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생명과학부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재료공학부
막대한 자원 및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막거나 멈추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용 억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이 강의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올바른 재료의 선택, 재료의 제조 그리고 재료의 재활용 등 재료의 생애주기를 따라가면서 어떻게 하면 최소의 자원과 에너지 소비 속에서 우리의 문명을 지속시킬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보건학과
보건통계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서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 및 평가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습득하게 한다. 본 교과목의 내용은 주로 일반통계부문에서 평균치와 산포도, 정규분포 및 그외 여러가지 성질, 카이자승분포, 포아슨분포, F분포와 그의 검정법, 추정법, 분산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법을 포함한다.에너지자원공학과
다공질 지층 내에 존재하는 유체, 즉 석유, 가스, 그리고 지하수의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암석의 물리적 성질과 암석내에서 지하유체분포 제어기능, 지하유체의 물리적 특성 및 상거동 등을 학습하며 이와 관련된 실험이 수행된다.수리과학부
생명과학을 전공할 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로서 전염병 전염모델의 연립 미분방정식과 축차근사법을 이용한 해 등 자연현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생명과학 관련 현상들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과 그 해법을 소개한다. 수학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재료역학은 자연 또는 인공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특성을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응력과 변형도, 변형과 변위, 탄성과 비탄성, 변형에너지, 하중지지능력 등의 기본개념을 소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다양한 역학 및 구조 시스템의 해석과 설계에 요구되는 전문지식 형성의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역학문제를 다루는 실험시간을 통하여 개념적인 강의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정역학(5272.211) , 목재조직학 및 실험(5242.203)
재료역학은 자연 또는 인공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특성을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응력과 변형도, 변형과 변위, 탄성과 비탄성, 변형에너지, 하중지지능력 등의 기본개념을 소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다양한 역학 및 구조 시스템의 해석과 설계에 요구되는 전문지식 형성의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역학문제를 다루는 실험시간을 통하여 개념적인 강의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Finite element analysis for composite structures
Finite element analysis for composite structures
Computational contact mechanics : geometrically exact theory for arbitrary shaped bodies
Computational contact mechanics : geometrically exact theory for arbitrary shaped bodiesEffects of connection hysteretic degradation on the seismic behavior of steel moment-resisting frames
Effects of connection hysteretic degradation on the seismic behavior of steel moment-resisting frames
Concurrent engineering : what's working where
Concurrent engineering : what's working where
Electrical engineering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Electrical engineering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Engineering fundamental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ngineering fundamental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 introduction to combustion : concepts and applications
An introduction to combustion : concepts and applications
Geotechnical engineering investigation manual
Geotechnical engineering investigation manualTransparent electronics
Transparent electronics
Fluid catalytic cracking : science and technology
Fluid catalytic cracking : science and technology
Fundamentals of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Fundamentals of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Theory and practice in engineering thermodynamics
Theory and practice in engineering thermodynamics
Metaheuristics and optimization in civil engineering
Metaheuristics and optimization in civil engineeringAssessment and design of joints for single-level bridges with circular columns
Assessment and design of joints for single-level bridges with circular columnsEngineering design for 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design for 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Tiebacks in foundatio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Tiebacks in foundatio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eismic behavior of lightly-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beam-column joint details
Seismic behavior of lightly-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beam-column joint detailsAquacultural engineering
Aquacultural engineering
Photochemical processes in continuous-flow reactors : from engineering principles to chemical applications
Photochemical processes in continuous-flow reactors : from engineering principles to chemical applications
Engineering optimization : a modern approach
Engineering optimization : a modern approachGeomechanics and Geophysics for Geo-Energy and Geo-Resources
Jianguo Zhang; Xiaochuan Wang; Zhaolong Ge; Man Wang; Wei Wang한국초전도.저온논문지
이수길, 이흥재한국기계기술학회지
이민우, 김형철, 김진구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Chen J.,Zheng Y.,Zhong X.,Yan S.,Li F.Structures
Chen, D.; Zhang, L.; Li, Z.; Xu, S.; Zhang, Y.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이한승Tumu Gongcheng Xuebao/China Civil Engineering Journal
Xiao Y.,Jiang Y.,Wang M.,Hua W.,Zhao H.,Mao J.,Wang W.Structures
Wang H.,Yao Y.,Jiang C.,Yu X.,Zhou Y.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neuroscience
Li W; Zhao G; Zhu Y; Lin X; Zhang YIFAC-PapersOnLine
Park, Taekyoon; Bae, Jaehan; Lee, Chang Jun; Lee, Jong MinEngineering Fracture Mechanics
Zhang X.,Ding J.,Zhang Y.Geomechanics and Geoengineering
Diptesh Chanda; Rajib Saha; Sumanta Haldar; Barmavath Chandrababu Nayak; E. Vijay KumarSmart Structures and Systems, An International Journal
Jung콘크리트학회 논문집
Noh, Giwan; Shin, Hyeongyeop; Ahn, Byeonguk; Kang, Thomas H.-K.환경에너지공학
김세원; 최현준; 이상준; 김영석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송희찬, 김영렬, 이동형, 송재복IEEE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Magazine,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Magazine, IEEE, IEEE Aerosp. Electron. Syst. Mag.
