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연구윤리의 이해(M2480.000100) , 운동학습특강(722.733)
운동학습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구별되는가 하는 문제와 운동기술의 제어와 학습에 대한 이론적 짓기을 운동 기술을 가르치는데 응용하며, 운동기술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한다. 운동학습의 이해를 위해 운동 수행을 관찰하고 측정한 연구 결과들을 비교 평가하는 능력을 배운다.
The psychology of compassion and cruelty : understanding the emotional, spiritual, and religious influences
The psychology of compassion and cruelty : understanding the emotional, spiritual, and religious influences
Clinical psychology
Clinical psychology
The sexual brain
The sexual brainChild psychology: a contemporary viewpoint
Child psychology: a contemporary viewpoint
Careers and identities
Careers and identities
사냥 본능의 심리학
사냥 본능의 심리학The Process of psychotherapy
The Process of psychotherapy
Writing cures : an introductory handbook of writing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Writing cures : an introductory handbook of writing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指導者
指導者
롤로 메이의 심리학 실존심리학 톺아보기
롤로 메이의 심리학 실존심리학 톺아보기
잠 수면의 심리학.The Book of The psychology of sleep, by Bolton Hall
잠 수면의 심리학.The Book of The psychology of sleep, by Bolton Hall
심리학 노트에 나를 쓰다
심리학 노트에 나를 쓰다
바닷가 작업실에서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 : 슈필라움의 심리학
바닷가 작업실에서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 : 슈필라움의 심리학
Becoming human : a theory of ontogeny
Becoming human : a theory of ontogeny
알프레드 아들러 : 개인심리학의 탄생
알프레드 아들러 : 개인심리학의 탄생
Psychological science : mind, brain, and behavior
Psychological science : mind, brain, and behavior
나만 모르는 내 성격 : 성격장애-어떻게 함께 지내고 어떻게 극복하나
나만 모르는 내 성격 : 성격장애-어떻게 함께 지내고 어떻게 극복하나
Gender : an ethnomethodological approach
Gender : an ethnomethodological approach
Happiness
Happiness생물교육
이희행, 심규철AJIDD-AMERICAN JOURNAL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Kautz-Turnbull, Carson; Adams, Tangeria R.; Petrenko, Christie L. M.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Rescorla L.A.,Genaro B.,Ivanova M.Y.,International ASEBA Consortium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Neuropsychologists
González DA; Clark MJ; Gonzales MM; Benge JBMC Public Health
Jeihooni A.K.,Moradi A.,Yari A.,Kiyani A.,Hasirini P.A.Current Psychology
Jianxiang Zhou; Huijuan Zhang; Ruohua CaoFrontline Learning Research
Hirt C.N.,Jud J.,Rosenthal A.,Karlen Y.Journal of Creative Behavior
White H.A.Emotion
Fawver B.,Hass C.J.,Coombes S.A.,Trapp S.K.,Janelle C.M.Evaluationthe health professions
Hasan Atacan Tonak; Yener Aydin; Burc Ozcanyuz; Haluk Ozcanli; Kosuke Uehara; Yutaka MorizakiArchives of Sexual Behavior
Kwon E.,Aalsma M.C.,Zapolski T.C.B.,Monahan P.O.,Hulvershorn L.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Wojciechowski T.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Kim, Cheol Young; Park, Won-WooJournal of American Studies
Seo Hyun Lee体育科技文献通报 / Bulletin of Sport Science & Technology
康海伦; 国明洁; 田宇霖; 王佳林; 田志杰; 王子奕; 李彬; 杨敏; Kang Hailun; Guo Mingjie; Tian Yulin; Wang Jialin; Tian Zhijie; Wang Ziyi; Li Bin; Yang MinChild Development
McQuillan M.E.,Smith L.B.,Yu C.,Bates J.E.FRONTIERS IN PSYCHOLOGY
Settineri, Salvatore; Frisone, Fabio; Alibrandi, Angela; Merlo, Emanuele MariaEarly Intervention in Psychiatry
Kumar S.,Davidson C.A.,Jain R.,Saini R.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Davis W.J.,Cox M.,Tevington P.,Brown Urban J.,Linver M.R.관광레저연구
이혜진, 이남겸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양 / 학사
전선 / 학사
<청소년기와 성인초기 심리학>은 청소년 및 성인 초기의 발달적 시기에 일어나는 신체적, 뇌신경생물학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변화에 대해 탐구하고, 이러한 성장과 변화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발달 환경적 영향요인을 다면적으로 탐구하는 발달심리학 세미나 수업입니다. 본 과목에서는 현대 청소년 발달 심리의 주류적 이론을 학습하고, 이론적 모델을 토대로 뇌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청소년기의 현대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청소년기 및 성인 초기에 일어나는 특징적인 발달 이슈인 또래집단의 영향, 위험추구 행동,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위기, 학업 및 성취와 관련된 도전, 생애 목적의식과 자아정체성 추구 등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도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합니다. 본 수업을 통해, 청소년기 및 성인 초기 발달에 관한 주요한 이론적 가설과 연구결과를 접하고, 이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과 발표를 통해 현대사회에서 부모의 양육행동, 청소년 및 청년 관련 공공정책, 교육적 심리개입 프로그램 등의 영역에서 독창적이고, 문제해결 지향적인 인사이트를 체득하는 것을 궁극적으로 지향합니다.논문 / 대학원
