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수리과학부
행렬 연산의 기초를 배우고 이를 응용해 연립일차방정식을 풀어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선형대수학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고 그 내용이 수학 및 인접 분야에 어떻게 응용되는지 알아본다. 세부 내용으로, CR분해와 선형독립, LU분해와 일차연립방정식, 영공간과 열 공간, 선형사상과 행렬식, 직교성과 QR분해, 고윳값과 고유벡터, 대각화, 특잇값 분해를 배운다. 시간이 남으면 유니타리 행렬, 스펙트랄 정리, 고속푸리에변환 등을 소개한다..지구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에서는 다른 과학과목의 실험과는 실험형태와 방법이 현격히 다르다. 예를 들면 지질암석분야의 실험은 실내보다는 야외조사가 기본이 되고 있으며 따라서 관찰기록이 중요한 연구자료가 될 수 있다. 반면에 대기,해양,천문 등에서는 이미 생산된 자료의 조작과 분석이 중요한 연구활동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탐구조사과정의 차이를 실제의 실험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몸에 익히도록 하고 있다.지구과학교육과
지구의 구성 부분 중 유체에 해당되는 해양의 물리적인 특성과 운동 및 그에 수반되는 에너지, 운동량, 물질수송 등과, 대기와 해양의 계면(interface)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 등을 다룬다. 실험의 내용은 해수의 운동과 염분, 수괴의 특징, 해류, 조류, 파랑 등 해양에서 일어나는 제반 물리적 현상을 포함하며, 한국 근해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한다.생명과학부
현대 생물학 제분야의 기초지식을 한 학기 동안에 강의하는 과목이다. 생명의 기원, 생명체의 구성물질, 생체산화환원, 세포유전, 물질대사, 생식 및 발생, 호르몬, 감각기관, 신경계의 통합과 조정 운동, 생물의 분류, 생물의 진화, 생태계 등을 강의한다.작곡과
17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는 다양한 양식의 다성음악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습이 진행된다. 매주 분석한 다성음악을 바탕으로 한 대위법적 기술을 응용하여 학생들이 곡을 써오며 이것을 평가하는 형식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이를 통해 보다 분석적이고 실제적인 작곡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loading...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 대학원
권장 선수과목 정밀화학 및 고분자특강(458.703) , 대학원 화학연구교육 세미나(M1409.001000)
최근에 발표된 새로운 고분자의 합성법을 알아보고 특히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밀중합에 대해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Natural and synthetic polymer : an introduction
Natural and synthetic polymer : an introduction
Handbook of conducting polymers.
Handbook of conducting polymers.
Polymeric biomaterials
Polymeric biomaterials
Degradation and stabilization of polymers : theory and practice
Degradation and stabilization of polymers : theory and practice
Advances in polymer science, v.70= Fortschritte der Hochpolymeren-Forschung
Advances in polymer science, v.70= Fortschritte der Hochpolymeren-Forschung
Mechanical properties of solid polymers
Mechanical properties of solid polymers
(新版)高分子辭典
(新版)高分子辭典
Polymerization and polycondensation processes : symposium held during the 169th national meeting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Philadelphia, Pennsylvania, April 7-10, 1975
Polymerization and polycondensation processes : symposium held during the 169th national meeting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Philadelphia, Pennsylvania, April 7-10, 1975
Polymer data handbook
Polymer data handbook
Polymer processing
Polymer processing
Multiphase macromolecular systems
Multiphase macromolecular systems
Advances in polymer science, v.48-51 : Fortschritte der Hochpolymeren-Forschung
Advances in polymer science, v.48-51 : Fortschritte der Hochpolymeren-Forschung
Group interaction modelling of polymer properties
Group interaction modelling of polymer properties
New methods of polymer synthesis
New methods of polymer synthesis
Photoinitiated polymerization