Archives of Computational Methods in Engineering
Shirbhate P.A.,Goel M.D.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An International Journal
Seyed Masoud Mirtaheri, Meissam Nazeryan, Mohammad Kazem Bahrani, Amin Nooralizadeh, Leila Montazerian, Mohamadhosein Naserifard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Part M: Journal of Engineering for the Maritime Environment
Kim, Jeong Du; Jang, Beom-Seon; Han, Sang Woong; Shim, Sang Hoon; Im, Sung Woo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과목은 기계공학이 전공이 아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계공학 전반에 대한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재료역학, 유체역학, 열역학, 기구학, 기계역학, 기계공작 등 기계공학에서 중심이 되는 과목들의 개요와 기본개념들이 다루어질 예정이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기계공학에서 응용되는 여러 가지 수학적 해석기법을 다룬다. 학사과정의 공학수학 1 및 2에서 학습한 방법들을 보다 정도를 높여 대학원 수준에서 기계공학에서의 실제 문제와 연관하여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고체역학, 기계설계, 생산공학으로부터 엄선된 문제를 연구한다. 또 응용역학의 최신경향과 새로운 문제, 파괴역학, 절삭이론, 구조해석에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분야의 설계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이것을 한 학기에 전부 다룰수 없으므로 학기에 따라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용을 택하여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유한요소의 기본을 간단히 복습하고, 항공우주구조물에 널리 쓰이는 얇은 판이나 쉘해석을 위한 유한요소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얇은 판이나 쉘구조물 해석 시 발생하는 잠김현상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잠김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최신 유한요소를 살펴본다. 또한, 수강생들이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1차원 bar element, 2차원 plane element, 3차원 solid element를 직접 coding하고 컴퓨터를 이용한 기본적인 구조 문제를 해석을 통하여, 유한요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얇은 구조물의 잠김현상의 확인 및 해결방안의 유효성을 경험한다.전선 / 대학원
도공기술의 고속화와 저평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각종 도공원료, 도공 설비, 계측 및 공정관리 기술을 살펴보고, 특수지 시장의 전망과 국내외 특수지 개발 방향을 토의한다.전필 / 학사
이 교과목에서는 에너지자원공학의 전공지식을 습득하는데 필요한 공학재료의 역학적 거동 해석방법을 다룬다. 수강생들은 주로 외력을 받고 있는 강체와 탄성체의 변형 및 변형률을 계산하고 이를 구조물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이론들을 학습한다. 주요 학습목표는 응력 및 변형률 계산능력 배양, 응력-변형률 관계, 재료의 축하중 및 비틀림과 휨 거동, 변형률에너지에 대한 이해이다. 강의시간에는 각 소주제에 대한 이론소개 후 관련 문제풀이를 통해 실제 문제에 대한 적용능력을 키운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대학원생들에게 필요한 소양 전반에 대해 가르치고, 체계적으로 연구에 임할 수 있도록 항공우주 연구 윤리, 연구 방법론, 신진연구인력의 연구 경험 공유 및 대학원생 상담, 우수 대학원생의 연구 소개로 구성된다. 항공우주공학 연구자로서의 책임, 의무, 사회적 나눔, 공학 기술과 사회의 선순환적 영향에 관해 체계적으로 교육할 뿐만 아니라, 우수 연구자로서의 소양을 기르기 위해 연구 설계, 접근법, 문헌 조사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강의한다. 특히, 신진연구인력의 연구 성공 및 실패 경험을 전수하여, 학생들의 연구역량을 증진한다.전선 / 학사
본 수업은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건설환경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들의 구조, 재료특성, 그리고 설계방법의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게 된다. 특수강을 포함하는 강재의 상변화 특성, 미세구조의 평형상태와 구조적인 재료특성을 시작으로 현대사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재료인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제조과정을 포함한 설계방법을 다룬다. 또한 본 수업은 재료과학학문과 융합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즉, 전통적인 뉴턴기반 역학 뿐 아니라, 확률역학 개념의 슈뢰딩거 기반 원자 구조 및 결합, 결정구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분석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분석방법은 주로 엑스레이를 이용한 방법들로 실제 건설환경공학분야에 적용을 목표로 두고 계획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구조재료 뿐 아니라 지반재료와 환경공학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들에 대한 분석 및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연결되어, 학생들에게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재료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학사
