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의 목표는 스포츠와 관련된 법적 이슈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법적 권리와 스포츠 팬, 에이전트, 코치, 의사, 기자 등의 책임에 대해 익숙해 질 것이며, 스포츠 법의 맥락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의뢰인의 권리와 책임에 대하여 조언하고 불법행위, 계약, 민사, 헌법, 자산 등과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할 때, 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산림과학부
농생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으로서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또는 환경재료과학전공을 선택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 산림환경학과 환경재료과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만든 과목이며, 동시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여 대학생활에 대한 학문적인 길잡이 노릇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또한 앞으로 4년간 배우게 될 학과목의 개요를 접하며, 아울러 각 과목의 담당교수들로부터 직접 설명을 들을 기회를 가짐으로서, 앞으로 전공과목을 선택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과목이다.치의학과
이 교과목은 학사과정의 세 가지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인성, 지성, 심성 중에서 인성을 주요 목표로 하는 첫 번째 과정이다. 치과의사는 궁극적으로 인간을 만나는 직업이기 때문에 역량 있는 치과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인간 존재와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인간 존재와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독서와 토론을 포함한 다양한 탐구를 팀기반으로 진행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인간이해에 대한 각성과 깨달음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하여 산출물로 표현해 낸다. 이 수업의 주안점은 변화무쌍하고 불확실한 인간 존재와 삶의 속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며, 이러한 질문을 통해 인간 삶의 불확실성과 변화를 개방적으로 수용하고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포스트 지놈 시대 (post-genomic era) 에서의 생명과학은 대개의 질병을 토대로한 분자생물학적 연구방식에 있어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생물학적 과정(biological process)을 상호 분리되어있는 개개의 부분이 아닌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의 구동원리를 시스템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이 출현하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연구방식은 향후 생물학 전반에 걸쳐 주요연구방식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에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 에 의한 복잡한 생물학적 이해는 체개적이고도 다양한 학문 융합 (의학, 생물학, 화학, 컴퓨터학, 통계학 그리고 우주과학 등) 을 바탕으로한 연구환경이 필수요건이며, 이제는 이러한 학문간의 벽을넘어선 새로운 생명의학지식 창출이 도래하고있으며 이미 미주류대학 들과 (Harvard, MIT, Stanford, Washington 등) 주요 제약사 (Merck, Illy Lily, Wyatt 등) 들은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에의한 새로운 과를 신설 생명과학 연구를 추 진하는 추세다. 또한,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 에 의한 복잡한 생물학적 이해는 Translational Research 에 주요근간이되며, 더나아가 기초과학지식과 임상지식과의 지식상호이해와 전달을 통해서 불필요한 환자치료방식을 피하고 맞춤식의학 (tailor medicine or individualized medicine)이 가능하다고보여지며, 이러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상호공동으로 바탕으로한 연구는 실제적인 지식창출(knowledge-based) 에의 한 신약개발 (therapeutic target discovery)이 가속될 수 있다. 이에 향 후 생명과학자는 학문상호체계 학문(Interdisciplinary science)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지극히 필요하다고 보겠다. 이러한 현추세를 바탕으로 강의에서는 주요질병 (특히, 암)과 관계된 중요한 분자생 물학적 측면에서의 의문과 이해를 신호기전 (signaling transduction cascade), 유전체 (genomics) 그리고 프로티오믹 (proteomics) 를 이용 토의진행 하고자한다.
loading...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 대학원
2024-1학기
포스트 지놈 시대 (post-genomic era) 에서의 생명과학은 대개의 질병을 토대로한 분자생물학적 연구방식에 있어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생물학적 과정(biological process)을 상호 분리되어있는 개개의 부분이 아닌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의 구동원리를 시스템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이 출현하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연구방식은 향후 생물학 전반에 걸쳐 주요연구방식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에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 에 의한 복잡한 생물학적 이해는 체개적이고도 다양한 학문 융합 (의학, 생물학, 화학, 컴퓨터학, 통계학 그리고 우주과학 등) 을 바탕으로한 연구환경이 필수요건이며, 이제는 이러한 학문간의 벽을넘어선 새로운 생명의학지식 창출이
도래하고있으며 이미 미주류대학 들과 (Harvard, MIT, Stanford, Washington 등) 주요 제약사 (Merck, Illy Lily, Wyatt 등) 들은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에의한 새로운 과를 신설 생명과학 연구를 추
진하는 추세다. 또한,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 에 의한 복잡한 생물학적 이해는 Translational Research 에 주요근간이되며, 더나아가 기초과학지식과 임상지식과의 지식상호이해와 전달을 통해서 불필요한 환자치료방식을 피하고 맞춤식의학 (tailor medicine or individualized medicine)이 가능하다고보여지며, 이러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상호공동으로 바탕으로한 연구는 실제적인 지식창출(knowledge-based) 에의 한 신약개발 (therapeutic target discovery)이 가속될 수 있다. 이에 향
후 생명과학자는 학문상호체계 학문(Interdisciplinary science)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지극히 필요하다고 보겠다. 이러한 현추세를 바탕으로 강의에서는 주요질병 (특히, 암)과 관계된 중요한 분자생
물학적 측면에서의 의문과 이해를 신호기전 (signaling transduction cascade), 유전체 (genomics) 그리고 프로티오믹 (proteomics) 를 이용 토의진행 하고자한다.
