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지리학과
대자연에서는 다양한 수문, 기상, 기후, 지형, 생물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자연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시공간상에서 펼쳐진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이라는 맥락에서, 지구를 기권(atmosphere), 수권(hydrosphere), 암석권(lithosphere), 생물권(biosphere)으로 나눈다. 본 교과목에서는 각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측조사와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각 영역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모아 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자연지리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환경정책의 입안과 효과적인 환경관리에까지 참여할 수 있는 지리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자유전공학부
본 과목은 주로 담당 교수와의 1:1 면담을 통하여 수강생이 장차 선택하거나 설계하고자 하는 전공과 관련된 학문적 내용과 방법, 장래의 가능성과 진로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설계전공을 하려는 학생은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지만, 기존의 전공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학생들도 이 강좌를 통해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필요시 강의 및 워크샵 등을 진행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실증적 분석을 통한 스포츠 경제, 그리고 스포츠 리그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프로 스포츠 팀의 사업과 경제, 스포츠 중계권, 선수 연봉과 같은 선수-조직 간의 문제, 대학 스포츠나 독점 금지법, 경기장 건립 재정 이슈등과 관련된 공공재정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이슈들에 대해 다룰 것이다.치의학과
본 과목은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역량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리검사를 활용한 나 자신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소그룹 주제별 토론학습을 통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특히, 성찰적 독서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참여하여 인문학적 소양을 넓히고 봉사리더십을 실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폭 넓은 토픽을 설정하고 이를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전공의 교수들이 함께 참여하여 강의와 토론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전공의 주제별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고 학문적 글쓰기에 참여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본인의 관심분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학부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의학과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 세포 및 T 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지능정보융합학과
나노미터 수준의 화학적 반응과 소재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본다. 본 교과목에서는 화학적인 패턴닝과 리소그래피, 다층 자기조립, 나노접촉 인쇄와 쓰기, 나노선 및 나노튜브, 나노결정체의 합성과 자기조립, 마이크로포러스 및 메조포러스 물질,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등을 학습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중요한 나노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이들의 다양한 창의적인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인 장치에서의 응용을 알아본다.
loading...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지능정보융합학과 / 대학원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생물 물리 화학(M3293.001300) , 바이오융합과학특강(M3293.001500)
나노미터 수준의 화학적 반응과 소재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본다. 본 교과목에서는 화학적인 패턴닝과 리소그래피, 다층 자기조립, 나노접촉 인쇄와 쓰기, 나노선 및 나노튜브, 나노결정체의 합성과 자기조립, 마이크로포러스 및 메조포러스 물질,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등을 학습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중요한 나노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이들의 다양한 창의적인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인 장치에서의 응용을 알아본다.
Electronics : a handbook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Electronics : a handbook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Springer handbook of nanotechnology
Springer handbook of nanotechnology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resin transfer mold filling process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resin transfer mold filling process
Atomic-scale friction and superlubricity : studied using high-resolution frictional force microscopy
Atomic-scale friction and superlubricity : studied using high-resolution frictional force microscopy
Atomic and nanometer-scale modification of materials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Atomic and nanometer-scale modification of materials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Formable HSLA and dual-phase steels
Formable HSLA and dual-phase steels
Cryogenic operation of silicon power devices
Cryogenic operation of silicon power devices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s and devices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s and devices
Heteroepitaxy on silicon II : symposium held April 21-23, 1987, Anaheim, California, U.S.A.
Heteroepitaxy on silicon II : symposium held April 21-23, 1987, Anaheim, California, U.S.A.
Metallurgy and heat treatment of tool steels
Metallurgy and heat treatment of tool steels
Polyurethane elastomers
Polyurethane elastomers
Mechanics of microcrack toughening in ceramics
Mechanics of microcrack toughening in ceramicsInjection electroluminescent devices
Injection electroluminescent devices
Processing and fabrication of advanced materials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 proceedings of a symposium sponsored by the Structural Materials Division (SMD), held at the TMSASM Fall Meeting in Cincinnati, Ohio, October 1991
Processing and fabrication of advanced materials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 proceedings of a symposium sponsored by the Structural Materials Division (SMD), held at the TMSASM Fall Meeting in Cincinnati, Ohio, October 1991