Photoinitiated polymerization
Monomers, polymers and composites from renewable resources
Monomers, polymers and composites from renewable resources
Characterization of highly cross-linked polymers
Characterization of highly cross-linked polymers
Biological and synthetic polymer networks
Biological and synthetic polymer networks
Design and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d polymer blends and nanocomposite systems
Design and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d polymer blends and nanocomposite systems
Polymer blends and alloys
Polymer blends and alloy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Reactive and Functional Polymers
De Jesús-Téllez M.A.,De la Rosa-García S.,Medrano-Galindo I.,Rosales-Peñafiel I.,Gómez-Cornelio S.,Guerrero-Sanchez C.,Schubert U.S.,Quintana-Owen P.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Gracia-Medrano-Bravo V.A.,Merklein L.,Oberle N.,Batora M.,Scharfer P.,Schabel W.CCS CHEMISTRY
Cornel, Erik Jan; Jiang, Jinhui; Chen, Shuai; Du, JianzhongBiomacromolecules
Wohlhauser S.,Rader C.,Weder C.Angewandte Chemie - International Edition
Xu S.,Liao Z.,Dianat A.,Park S.W.,Addicoat M.A.,Fu Y.,Pastoetter D.L.,Fabozzi F.G.,Liu Y.,Cuniberti G.,Richter M.,Hecht S.,Feng X.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Ye S.,Cheng S.,Pollit A.A.,Forbes M.W.,Seferos D.S.,Seferos D.S.Chemical Communications
Gong X.,Zhang J.,Jiang S.ACS Applied Energy Materials
Li Z.,Zhao Y.,Tenhaeff W.E.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Pelosi C.,Tombari E.,Wurm F.R.,Tiné M.R.Journal of Polymer Research
Mohan, Bitupan; Dutta, Pranjal P.; Saikia, Prakash J.Polymer Chemistry
Virat G.,Gowd E.B.Polymer
Hamidi N.,Ganewatta M.S.Chinese Journal of Polymer Science (English Edition)
Zhang L.Q.,Gao Y.,Huang Z.H.,Zhang W.,Zhou N.C.,Zhang Z.B.,Zhu X.L.ACS Sustainable Chemistry and Engineering
Zhou Z.,Wei W.,Li S.,Zhang Y.,Yao Q.,Ni M.,Peng H.,Zhou X.,Xie X.Macromolecules
Holzmüller, Philipp; Gardiner, Christina; Preis, Jasmin; Frey, HolgerPolymer International
Phetsuk S.,Molloy R.,Nalampang K.,Meepowpan P.,Topham P.D.,Tighe B.J.,Punyodom W.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Peng S.,Men Y.,Xie R.,Tian Y.,Yang W.Polymers
Pu J.,Bai B.,Schuman T.P.Macromolecules
Xia Y.,Di T.,Meng Z.,Zhu T.,Lei Y.,Chen S.,Li T.,Li L.Polymer Testing
Vadim V. Annenkov; Viktor A. Pal'shin; Maxim S. Sudakov; Elena N. Danilovtsev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고분자화학 1에 이어 여기서는 비비닐계 고분자 물질로서 기본이 되는 단계반응과 개환중합에 대해 설명하고, 주 물질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에 대해 합성과정과 용도에 대해 설명하고, 열경화성 수지의 대표적인 페놀, 요소, 멜라민의 합성과정에 대하여 고찰한다. 또한 천연고분자 등 기타 고분자물질에 관하여 실생활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에서는 고분자의 기본개념과 고분자 사슬의 기본적인 구조와 물성, 단일사슬의 공간 내에서의 구조, 고분자블렌드와 용액의 열역학, 통계열역학의 접근방법 등을 다룸으로써 고분자재료의 기본적인 현상학적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콜로이드와 고분자 물리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논리적이고 유기적인 물리화학적 관점을 학생에게 전달하고, 그에 기반하여 학생의 자연 및 공학적 현상에 대해서 분석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목의 주안점은 학생의 독립적 사고력 증진, 콜로이드의 상평형에 대한 이해, 응집에너지밀도에 대한 이해, 고분자 사슬의 구조와 사슬구조 형태의 보편성, 단순혼합체와 고분자용액의 열역학, 산란현상에 대한 이해, 기초 고분자 유변학, 젤, 그리고 고분자 유리상태의 현상학적 이해이다. 수강생의 독립적 사고력 함양을 위하여 적극적 토론 참여와 발표가 필요한 교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고분자 화학 및 유기합성화학을 기초로 하여 전반적인 고분자합성에 대해 강의하며, 특히 radical 중합, 이온 중합, 광 및 방사선중합과 cyclic organic compounds에 의한 고분자의 합성에 관하여 강조한다. 또한 현재 학계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biopolymers, inorganic polymers의 합성에 관하여도 강론한다.전선 / 학사