Computational and statistical epigenomics
Computational and statistical epigenomics
Analyzing network data in biology and medicine : an interdisciplinary textbook for biological, medical and computational scientists
Analyzing network data in biology and medicine : an interdisciplinary textbook for biological, medical and computational scientistsThe dictionary of gene technology : genomics, transcriptomics, proteomics
The dictionary of gene technology : genomics, transcriptomics, proteomics
Evolutionary computation for modeling and optimization
Evolutionary computation for modeling and optimization
Bioinformatics : a practical guide to the analysis of genes and proteins
Bioinformatics : a practical guide to the analysis of genes and proteins
Bioinformatics : a biologist's guide to biocomputing and the internet
Bioinformatics : a biologist's guide to biocomputing and the internet
Recombination variability and evolution : algorithms of estimation and population-genetic models
Recombination variability and evolution : algorithms of estimation and population-genetic modelsA bioinformatics guide for molecular biologists
A bioinformatics guide for molecular biologist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myelin diseases II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myelin diseases II
Nutrition, genetics, and heart disease
Nutrition, genetics, and heart disease
The spirit in the gene : humanity's proud illusion and the laws of nature
The spirit in the gene : humanity's proud illusion and the laws of nature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understanding cytomegalovirus disease :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ytomegalovirus Workshop :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understanding CMV disease, Paris, France, 19-21 April 1993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understanding cytomegalovirus disease :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ytomegalovirus Workshop :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understanding CMV disease, Paris, France, 19-21 April 1993
Structural bioinformatics
Structural bioinformatic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Medical Physics
Kim, Youngwoo; Hong, Byung Woo; Kim, Seung Ja; Kim, Jong HyoBiometrics
Zhao K.,Oualkacha K.,Lakhal-Chaieb L.,Labbe A.,Klein K.,Ciampi A.,Hudson M.,Colmegna I.,Pastinen T.,Zhang T.,Daley D.,Greenwood C.M.T.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Fujimoto, Ayataka; Auvin, Stephane; Bissler, John J.; Cottin, Vincent; Hofbauer, Guenther F. L.; Jansen, Anna C.; Jozwiak, Sergiusz; Kerecuk, Larissa; Kingswood, J. Christopher; Moavero, Romina; Torra, Roser; Villanueva, VicenteNucleic Acids Research
Jia P.,Dai Y.,Hu R.,Pei G.,Manuel A.M.,Zhao Z.Omics : a journal of integrative biology
Rajoria S; Kavuru SR; Pyda HS; Bihani S; Borishetty D; Biswas D; Prajapati J; Paladi H; Srivastava S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 AJHP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Ryley Uber; Eric WrightFunctional Ecology
Marin P.,Genitoni J.,Barloy D.,Maury S.,Gibert P.,Ghalambor C.K.,Vieira C.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Zhang Y.,Chen M.,Liu C.,Chen J.,Luo X.,Xue Y.,Liang Q.,Zhou L.,Tao Y.,Li M.,Wang D.,Zhou J.,Wang J.Journal of chemical information and modeling
Zhang R; Xie X; Ni D; Wang H; Li J; Xiao W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 AJHP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Uber R; Wright E한국현미경학회지
Kim HanThe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Aktürk T; Çeliker G; Saçmacı HGENETICS
