 사고를 결합한 데이터사이언스는 데이터로부터 통찰력과 새로운 지식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다. 본 과목은 여러 전공의 대학원에 들어온 학생들이 데이터를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 지식과 분석 능력 배양 등 융복합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더불어 학생들에게 데이터 중심적인 사고와 이를 통한 의사 결정 및 문제 해결도 가르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에서는 전자상거래 및 e비지니스의 개요와 기본적인 웹프로그래밍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학생들은 이것과 관련된 최신 주제를 선정해서 발표해야 하며, 기말 팀 프로젝트에도 참여해야 한다.전선 / 대학원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 산업, 시장의 변화 동인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공공의 역할과 정부 정책의 변화 방향을 분석한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정보·콘텐트, 유통플랫폼, 소셜미디어, 스마트 공간과 모빌리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확산에 따른 국내외 거대 사업자의 등장과 알고리즘의 윤리성 등을 학습하고, 글로벌 경쟁환경에서 한국기업의 경쟁력과 정부 정책과 제도의 정립에 관하여 토의한다.전선 / 대학원
객체지향시스템특강은 프로그래밍언어ㆍ데이터베이스ㆍ소프트웨어공학 등에서 객체지향 개념들이 어떻게 자리 잡고 진화하고 있는지를 다루는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아래 2가지 주제를 번갈아 다루게 된다. (1) 현재 모든 DBMS들은 Object-Oriented Feature들을 포함하고 있는 Object-Relational DBMS 이다. 본 과목에서는 Object-Relational DBMS의 model, functionality, performance enhancement를 다루게 된다. (2) Object-Oriented SW Construction은 근대화된 SW Coding에서 아주 중요한 issue인데, 본 과목에서는 Object-oriented SW Construction의 techniques (예, design patterns, code factorization) 등을 다루게 된다.전필 / 학사
CAAD의 원리와 개념, 그리고 설계에의 응용에 대해 다루고, 이미지 합성과 애니메이션, 웹페이지 작성에 대해서도 실습한다. 실습위주로 진행되며 학생들은 개별 혹은 집단별 프리젠테이션을 하게 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조선해양공학 문제와 관련하여 교수진의 지도 하에 이뤄지는 첫번째 개별 연구 프로젝트이다. 수행하는 연구는 수학적 분석,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장치 제작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연구실탐방을 통한 연구경험 보고서 및 조선해양 학사논문연구 2의 근간이 되는 연구제안서 제출이 요구된다. 본 과목을 통해 논문작성 기초지식을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석사과정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며 상호작용을 하는 무인이동체의 복수분야에 대해 임무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설계안을 선정하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추구한다. 무인이동체의 공력과 구조, 형상과 소음 등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복수분야 최적화 설계는 단일분야에 비하여 실용적이며 고난도이다. 상호작용을 하는 설계변수를 도출한 후 효율적인 DSM을 작성하고 설계문제로 구체화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이 교과과정에서 대학원생은 최적화 대상이 되는 무인이동체의 개별분야에 대한 해석모듈을 학습한 후 임무분석을 통해 도출된 설계목적과 요구조건에 따라 설계변수와 공간을 설정하고 통계적 또는 확정적 방법론에 따라 최적화를 수행한다. 확정적 또는 신뢰성 기반, 강건 최적설계를 통해서 도출된 최적안들에 대해 평점모형 등 다속성 의사결정기법 또는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하게 된다. 이 교과를 통해 석사과정 대학원생은 최적설계 기반 의사결정 과정을 실제 산업현장에 활용하는 방법을 실습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생산서비스운영 (OM) 분야의 연구를 이해하기 필요한 기본적인 확률론 및 분석기법을 살펴본다. 다양한 OM 이론분석 연구에 사용되는 확률과정론을 이해하고, Probability, Poisson Process, Continuous time Markov Chains and Queueing Theory와 같은 개념을 익혀본다. 확률과정론을 활용하여 OM 분야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적용 예를 살펴보고, 응용을 위한 미니 프로젝트를 수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의 ABC(AI model/algorithm, Big data, Computing) 교육 과정 중 빅데이터(B) 분야 첫번째 강좌이다. 이 강좌에서는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 분야를 위한 데이터 관리의 원론을 가르친다. 이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관리의 이론적 배경: 데이터 종류, 1차 논리, 2차 논리, 관계 논리와 관계 대수, 스키마, 정규화 - 관계데이터베이스: 개체-관계 모델, 트랜잭션, 동시성 제어, 로깅, 복구, SQL, OLTP, 쿼리 최적화 - 분산형 및 연합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 애널리틱스: OLAP, 컬럼 스토어, ETL, 작업 데이터 저장소,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레이크,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디자인: Postgres 또는 MySQL을 이용한 B-tree 구현 등 - 데이터 처리: 파이썬의 NumPy, Pandas 등을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