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
loading...
음악대학 작곡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프랑스어 딕션 2(M1795.000400)
단계적 학습을 통해 높은 수준의 독보력 및 청음 기보력, 더 나아가 음악적 인지력을 계발한다.
Chuang-tzu : the Tao of Perfect Happiness : selections annotated & explained
Chuang-tzu : the Tao of Perfect Happiness : selections annotated & explained
중국 청도 조선족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중국 청도 조선족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Der freie Wille : die Evolution einer Illusion
Der freie Wille : die Evolution einer Illusion
The book of joy : lasting happiness in a changing world
The book of joy : lasting happiness in a changing world
성악인을 위한 이태리어딕션
성악인을 위한 이태리어딕션
나의 가치
나의 가치
The history of emotions : an introduction
The history of emotions : an introduction
Phenomena : the secret history of the U.S. government's investigations into extrasensory perception and psychokinesis
Phenomena : the secret history of the U.S. government's investigations into extrasensory perception and psychokinesis
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 american art from the yale university art gallery
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 american art from the yale university art gallery
Engaging with linguistic diversity : a study of educational inclusion in an Irish primary school
Engaging with linguistic diversity : a study of educational inclusion in an Irish primary schoolA practical parent's handbook on teaching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practical parent's handbook on teaching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마라톤은 철학이다
마라톤은 철학이다
Home + bound : narratives of domesticity in Singapore and beyond
Home + bound : narratives of domesticity in Singapore and beyond日本文字史の研究
日本文字史の研究
Fundamentals of language
Fundamentals of language
Ways of listening : an ecological approach to the perception of musical meaning
Ways of listening : an ecological approach to the perception of musical meaning
The art of describing : Dutch art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art of describing : Dutch art in the seventeenth century
라스트 데이즈
라스트 데이즈
괴짜심리학 : 생각의 오류를 파헤치는 심리학의 유쾌한 반란
괴짜심리학 : 생각의 오류를 파헤치는 심리학의 유쾌한 반란
Literacy and script reform in occupation Japan : reading between the lines
Literacy and script reform in occupation Japan : reading between the lines
Music for sight singing
Music for sight singing
(음악이 들리는) 시창청음 =
(음악이 들리는) 시창청음 =
Developing musicianship through aural skills : a holisitic approach to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Developing musicianship through aural skills : a holisitic approach to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시창연습 : 반주부
시창연습 : 반주부
Music for sight singing
Music for sight singing
(음악이 들리는) 시창청음
(음악이 들리는) 시창청음
Developing musicianship through aural skills : a holisitic approach to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Developing musicianship through aural skills : a holisitic approach to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Developing musicianship through aural skills : a holistic approach to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Developing musicianship through aural skills : a holistic approach to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Modus novus : Lärobok i fritonal melodiläsning = Lehrbuch in freitonaler Melodielesung = Studies in reading atonal melodies.
Modus novus : Lärobok i fritonal melodiläsning = Lehrbuch in freitonaler Melodielesung = Studies in reading atonal melodies.
Music for sight singing
Music for sight singing
리듬시창
리듬시창
Manual for ear training and sight singing
Manual for ear training and sight singing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Liu S.泉州师范学院学报 / Journal of Quanzhou Normal University
陈艺华; 林永乐; 梁世钟; 袁诗懿; CHEN Yihua; LIN Yongle; LIANG Shizhong; YUAN Shiyi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Zhang, L.; Liu, X.; Huang, Z.; Shi, D.; Qi, X.Musicae Scientiae
Hiemstra, A.; Sadakata, M.Sign Language Studies
Kristin Snoddon; Joanne Weber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Hyeyoung Choi; Sang Min Lee; Jihye Gil; Jung-Hwa Kim; Hee-Soung Park; Young-Ai SeoMovement & Sport Sciences - Science & Motricité
Ivan Raça; Fabrice Dosseville; Olivier SIROSTMusic Education Research
Ashley M.Filosofia Theoretica
Onah A.U.中国特殊教育 / Chines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彭甜甜; 向燕辉; 周丽; 杨福义; PENG Tiantian; XIANG Yanhui; ZHOU Li; YANG Fuyi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Han-Shik MoonThe lancet. Psychiatry
Leichsenring F; Abbass A; Fonagy P; Levy KN; Lilliengren P; Luyten P; Midgley N; Milrod B; Steinert C영어학연구
윤희철한국언어문화
이승철FRONTIERS IN PSYCHOLOGY
Meir, Natalia; Janssen, BibiBRAIN INJURY
Stellpflug, Samuel J.; LeFevere, Robert C.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Tanya FrancesBilingual Research Journal