◎ 구 분: 초급 - 에너지 생산 ≪ 교수요목 ≫ 미래 청정사회 구현(차세대 스마트그리드 및 분산 전원)을 위한 환경성, 공공성, 비고갈성 특징의 신에너지원인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에 대해 기초이론, 구조, 재료, 응용 및 기술, 산업 동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 과목개요 ≫ 미래 청정사회 구현(차세대 스마트그리드 및 분산전원)을 위한 환경성, 공공성, 비고갈성 특징의 신에너지원인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에 대해 기초이론, 구조, 재료, 응용 등과 함께 신재생 에너지 및 지구온난화와 탄소배출권에 대하여 학습한다. ≪ 학습목표 ≫ 신에너지원인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에 대해 이해하고, 기초이론, 구조, 재료, 응용 등과 함께 신재생 에너지 및 지구온난화와 탄소배출권에 대하여 학습하여 향후 산업에 대한 이해력을 갖는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교량, 고속철도, 지하구조물, 터널구조물, 해양구조물 등 사회기반시설물에 가장 널리 적용되는 콘크리트구조의 기본적인 설계 이론을 다룬다. 이 교과목에서는 철근콘크리트공학 1에 이어서 철근의 부착과 정착, 처짐 및 균열 등 사용성설계, 압축부재의 설계, 슬래브 설계 등을 학습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설계의 기초를 완성하고자 한다. 이로써 재료역학과 구조역학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여 건설분야에 특화된 구조물 설계를 경험한다. 특히, 구조물 설계를 위한 법에 해당하는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익숙해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교양 / 학사
본 강좌는 단체 운동으로서의 야구의 기초를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교과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야구 지식과 관련 기술(포구, 송구, 타격, 주루, 수비 및 공격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강좌는 기초, 복합, 전술 기능을 순차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기초기능(공받기와 던지기, 타격 폼 익히기), 복합기능(타격된 공을 받고 던지기, 각 수비 위치병 기능 익히기, 실제 타격 하기), 전술기능(히트 앤드 런, 번트 앤드 런, 태그 업 플레이, 더블 플레이, 릴레이 플레이), 경기(두 팀으로 나누어 실제 야구 경기하기)전선 / 대학원
원자로안전해석 1에 이어 원자로 안전해석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수업은 현재 원자력연구소에 소속된 실무 연구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RELAP 코드를 실제로 다루어 보고 RELAP의 주요 열수력 세부 모델링에 대해 배우게 된다.전선 / 대학원
금속공예 작품제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적인 기법 중, 이 수업에서는 학사과정에서 다루기 힘든 다양한 고급, 응용 기법을 다루어본다. 특히 칠보, 금속 조각, 목공의 기초, 원석 가공을 배우고 각 기법을 적용한 간단한 샘플 작업들을 완성함으로써. 개별 주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공 기법의 지식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지역시스템공학전공 학부 졸업예정자들에게 대기·시설환경 및 에너지 공학, 농어촌 용수 ICT 융합 공학, 환경기능성소재 및 수처리 공학, 지역 수자원 공학, 지역 기반 건설 공학, 지역 환경 보전 공학, 다물리 구조 시스템 공학 분야 중 하나를 선택하여, 관련 연구실에서 연구 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연구실에서 독립적·창의적 연구에 필요한 실험기법 및 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학생들은 학사학위 논문 주제를 선택하고 담당교수의 지도 하에 실험 및 연구를 수행한다.교양 / 학사
평생 스포츠로 인기가 높아지고 골프의 특성과 효과, 기본 기능 등을 단계적으로 교수하여 실제 필드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초보자를 대상으로 그립과 스탠스에서부터 스윙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기능을 습득시킨다. 주로 간이 골프 연습장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며, 주요내용으로는 골프의 기초자세, 스윙(어드레스,백스윙,다운스윙,팔로스루)등이 포함된다. 잘못된 스윙자세 등은 개별지도를 통해 교정하여 완벽한 기본기능을 익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