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피아노과
바로크 건반음악은 초기 형성 시기부터 1750년 바하에 이르기까지 바로크 건반음악의 독특한 연주양식과 오늘날 잘 알려지지 않은 레퍼토리 탐구가 주로 다루어지며 수업은 실제 연주와 학구적 연구가 병행될 것이다. 교과과정은 바하 이외의 작곡가들과 바하로 나뉘어진다. (1) 영국(헨델까지), 프랑스(라모), 이태리 스페인(스칼랏티), 독일 (2) 바하(바로크 연주양식의 특징과 문제점, 평균율, 조곡, 파르티타, 바로크 improvisation, 장식음 연주법, 골드베르그 변주곡, Musical Offering, Art of fugue응용생물화학부
유기화학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한 유기화학 실험을 다루되, 생명화학과 관련된 실험 주제에 집중한다. 따라서 이 과목에는 기본적인 유기화학 조작 뿐 만이 아니라, 유기화학의 기술과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천연물화학, 농약화학, 생화학의 실험이 포함된다. 구체적인 실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물질의 분리와 정제: 증류, 천연물 분리 (2) 물질의 동정: 크로마토그라피 및 핵자기공명분광법 (3) 합성: Fischer esterification, Reductive amination, Killiani--Fishcer synthesis, Reduction and oxidation, 농약합성작곡과
관현악법의 기초가 되는 교과목으로, 악기의 구조, 특성 및 주법 등 기본 원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독주에서 앙상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악기의 활용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2개 학기 동안 단계적 학습이 이루어진다.
loading...
음악대학 작곡과 / 학사
관현악법의 기초가 되는 교과목으로, 악기의 구조, 특성 및 주법 등 기본 원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독주에서 앙상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악기의 활용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2개 학기 동안 단계적 학습이 이루어진다.
Windows 8 using bible : 스마트 워커를 위한 윈도우 8의 모든 것
Windows 8 using bible : 스마트 워커를 위한 윈도우 8의 모든 것Wireless Internet and mobile computing : interoperability and performance
Wireless Internet and mobile computing : interoperability and performance
Managing the corporate intranet
Managing the corporate intranet
보안 위협 모델링 : 위협 식별과 대응을 위한 소프트웨어 설계
보안 위협 모델링 : 위협 식별과 대응을 위한 소프트웨어 설계
Grid and cloud computing = Grid e Cloud computing : concep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 Concetti e applicazioni /
Grid and cloud computing = Grid e Cloud computing : concep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 Concetti e applicazioni /
Building secure servers with Linux
Building secure servers with Linux
Network science with Python and NetworkX quick start guide : explore and visualize network data effectively
Network science with Python and NetworkX quick start guide : explore and visualize network data effectively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の全貌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の全貌
(데이터 과학을 위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데이터 과학을 위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사용자 경험 혁신 : 작용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사용자 경험 혁신 : 작용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해킹 초보를 위한) USB 공격과 방어
(해킹 초보를 위한) USB 공격과 방어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 세상을 읽는 데이터 지리학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 세상을 읽는 데이터 지리학McGraw-Hill personal computer programming encyclopedia : languages and operating systems
McGraw-Hill personal computer programming encyclopedia : languages and operating systems
The Internet in everything : freedom and security in a world with no off switch
The Internet in everything : freedom and security in a world with no off switch
광대역 CDMA를 위한 실시간 채널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 최종보고서
광대역 CDMA를 위한 실시간 채널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 최종보고서
(지적재산권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오픈소스 바라보기 : 소스코드를 보호가기 위한 실용가이드
(지적재산권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오픈소스 바라보기 : 소스코드를 보호가기 위한 실용가이드
소프트웨어 보안 평가
소프트웨어 보안 평가Peer-to-peer : harnessing the benefits of a disruptive technology
Peer-to-peer : harnessing the benefits of a disruptive technology
Building findable websites : web standards, SEO, and beyond
Building findable websites : web standards, SEO, and beyondJIPS(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한재혁, 이상진Journal of Ambient Intelligence and Humanized Computing
Zemmoudj S.,Bermad N.,Omar M.Procedia Computer Science
Kannammal, A.; Omprakash, S.; Dheerthan, J. Danesh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이성원, 유제훈, 심귀보IEEE Access