Electroplating
Electroplating
Nanomagnetism : ultrathin films, multilayers and nanostructures
Nanomagnetism : ultrathin films, multilayers and nanostructures
Micromachining using electrochemical discharge phenomenon fundamentals and application of spark assisted chemical engraving
Micromachining using electrochemical discharge phenomenon fundamentals and application of spark assisted chemical engraving
Microstructural characterisation of fibre-reinforced composites
Microstructural characterisation of fibre-reinforced compositesAmorphous inorganic materials and glasses
Amorphous inorganic materials and glassesNano Research
Chen X.,Yang X.,Lou Q.,Zhang Y.,Chen Y.,Lu Y.,Dong L.,Shan C.X.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Takeda, YasuhikoAdvanced Electronic Materials
Wang M.,Li W.,Wang H.,Yang K.,Hu X.,Sun K.,Lu S.,Zang Z.Nature Communications
Tian T.,Fang Y.,Wang W.,Yang M.,Tan Y.,Xu C.,Zhang S.,Chen Y.,Xu M.,Cai B.,Wu W.Q.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
Hu S.,Tang Z.,Zhang L.,Yao D.,Liu Z.,Zeng S.,Guo X.,Jiang Y.,Tang X.G.,Ma L.,Nie Z.,Gao J.Journal of Chemical Theory and Computation
Sapir L.,Harries D.Dyes and Pigments
Huang C.,Shi T.,Zhang J.,Sun Y.,Ma T.,Li W.,Li Y.,Qiu H.,Yin S.Journal of Semiconductors
Peng R.,Xu S.,Fan X.,Tao H.,Su H.,Gao Y.,Zhang J.,Hao Y.Photoacoustics
Zhao Z; Ni W; Yang C; Ran S; He B; Wu R; Lu P; Shum PP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Banejad A.,Passandideh-Fard M.,Niknam H.,Mirshojaeian Hosseini M.J.,Mousavi Shaegh S.A.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dia Section A: Physical Sciences
Pandey, Vidit; Nehla, Priyanka; Munjal, SandeepJournal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Ronde M.,Walton A.J.,Terry J.G.Nanoscale
Martínez, E.D.; Ferreira, L.H.A.R.; Carneiro Neto, A.N.; Brites, C.D.S.; Carlos, L.D.Nanoscale
Tamura M.,Iida T.,Setoura K.Materials Today
Ribet S.M.,Murthy A.A.,Roth E.W.,dos Reis R.,Dravid V.P.Nanomanufacturing and Metrology
Chang, Shunyu; Geng, Yanquan; Yan, YongdaECS Meeting Abstracts
Andrei A Kolmakov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Senaud L.L.,Antognini L.,Christmann G.,Boccard M.,Despeisse M.,Ballif C.,Paviet-Salomon B.Microscopy and Microanalysis
Tim Schubert; Fang Zhou; Renato Pero; Nicolas Randall; Timo Bernthaler; Gerhard SchneiderMRS Bulletin
Mao, Xiaoming; Kotov, Nichola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직접회로 전반에 관한 공정에 대한 과목으로서 화학적인 방법과 물리적인 방법으로 세분되어 기본원리에 의한 공정 분석 및 디자인을 다룬다. 모래로부터 시작해서 완성된 직접회로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따르나 화학증착 및 플라즈마 공정에 중점을 두며 직접회로 공정에 특유한 도핑(doping) 및 lithography도 포함된다. 공정방법에 대한 자세한 기술보다는 각 공정에서의 기본 원리를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반도체 공정 및 소자특성을 개발하고 최적화 과정을 소개한다.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면 새로운 반도체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소자 특성을 최적화 할 때 실제 웨이퍼 실험을 진행하는 것보다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반도체 산업계 현장에서 시뮬레이션에 의존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인공지능반도체 소자를 제작한 후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는 소자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식각, 증착, 이온 주입, 열 공정, 산화와 같은 다양한 공정을 시뮬레이션 해주는 툴을 이용하여 소자를 제작한 후, 소자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직접 제작한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예측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시뮬레이터 작업에서 사용하는 Tcl 언어에 대해서 학습한다. 반도체 소자의 아날로그 부분과 디지털 부분의 동작을 통합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하는데 도움이 되는 Mixed mode simulation을 수행하는 예제 및 SPICE 모델 추출하는 예제등을 학습한다. 최종적으로 시뮬레이션 틀을 이용하여 학생 개인별로 선택한 소자를 직접 제작하고 그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전선 / 대학원
생물소재는 오랫동안 사용된 전통소재이나 최근 환경 및 안전성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생물소재의 연구 및 개발에 있어서 소재 특성의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이 강의는고분자로 구성된 생물소재의 다양한 물리 및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 방법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생물소재를 분석하기 위한 기본적인 시험 방법, 결과 해석, 기계물성 시험 등의 원리를 학습하고 직접 다양한 시험을 실시하여 바이오소재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의 연구역량을 배양한다.전선 / 대학원
최근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의 융합 분야가 미래 핵심 기술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바이오 분야에 있어서의 나노 입자의 응용, 탐침을 이용한 단백질 단분자의 분자내 및 분자간 인력 측정, 유전자의 자기배열을 이용한 나노 구조화 등 나노바이오 기술에 있어서의 최신 연구 및 기술을 표면 성질의 계측과 분석의 측면에서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반도체, MEMS와 같은 다양한 미세소자에서의 결정입 특성, 집합조직, 기계적 성질, 신뢰성 등의 문제에 대해 반도체회로(ULSI)에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과 구리 배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전선 / 학사
전선 / 대학원
국내의 학술기관 및 산업체에서 물리야금관련 유명인사를 초빙하여 세미나를 개최하고, 참여학생들과의 토론시간을 마련하여, 최근 학계 및 산업계에서 수행되는 연구과제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전필 / 학사
기능성바이오소재는 일반 바이오소재에 기능성을 부여하여 특정 목적에 적합한 기능과 성능을 갖도록 설계된 소재이다. 본 강의에서는 용도별 특성과 요구되는 성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능성 바이오소재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생체재료, 금속생체재료, 바이오세라믹스,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 조직공학 및 약물전달용 고분자 나노의약품, 봉합사, 인공피부, 바이오센서, 인공혈관, 의료용 접착제 등이다.전필 / 학사
기계공학 관련된 기본 실험을 취급한다. 유량, 유속의 측정, 압력 측정, 고체의 열전도 재료의 인장시험, 압축시험, 경도시험, 진동수, 회전속도의 측정, 기어시험, 스프링시험 등의 실험을 실시하고 지료의 처리, 보고서 작성 방법등을 교수하고 실험을 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