본 교과목은 대학원 논문지도를 위한 교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정신병리학의 개념, 연구 및 이론들을 개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일차적으로 논의하게 될 것은 정신병리학의 포괄적이고 철학적인 제반 문제들이다. 정신병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제기를시작으로 정신질환 진단의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정신병리에 기여하는 두 가지 핵심 요인인 생물학적 및 심리/문화적 요인의 의미를 확인하고 이들이 대표적인 정신질환인 정신분열증과 조울증의 정신병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본다.전선 / 대학원
집단상담의 기본개념, 이론적 접근, 집단상담 기법 등의 기초를 익히고 수강생이 직접 집단상담에 참여하도록 하여 이론과 실제를 경험하게 하는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 다루는 주제로는 집단상담의 기본개념, 집단역동의 이해, 집단상담의 이론적 접근, 집단상담의 기법, 집단 상담의 장면별, 문제별 응용 등이 있다.전선 / 대학원
영아기에서 청소년기까지의 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이론적 접근을 소개하고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개관한다.전선 / 학사
테니스의 기초 기술 그립, 준비자세, 그라운드 스트록, 볼리, 스매쉬, 서브 동작을 익힌다. 기초기술 학습 후에 경기기술을 복식경기 위주로 익힌다. 체육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차후 테니스 실기 지도자의 입장에서 학습할 것을 강조하고, 각종 기초 기술 및 경기 전략의 원리와 이유를 이해한다. 경기의 질을 높이기 위한 에티켓과 인간 관계를 다룬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상담이나 보육, 교육, 연구현장에서 영유아와 학령기 아동·청소년의 발달을 진단하고 심리적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다룬다. 학생들은 아동·청소년의 발달장애 및 지체, 발달병리현상 진단과 정서행동문제의 평가를 돕는 표준화된 검사도구, 면접, 행동 평정 척도, 행동 관찰 등 여러 가지 방법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구체적 기술을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최근 과학기술분야 연구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성별특성을 반영하는 의학을 이해하고, 각 임상영역 또는 세포주, 동물모델 연구에서 연구계획에서부터, 수행, 결과분석 및 연구결과 적용의 전 과정에서 sex와 gender에 대한 고려 방안을 다루며 특히 성별과 젠더 고려가 중요한 질환 또는 관련 연구결과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성별특성을 반영하는 의학에 필요한 연구 토대를 마련하고자 함.전선 / 대학원
운동 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나타나는 인간 운동행동의 발달적 변화와 그러한 변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규명하는 학문 영역이다. 본 교과목은 유아기부터 노인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운동 행동의 변화와 지각-운동 체계의 발달, 신체 체계의 성장 및 성숙, 그리고운동발달에 영향을 주는 사회,심리적 요인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전선 / 대학원
체육측정평가특강은 체육과 스포츠 현장에서 양적 분석을 위한 측정과 평가와 관련된 제반 이론을 다루는 학문으로 심리계량학, 교육계량학 등에서 다루는 제반이론을 기초로 한다.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의 비교, 분석뿐만 아니라, 검사도구의 제작이나 검사점수의 평가에서 다루어지는 이론과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다층자료분석(multilevel data analysis),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이용한 동등화(equating)나 검사차별기능의 검증 등이 주요 강의 내용이다.교양 / 학사
농구의 역사, 특성 및 효과, 경기 방법 및 규칙 등을 강의하여, 실기 수업을 통하여 농구의 기초 기능과 경기 기능을 체득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교수 내용으로는 농구 경기의 개요(역사, 특성 및 효과, 경기 방법 및 규칙), 농구의 기초 기능(패스와 캐치, 드리블, 슛, 리바운드, 풋워크) 농기의 경기기능(속공법,지공법,대인방어,지역방어), 체력육성방법, 지도법, 심판법 등이 포함된다.전선 / 대학원
상담심리학의 이론을 도입하여 아동의 성장, 발달, 적응 그리고 교육에서의 제반문제를 다루어 본다.그리고 아동상담의 기본원리와 지침을 기초로 하여 특수아의 문제를 조망해 보고, 교육효과와 복지적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잇는 방법을 모색해 본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운동발달(Motor Development)의 다양한 이론을 통하여 전 생애에 걸친 인간운동발달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 적용 방법에 대해 경험하고 더 나아가 건강과 평생 운동을 위한 체육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습득하게 한다.전선 / 학사
임상심리학자의 기능과 훈련과정을 과학자-전문가(scientist-practitioner) 입장에서 소개한다. 주요 심리장애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통해 개발된 평가 및 다양한 치료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된다. 아울러 현대 임상심리학에서 전문분야로 발전되고 있는 임상 신경심리학, 건강심리학, 법심리학 등이 소개된다.전선 / 학사
청년기는 자아정체감의 발달을 비롯한 많은 발달과업을 수행하는 시기로, 지적 발달에서의 양적, 질적 측면을 이해하고 자아정체감과 그 발달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청년기 정서와 사회적 관계의 특성을 통해 청년기의 발달을 이론적, 실제적으로 탐구한다. 청년기에 있는 이들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태도, 기능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현대 상담 및 심리치료이론의 (1) 기초개념, (2) 제 이론의 발전배경과 현황, (3) 이론별 접근방법과 사례적용, 그리고 (4) 이론과 실제의 관계 및 종합 등으로 교과수업의 내용이 구성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