Davis, Paul; Zarowiecki, Magdalena; Arnaboldi, Valerio; Becerra, Andres; Cain, Scott; Chan, Juancarlos; Chen, Wen J.; Cho, Jaehyoung; Beltrame, Eduardo da Veiga; Diamantakis, Stavros; Gao, Sibyl; Grigoriadis, Dionysis; Grove, Christian A.; Harris, Todd W.; Kishore, Ranjana; Le, Tuan; Lee, Raymond Y. N.; Luypaert, Manuel; Muller, Hans-Michael; Nakamura, Cecilia; Nuin, Paulo; Paulini, Michael; Quinton-Tulloch, Mark; Raciti, Daniela; Rodgers, Faye H.; Russell, Matthew; Schindelman, Gary; Singh, Archana; Stickland, Tim; Van Auken, Kimberly; Wang, Qinghua; Williams, Gary; Wright, Adam J.; Yook, Karen; Berriman, Matt; Howe, Kevin L.; Schedl, Tim; Stein, Lincoln; Sternberg, Paul W.Nature Genetics
Zhang H.,Zhan J.,Jin J.,Zhang J.,Lu W.,Zhao R.,Ahearn T.U.,Yu Z.,O’Connell J.,Jiang Y.,Chen T.,Okuhara D.,Aslibekyan S.,Auton A.,Babalola E.,Bell R.K.,Bielenberg J.,Bryc K.,Bullis E.,Coker D.,Partida G.C.,Dhamija D.,Das S.,Elson S.L.,Eriksson N.,Filshtein T.,Fitch A.,Fletez-Brant K.,Fontanillas P.,Freyman W.,Granka J.M.,Heilbron K.,Hernandez A.,Hicks B.,Hinds D.A.,Jewett E.M.,Kukar K.,Kwong A.,Lin K.H.,Llamas B.A.,Lowe M.,McCreight J.C.,McIntyre M.H.,Micheletti S.J.,Moreno M.E.,Nandakumar P.,Nguyen D.T.,Noblin E.S.,Petrakovitz A.A.,Poznik G.D.,Reynoso A.,Schumacher M.,Shastri A.J.,Shelton J.F.,Shi J.,Shringarpure S.,Su Q.J.,Tat S.A.,Tchakouté C.T.,Tran V.,Tung J.Y.,Wang X.,Wang W.,Weldon C.H.,Wilton P.,Wong C.D.,Garcia-Closas M.,Lin X.,Koelsch B.L.,Chatterjee N.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Mahdi Maghsoudi Mehrabani, Ali Asghar Jafari, Mohammad AzadiJournal of neuroimmunology
Marcucci SB; Obeidat AZEpilepsia
Delanty N.,White M.,Benson K.,McCormack M.,Heavin S.,Comerford E.,Gangadharan N.,Power K.,Dunleavey B.,El-Naggar H.,Doherty C.,Greally M.,Cavalleri G.,Fitzsimons M.Journal of Huntington's Disease
DiFiglia, Marian; Leavitt, Blair; Macdonald, Douglas; Thompson, LeslieMethods in Ecology and Evolution
Smith S.A.,Walker J.F.International Journal of Legal Medicine
Anaya Y.,Yew P.,Roberts K.A.,Hardy W.R.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과정은 뇌신경질환에서 신약개발을 위한 신경과학에서 중요한 기초 및 필수 개념, 관련 기술을 학습하기 위해 다학제간 배경을 가진 대학원생을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본 강의는 신경계에서 제일 중요한 유전자중 하나인 이온통로의 작동 원리와 종류 및 관련 병증을 이해합니다. 그리고 최신 트렌드의 시스템신경과학과 주요한 신경질환의 강의를 통해 신약 개발을 위한 신경질환 동향을 강의합니다.전선 / 대학원
법의유전학의 새로운 분야인 forensic DNA phenotyping은 신원을 알 수 없는 사람에 대한 특징을 추정하여 수사에 단서를 제공하는 DNA 분석방법이다. 본 강좌에서는 민족 추정, 외형 추정, 연령 추정에 사용되는 유전자 분석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실제 적용 예에 대하여 고찰하고 토론한다. 학생들은 이 강좌를 통하여 forensic DNA phenotyping의 과정 뿐만 아니라, 제한점과 추정 모델 구축을 위한 통계 분석 방법 등에 대하여 배운다.전선 / 대학원
작물디지털육종학에 대한 연구 동향을 숙지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학술지에 발표된 관련 전문학술논문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심층적 토의를 한다. 작물디지털육종학의 세계적인 발전 주제를 정밀 분석하고 이들 발전의 뒷받침이 되는 학술적 및 기술적 진보를 추적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유전자의 구조, 발현 및 조절에 대한 최신 이론 ; 혁신적인 유전적 변이의 창성 방법; 식물과 병원성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및 생명공학적 기법의 육종적 활용 등을 강의한다. 추가로 표현형 정보, 환경 정보 등 다양한 바이오 데이터를 활용하는 머신러닝과 AI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작물의 형질 발현을 예측하는 기술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기능유전체학은 현재 임상 및 의료 분야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분야임. 특별히 기능유전체학은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 등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한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중요한 유전자, 단백질, 대사물질을 스크리닝하고 검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따라서 기능유전체학은 방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는 생명정보학 (bioinformatics) 분야의 이해가 필요함. 본 교과수업에서는 기능유전체학 내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법과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는 생명정보학 기법을 동시에 이해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