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의학과
신경근육질환은 척수, 척수뿌리, 뇌신경, 말초신경, 근신경접합부와 근육의 장애로 발생하는 질환들이다. 이 과목에서는 이 분야 질환들의 최신 지견에 대한 강의와 토론, 논문리뷰를 통하여 이 질환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임상연구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한다.화학생물공학부
화학공학에 관련된 최근의 학술연구에 대한 동향이나 산업계의 현황을 습득하게 하는데에 주목적을 둔다. 그러므로 관련 분야의 전문가의 초빙 강연을 통하여 새로운 공학적 기술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연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 자신의 연구 내용을 발표하게하여 연구 방향을 체계화 시키고,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질의 응답을 통하여 타인의 연구내용을 토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국어국문학과
고대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문학 작품으로의 이해와 해석의 방법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어법, 운율, 표현 방법 등에 유의하여 고전 시가 작품을 강독하면서 작품을 읽고 작품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동양화과
이 강의는 인도로부터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흔히 ‘동양’이라고 부르는 지역의 미술의 큰 틀 안에서 한국 미술의 조형적 특성을 조명한다. 수업은 지역별, 시대별로 진행되는 통사적인 미술사 강의 방식과 차별화하여 주제별로 미술의 전개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미”적 개념, 미술의 기능, 공간, 기법, 양식의 개념, 주제의 상징성 등 전통 동양 미학과 미술의 특성에 대해 검토해보고, 이러한 전통이 어떻게 현대에까지 이어지는 데에 대한 논의로 이어간다. 또한 건축, 회화, 조각, 공예 등으로 분류되는 여러 장르의 고유한 언어에 대해 익히고 미술이 제작된 시대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적 현상으로서 미술을 이해한다.
loading...
미술대학 동양화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디자인기초1(M1774.003600)
이 강의는 인도로부터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흔히 ‘동양’이라고 부르는 지역의 미술의 큰 틀 안에서 한국 미술의 조형적 특성을 조명한다. 수업은 지역별, 시대별로 진행되는 통사적인 미술사 강의 방식과 차별화하여 주제별로 미술의 전개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미”적 개념, 미술의 기능, 공간, 기법, 양식의 개념, 주제의 상징성 등 전통 동양 미학과 미술의 특성에 대해 검토해보고, 이러한 전통이 어떻게 현대에까지 이어지는 데에 대한 논의로 이어간다. 또한 건축, 회화, 조각, 공예 등으로 분류되는 여러 장르의 고유한 언어에 대해 익히고 미술이 제작된 시대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적 현상으로서 미술을 이해한다.
Painting in the Musée d'Orsay
Painting in the Musée d'Orsay
Cindy Sherman, 1975-1993
Cindy Sherman, 1975-1993
Enemies of the cross : suffering, truth, and mysticism in the early Reformation
Enemies of the cross : suffering, truth, and mysticism in the early Reformation
Borrowed time
Borrowed time
Hall of mirrors : Roy Lichtenstein and the face of painting in the 1960s
Hall of mirrors : Roy Lichtenstein and the face of painting in the 1960s
美のワンダーランド : 十五人の京絵師 = Magnificent fifteen : painters of eighteenth century Kyoto
美のワンダーランド : 十五人の京絵師 = Magnificent fifteen : painters of eighteenth century Kyoto
Immanent vitalities : meaning and materiality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mmanent vitalities : meaning and materiality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irrelevance and relevance of the Christian message
The irrelevance and relevance of the Christian message
中國畫論硏究
中國畫論硏究
Popular music and television in Britain
Popular music and television in Britain
Les origines de la renaissance
Les origines de la renaissance
Styles in painting, a comparative study
Styles in painting, a comparative study
Ed Moses : a retrospective of the paintings and drawings, 1951-1996
Ed Moses : a retrospective of the paintings and drawings, 1951-1996
E. H. Gombrich on fresco painting
E. H. Gombrich on fresco painting
Renaissance weddings and the antique : Italian domestic paintings from the Lanckoronski Collection
Renaissance weddings and the antique : Italian domestic paintings from the Lanckoronski Collection
Le hasard et les règles : le modèle du jeu dans la pensée de Pascal
Le hasard et les règles : le modèle du jeu dans la pensée de PascalPhilosophie als Zeitdiagnose : Ansätze der deutschen Gegenwartsphilosophie
Philosophie als Zeitdiagnose : Ansätze der deutschen Gegenwartsphilosophie
Apollinaire, poet among the painters
Apollinaire, poet among the painters
Concerto in la minore per flauto, 2 violini e basso continuo,
Concerto in la minore per flauto, 2 violini e basso continuo,
The Truth Is Always Grey A History of Modernist Painting
The Truth Is Always Grey A History of Modernist Paintingpsychologie clinique
David Frank Allen; Seloua El-KhattabiGestion & Finances Publiques
Benjamin LemoineMouvements
Rabier, ChristelleRevista de Estudios de Genero y Sexualidades = Journal of Gender and Sexuality Studies
Carballo, Alejandra KarinaRomantisme
Desbuissons, FrédériqueJournal of Modern Italian Studies
Federico Pacchioni괴테연구
이시내Topique