Aghabagherloo A.,Delavar M.,Mohajeri J.,Salmasizadeh M.,Preneel B.IEEE Transactions on Network and Service Management
Rottenstreich O.,Kulik A.,Joshi A.,Rexford J.,Rétvári G.,Menasché D.S.Journal of Information Security and Applications
Zhang Y.,Cheng K.,Khan F.,Alturki R.,Khan R.,Rehman A.U.IEEE Internet of Things Magazine
Masaracchia, Antonino; Van Huynh, Dang; Alexandropoulos, George C.; Canberk, Berk; Dobre, Octavia A.; Duong, Trung Q.Journal of Systems Architecture
Li C.,Song M.,Tang H.,Luo Y.Cluster Computing
Kalai Arasan K.,AnandhaKumar P.Mobile Networks and Applications
Cvitić I.,Peraković D.,Periša M.,Jevremović A.,Shalaginov A.Personal and Ubiquitous Computing
Bashir, Ali KashifSymmetry
Ryu S.,Kim J.,Park N.,Seo Y.Future Internet
Shalaginov A.,Azad M.A.Sensors
Nazar K.,Saeed Y.,Ali A.,Algarni A.D.,Soliman N.F.,Ateya A.A.,Muthanna M.S.A.,Jamil F.Future Internet
D’ortona C.,Tarchi D.,Raffaelli C.IEEE Transactions on Parallel and Distributed Systems
Li G.,Cao S.,Zhao C.,Zhang S.,Ji Y.,Jing H.,Li Z.,Cheng J.,Yang Y.,Yin S.IEEE Transactions on Cloud Computing
Zhang X.,Huang Z.,Wu C.,Li Z.,Lau F.C.M.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김현진, 박상호, 류재철Proceedings of the VLDB Endowment
Michael Jungmair; André Kohn; Jana Gicev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데이터 마이닝은 빅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핵심 도구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컴퓨터 공학 측면에서 고급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 및 분석 플랫폼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기술을 학습하는 것은 최근 넘쳐나는 빅 데이터에서 실행 가능한 지식을 추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과목에서는 빅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 공학 기반 고급 기술, 알고리즘, 핵심 플랫폼을 다룬다. 또한 초 대용량 데이터, 초고속 데이터 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을 학습한다.전선 / 학사
지표 및 지하공간을 다루는 지형 및 지질의 공간정보를 에너지 GIS를 통해 분석하는 방법과 관련 프로그래밍 기법을 다룬다.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실습이 포함된다.전선 / 학사
본 수업은 영상 뿐 아니라 뉴/미디어의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수업이다. 싱글채널 비디오, 영상설치, 인터랙티브 영상 및 코드와 전자적 매체 등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과 주제를 다양하게 실험한다. 본 수업의 목적으로서, 학생들이 본인 작업의 이론적 특성을 함께 개진하여, 자신의 작업들이 단지 기술적인 구현이 아니라 미디어 아트의 개념적이고 조형적 특성 등을 탐구하는 작업들로 제시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이 수업에서는 오늘날 우리가 출판하는 이유와 현재 우리의 기술적, 사회적 조건이 무엇을 장려하는지 탐구할 것이다. 그래픽적 탐구를 통해 이러한 주제들을 논의하면서, 궁극적으로 서울대 디자인학부 내에 "마이크로 프레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일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참고: 학생들은 정상적인 수업 시간 외에 진행되는 워크샵에 참석해야 한다. 구체적인 날짜는 추후 결정 예정이며 가능한 한 모든 사람의 일정을 고려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AR/VR 기기 등 컨슈머 디바이스의 발전과, 클라우드/에지 컴퓨팅 등 백앤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팅 서비스의 영역이 다양한 산업 분야와 사람들 삶 속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로 인해 마크 와이저가 제안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비전의 실현이 한층 눈앞에 다가오게 되었다.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실현하는 첫 단계로서, 기존의 컴퓨팅 시스템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지닌다. 많은 경우,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은 물리 공간에 분산되어 사용자 및 환경을 관찰하는 이기종의 센싱 장치,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다계층의 분산 추론 시스템, 추론을 기반으로 자동화된 피드백을 주기 위한 엑추에이터등 복잡한 시스템 요소가 유기적으로 엮어 동작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의 높은 사용성을 위해서, 사용자와 상황의 다양성을 고려한 고도로 개인화된 적응형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본 과목에서는,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AR/VR 기기를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센서 데이터 분석 및 추론을 위한 분산 기계 학습 기법, 효율적 모바일 서비스 구현을 위한 분산 시스템 구조,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설계 등, 성공적인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의 디자인 및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을 살펴보고, 이를 적용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전필 / 학사