Marial Quezada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Meripa T. Godinet; Rachel Burrage; Laurens G. Van Sluytman; Julia Taiapa; Halaevalu Ofahengaue VakalahiSouthern Review
Rafferty, Charle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영국 가곡과 미국 가곡을 노래하는데 필요한 자음과 모음에 관한 이론을 공부하며 그 이론을 적용하여 실제로 곡을 다루며 개개인의 발음을 교정해 나간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최소한 2-3학기 동안 독일어를 배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독일어 대화의 다양한 유형을 익히게 함으로써 말하기와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목이다. 언어적 표현능력과 듣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수업교재들이 활용된다. 학생들은 그룹별 토론과 회화에 참여하게 된다(※ <독일어집중회화 1>에 이어지는 연계 강좌임).논문 / 대학원
전선 / 대학원
가창 및 합창 수업에 의하여 심미적 음악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단순히 기술의 훈련에 그치지 않고 가창 및 합창교육을 통한 개념 학습 및 포괄적 음악성의 함양을 강조하며, 가창 및 합창 지도를 통한 음악적 성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법을 연구한다.교양 / 학사
베트남어는 베트남에서 가장 넓게 사용되는 언어로서 특히 베트남 사회의 제반문제를 연구하기 위한 필수언어이다. 본 강좌는 베트남어를 문법적으로 훈련하기 위한 1년 초급과정의 전반부로서 문자의 습득은 물론 베트남어의 문법규칙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기본적인 어휘와 간단한 문장을 익히고, 교재에 나타난 초급수준의 베트남어 일상회화 훈련도 병행한다.전필 /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량을 공개 연주회를 통하여 발표하고 평가를 받는다.전선 / 학사
본 강의는 발달심리학을 기초로 해서 이 분야가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리고 우리 사회의 문제를 발달심리학으로 접근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기초 연구들의 결과들에 근거해서 실제 아동 교육, 아동 방송 제작, 아동 제품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알아보겠다. 또 이런 기초 연구들이 아동과 청소년의 학교폭력이나 병리의 예방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고자 한다. 이미 이루어진 예방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그 이론과 그 제작 과정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강의는 실험실 안에서만 이루어진 발달심리학이 아니라 실제 실생활 안에서의 심리학으로 이끌어 학생들로 하여금 생동감 있고 창의적인 심리학적 사고를 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교양 / 학사
<고전 그리스어 1>의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보다 진전된 그리스어 과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크세노폰과 초기 플라톤의 저술, 그리고 헤로도토스와 성서의 문장들을 접하고 학습함으로서 보다 확고한 그리스어 해독능력을 배양시키고 그리스문화의 제 영역에 직접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과정의 목표이다.전선 / 학사
메이지시대 이후의 일본어 원사료, 학술문헌을 한국어로 옮기는 훈련과정을 통해 일본전공자에게 요구되는 전문적 기능(소양)을 함양한다. 수업은 일본어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표현하는 훈련을 토론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 수업을 통해 고도의 언어 운용능력 외에 복안적 사고의 체득을 기대한다. 최종 학업평가는 번역 결과물의 완성도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전선 / 학사
발레에 대한 반발로 생긴 현대무용은 형식의 정형화에서 탈피해 자유로운 표현이 주가 되는 움직임이다. 이 수업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자기의 내적감정을 동작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표현할 줄 아는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좋은 현대무용 공연을 보면서 현재의 무용이 어떻게 발전되고 있는가를 파악한다.전선 / 대학원
사회심리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행복에 관한 연구들을 개관한다. 행복의 개념, 행복의 원인, 행복의 혜택, 국가간 행복의 차이 등에 관한 고전적 연구 및 최근의 연구들을 리뷰한다.교직 / 학사
본 강좌는 교사가 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하는 것 이외에 지역 사회의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전인적 인격을 지닌 교육실천가로서 공동체 의식을 갖고 교사로서의 사명감과 인간애를 구현하도록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이 강좌는 기본 교육, 교육봉사활동, 평가회로 구성되며, 교육봉사활동으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보조교사, 부진아 학생지도 방과후교사, 초등돌봄교실 및 자유학기제 관련활동, 다문화학생 지도, 학생 생활지도 관련 활동, 재능기부 등을 교육적인 방법으로 실시한다.전선 / 대학원
소리는 진동하는 물체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또는 물과 같은 다른 매질) 분자의 일련의 떨림일 뿐이지만, 인간의 청각 시스템은 이로부터 함축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를 추출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매우 높은 수준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음악을 통해 감정적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음성 또는 음악 신호와 그에 의해 전달되는 추상적 의미 사이에는 매우 큰 의미적 차이(semantic gap)가 존재하고,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러한 갭을 좁히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소리의 발생부터, 전달, 그리고 사람이 청각기관을 통해 소리를 지각, 인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청각지각/인지 과정을 모델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학교폭력, 소외, 행동문제, 학습문제 등 학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심리문제들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장 개선을 위한 보고서를 작성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학교 내 다양한 심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물들을 개관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학교에서 나타나는 학생 및 교사들의 심리문제를 조사하며, 최종적으로 이를 기반으로 한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하는 활동을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음운 층위, 어휘 층위, 문자 층위의 규범을 폭넓게 연구함으로써 국어교육에서 규범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글쓰기에서 지켜야 할 규범들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정서법의 이론을 확립하고자 한다.논문 / 대학원
이 강좌는 학위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이 지도교수와의 계속적인 면담과 토론을 통해 논문의 주제 및 구체적 방향을 결정하고, 국내외의 자료들을 수집, 연구와 집필을 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전체 독문학의 구도 속에서 자신의 연구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깊이있는 접근을 통해 논문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