Prado de Oliveira, Luiz Eduardo; Schmitt, HélèneSouth Asian Popular Culture
Cardullo R.J.外国语文 / Journal of Sichuan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王丰裕; WANG Fengyu스페인어문학
곽재용Transversalités
Holzer, Vincent프랑스 문화 연구
박동혁Hispanic Review
Hidalgo, José ManuelNeophilologus: An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and Medieval Language and Literature
Zulaica López, MartínRevue des études slaves
Tchentsova, VeraRenaissance Quarterly
Philippe BaillargeonArs Judaica The Bar Ilan Journal of Jewish Art
Wasserfuhr, Hannah-LeaFuturibles
Parant, AlainEuropean Physical Journal Plus
Salvador, Cátia; Sandu, Irina Crina Anca; Sandbakken, Erika; Candeias, António; Caldeira, A. Teres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수업은 196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발전한 미술 운동 특히 “회화와 재현의 영역” 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의 내용과 쟁점들을 살펴보고 한다. 1960년대 후반 이후 미술은 포스트 모던이라는 용어를 둘러싼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모더니즘의 역사적 획일성과 절대성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다양성에 기반을 둔 탈형식과 의미의 분산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수업은 이러한 다양성에 기반을 둔 미술의 연구를 통하여 포스트 모던시대의 미술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이러한 이해를 비판적으로 해석.재고해 보고자 한다. 수업에서 논의될 주요한 쟁점들은 “회화의 재정비,” “매체의 재구성,” “도용과 해석,” “여성주의. 젠더. 미술” “미술과 역사” “세계화 시대의 미술” 등을 포함하고 있다.전선 / 대학원
ㄸ본 교과목에서는 프랑스 19세기 후반 문학사의 큰 흐름을 이루고 있는 프랑스 상징주의 에 대해 연구한다. 주로 음악성이 뛰어난 작품을 쓴 베를렌느, 상징주의 선구자로 여겨지는 보들레르의 세계의 양 극단을 보여주는 랭보와 말라르메의 작품과 사상을 살펴볼 것이다.전선 / 학사
전선 / 대학원
신고전주의와 후기인상주의 시기에 중심이 되는, 비평적인 주된 이슈들로 발생된 이론적인 문제들을 이해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프랑스고전주의연구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이루는 과목이다. 프랑스고전주의연구가 고전주의 미학의 관점에서 17세기 문학을 고찰하는 반면 본 교과목은 17세기의 대표적인 작가를 중심으로 17세기 문학을 정리하는 교과목이다. 꼬르네이유를 비롯하여 라신느, 몰리에르 등의 작품세계를 살펴보고 고전주의 시대를 산 이 작가들의 작품이 각기 어떻게 다른 특징들을 보여주는지를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포, 호손, 멜빌, 트웨인, 제임스, 크레인 등 19세기 미국 작가의 대표적 작품들을 읽고 분석함으로써 19세기 미국소설의 특성과 전통을 이해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17, 18세기 유럽 미술의 흐름을 다룬다. 르네상스 미술 전통을 바탕에 둔 이 시기의 시각 예술은 사회 변화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전개되었다. 가톨릭개혁, 절대왕정, 도시화,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 계몽주의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이 시기에 미술과 사회 사이의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양상을 개별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근세 유럽의 시각 문화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높이는 것이 이 강의의 목적이다.전선 / 학사
서예와 전각 1의 심화 학습과정으로서, 창작을 통해 서예와 전각을 현대 미술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서예와 전각 2에서는 전서와 예서, 해서, 행서, 초서에 이르는 서체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고, 다양한 서체에 따른 운필의 수련을 통해 서예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아울러 한글 서체의 양식적 특성과 현대적 조형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실험도 겸한다. 전각에 있어서도 시대별 양식과 작가별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고 양각과 음각 등의 다양한 조형형식에 따른 창의적 표현기법을 모색한다.전선 / 학사
재즈의 역사를 비롯하여 음계, 화성체계 및 특수한 주법 등을 체계적으로 파악한다. 또한 재즈의 대표적인 작품과 연주가에 대한 정보를 정리함으로써 올바른 감상의 단계는 물론, 주요 이디엄과 주법들을 실제 창작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전선 / 학사
이 수업은 미술사 연구의 역사적 전개와 현대 미술사학의 이론적 시각 및 방법론적 접근을 살펴본다. 형식주의, 양식 분석, 도상과 도상학, 사회문화적 해석, 구조주의와 기호학, 후기구조주의, 정신분석 등 다양한 접근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미술사 연구에 있어 이론적 정위와 방법론적 인식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한다. 이를 통해 실제적인 미술사 연구를 수행하게 될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바탕을 길러주는 데 이 수업의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한국조각의 흐름과 변천을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해하고 불상에 관한 역사기록, 명문 등을 찾아서 그 불상의 명칭, 연대, 비교유물, 제작자, 불교사상, 경전 및 신앙의 성격, 역사 및 미술사적 중요성을 고찰한다.전선 / 학사
디자인 프로덕션용 사진 수업으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다양한 기법에 대해 실습해보고, 포토샵을 이용한 후보정 및 합성기능 등을 통해 아이디어를 이미지로 표현해 본다.전선 / 대학원
르네상스 미술이 특히 발달했던 지역은 이탈리아, 플랑드르, 독일 등이다. 한편 각 지역안에서 여러 도시들에서 미술가들의 활동이 있어왔다. 이 과목은 각 학기마다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혹은 작가나 특수 주제를 선택해 심층적인 접근을 한다. 그러므로 이 과목의 운영은 주제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밖에 없으나 상당한 분량의 문헌 조사와 읽기, 주요 논문들의 분석과 비판적 접근을 기본으로 한다. 그 후 학생들은 각자 선택한 주제에 따라 논문을 쓰고 발표를 하는 방법으로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본교과목은 <중국미학사 연구1> 강좌를 통해 확인된 중국미학사의 근본적 문제에 대해 보다 심화된 논의를 전개하고 확충된 연구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