전선 / 대학원
학부에서 배운 고분자화학을 기초로 대학원에서는 한단계 높인 과정을 다룰 것이다. 특히 고분자의 합성과 반응, 열역학과 중합속도론, 물성론, 가공법과 테스트방법, 분자구조와 성질, 용도 등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강의 방식은 학생들이 분담하여 맡은 분야에 대해 발표하고, 거기에 대하여 질문, 고찰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고분자의 구조, 물성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과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라디칼 중합, 이온 중합, 배위 중합, 단계 중합, 개환 중합, 공중합 등 중합 방법, 메카니즘 및 중합 속도론에 대하여 강의한다. 최근에 개발된 중합 방법 및 고분자를 이용한 반응 등을 다룬다. 상품화된 고분자들의 제조 방법, 물성 및 용도를 소개하고, 첨단 기능소재 및 나노재료로서의 고분자에 대해 알아본다.전필 / 학사
화학분야 중 기초과목이라 할 수 있는 고분자화학에 관하여 전반적인 기초적 원리 부터 시작하여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비닐계 고분자에 대한 라디칼 및 이온중합 메카니증에 관하여 고찰한다. 또한 이것과 관련지어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고분자 제품을 중심으로 새로운 용도개발에 이르기 까지 그의 특성과 가능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최근 석유자원의 고갈과 이에 따른 원유가의 상승으로 새로운 대체소재의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다. 천연고분자는 기존의 석유화학에 기반하는 합성고분자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과거부터 이용이 되어 왔으나 일부 천연고분자의 경우 고가인 점에서 그 이용이 제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원유가 상승은 다시 이들 고분자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최근 천연고분자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전통적으로 천연고분자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는 방안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목질계 고분자는 풍부한 원료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하여 석유자원을 대체할 수 있을 무궁한 가능성을 지닌 대표적인 천연고분자이다. 최근 이러한 목질계 고분자를 원료로 기능성 및 목적성을 부여하여 섬유, 필름, 나노/마이크로 입자를 제조하여 대기, 수질, 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환경복원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목질계 고분자는 탄화 과정을 통하여 친환경/고성능의 탄소섬유 및 다공성 탄소 재료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환경복원 소재 및 에너지 소재로의 활용 또한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대표적 목질계 고분자인 리그닌과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기능성 환경복원 소재 공정에 대해서 학습하고자 한다. 이어서 목질계 고분자의 탄소 소재화 공정 및 에너지 및 환경 소재로의 응용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전선 / 학사
합성 고분자를 중심으로 부가 및 축합에 관한 화학 및 물리적 고찰, 그리고 그 형태와 구조 등에 관하여 강의하며, 특히 용해 파라미터, 고분자 용액의 열역학에 관한 자유부피이론,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polymer chains의 conformation, 고분자 용액의 상분리, 용해도에 따른 fractionation, 분자량과 크기의 측정방법, 주사전자현미경에 관한 논의, 고분자의 결정성에 관한 개념 등을 강조한다.전선 / 대학원
자연 또는 합성 고분자의 과학적 이해와 산업기술 응용에 근간이 되는 고분자 화학의 핵심 개념들이 지난 70년 동안에 많이 확립되었다. 본 강좌에서는 1930년대에 시작된 고분자 가설의 확립으로 시작하여 최근에 논란이 되는 다양한 화학 구조와 분자형태에 따른 고분자 물질의 합성-구조-물성 관계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학의 핵심 개념들을 소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에서는 고분자의 기본개념과 고분자 사슬의 기본적인 구조와 물성, 단일사슬의 공간 내에서의 구조, 고분자블렌드와 용액의 열역학, 통계열역학의 접근방법 등을 다룸으로써 고분자재료의 기본적인 현상학적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섬유를 이루는 고분자의 화학구조, 중합반응, 화학적 성질, 기능적 특성, 섬유재료로의 활용에 대하여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