CAAD의 원리와 개념, 그리고 설계에의 응용에 대해 다루고, 이미지 합성과 애니메이션, 웹페이지 작성에 대해서도 실습한다. 실습위주로 진행되며 학생들은 개별 혹은 집단별 프리젠테이션을 하게 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학교 내에서 강의 또는 자기학습을 통해 습득한 블록체인 지식을 활용한 실습강좌이다. 사이버 보안과 블록체인 개론 및 실습을 수강하였거나 이와 동등한 이론 지식과 코딩 능력을 갖춘 3학년 이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블록체인의 지식을 활용한 실습 및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업과 사회에서 겪는 블록체인 문제를 과제로 선정하게 하며 수강생은 이를 코딩을 통해 해결한다. 블록체인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이고 동료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결과물과 협업을 근거로 담당교수가 S/U 학점을 부여한다.전선 / 학사
조형실습의 기초과목으로, 다양한 디자인 재료의 특성에 따른 형태와 구조의 관계를 이해하여, 우리 주변의 다양한 사물의 존재 원리와 그 조형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리고, 표면 디자인 기법을 학습하여 실제 디자인에 적합한 재료를 창의적으로 선택하고, 구조와의 관계를 이해하여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전선 / 대학원
빅데이터 혹은 대용량 고차원 데이터의 출연으로 현대 통계학에서 계산의 중요성은 과거의 어떤 때보다 더 중요하게 되었다. 이 과목에서는 빅데이터를 다루는데 필요한 최신의 계산 기법들, 즉 GPU를 이용한 통계계산과 병렬처리를 활용한 통계계산의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전선 / 대학원
외부공간을 다루는 도시환경과 조경설계 분야에서 물, 바람, 빛, 식재 등은 설계에 필수적으로 반영해야하는 가변적이고 역동적인 환경 및 설계요소이다. 최근에는 외부공간에도 IoT 기술과 프로그래밍을 적용하여 환경변화에 반응하거나 상호작용이 가능한 설계요소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본 강좌는 가상현실(VR) 창작도구를 외부공간의 설계, 분석 및 평가도구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상호작용이 가능한 조경요소와 환경적 변화에 따른 경관을 시뮬레이션하여 설계과정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가상경관 설계기법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상현실(VR)은 이용자에게 실재(實在)에 가까운 몰입형 경관의 체험을 제공하는 점에서 입체적 공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경험할 수 있는 도구이다. 수강생들은 수업을 통해 3D 모델의 실시간 시각화가 가능한 언리얼 스튜디오(Unreal Studio)의 기본적인 공간설계기법을 습득하고, 가변적인 환경요소와 설계요소를 적용하여 HMD(Head Mount Display)를 통해 가상공간에서의 경관적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실제 공간에서 체험할 수 있는 환경요소들을 정보화·정량화하여 가상의 공간에서의 경험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상호작용이 가능한 조경요소의 설계방식을 실험하거나 평가하는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자료구조 및 알고리듬을 학습한 학부 학생들이 대량의 데이터를 메모리 및 디스크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모델에 대한 학습과 실제 시스템의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관계형 모델, 객체지향형 모델, SQL 질의 언어, 파일 시스템 구조, B+tree 및 해쉬 인덱스 구조, 질의처리 및 최적화, 트랜잭션처리, 동시성 제어, 그리고 회복 방법 알고리듬을 학습하고 프로그래밍 프로젝트를 통하여 강의에서 배운 여러 가지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을 구현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복잡한 정보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다양한 시각화 도구와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학생들은 데이터 시각화 기본 원칙과 규칙을 배우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도구들(Python, R)을 다루는 법을 배울 것이다. 이외에도 상호작용과 애니메이션을 위한 시각화 및 전처리 기법, 시각화 사용사례 등을 학습함으로써 탐색적 자료분석 능력을 함양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치의학과 학생들이 디지털 매체를 사용하여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 교육시스템, 의료서비스 등을 탐색하고, 이를 인터넷 사용자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편집하여 새로운 정보를 재생산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디지털 정보검색 및 읽기로부터 시작하여 비판적 글쓰기와 온라인 토론 및 편집 과정을 경험하고 동시에 개인 홈페이지 또는 블로그 제작과 운영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인터넷을 기반으로 국제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콘텐츠는 가능한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나날이 복잡해 지고 있는 최첨단 시스템들의 실제 개발 비용 및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인더스트리에서 널리 쓰이는 복합 시스템 모델링 기법들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들에 대하여 공부한다. 학생들은 시스템의 모델링 컨셉 정의, 모델링을 위한 시스템 분할, 상세 모델링 및 통합 모델링에 대하여 공부한다. 그리고 기 구축된 시스템 모델들을 이용한 다양한 분석 기법들에 대하여 여러 예제들을 사용하여 공부한다. 또한 학생들은 본 강의에서 습득한 모델링 기법들을 이용하여 제조 시스템, 교통 시스템 및 유통 공급망 시스템 등의 복잡한 시스템 모델들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델들을 과학적인 분석 방법들을 통하여 개선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조경학의 학위논문을 준비하거나 조경분야의 학술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방법 즉, 연구주제 선정 방법,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통계분석방법, 논문 작성방법 등을 심층적으로 습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연구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전선 / 대학원
구름 내부에서 일어나는 미세물리 과정과 기본적인 구름 역학을 이해한다. 레일리-베나르 대류, 구름 미세물리와 강수 과정, 적운 역학, 적운 모수화, 악기상과 관련된 구름 물리 등을 공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