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체육학입문(722.625) , 스포츠 조직행동(M1886.002700)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Evolutionary explanation in the social sciences : an emerging paradigm
Evolutionary explanation in the social sciences : an emerging paradigm
Our social world : introduction to sociology
Our social world : introduction to sociology
Race and secularism in America
Race and secularism in America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ociology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ociology
Urban sociology : images and structure
Urban sociology : images and structure
21st century sociology : a reference handbook
21st century sociology : a reference handbookExplaining crime.
Explaining crime.
Dangerous classes : the underclass and social citizenship
Dangerous classes : the underclass and social citizenship
Justice : crimes, trials, and punishments
Justice : crimes, trials, and punishments
Discursive framings of human rights : negotiating agency and victimhood
Discursive framings of human rights : negotiating agency and victimhood
Essays on social organization and values
Essays on social organization and values
Scholastic journalism
Scholastic journalism
Political modernization : a reader in comparative political change
Political modernization : a reader in comparative political change
Justice
Justice
Ulrich Beck : pioneer in cosmopolitan sociology and risk society
Ulrich Beck : pioneer in cosmopolitan sociology and risk society
Sociology of American sport
Sociology of American sport
Sociological studies
Sociological studies
Khrushchev : a political portrait
Khrushchev : a political portrait
Revisioning The Political : Feminist Reconstructions Of Traditional Concepts In Western Political Theory
Revisioning The Political : Feminist Reconstructions Of Traditional Concepts In Western Political Theory
A Rationalist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
A Rationalist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Journal
Victor G. DevinatzSocial Movement Studies
Evans E.M.Religions
Beemsterboer M.경제와 사회
조형제Law & Society Review
Lara BazelonArchitectural Research Quarterly
Alistair FairMONATSHEFTE
Layne, Priscilla; Norberg, Jakob宿州教育学院学报 / Journal of Suzhou Education Institute
叶洪珍; YE HongzhenAngelaki - Journal of the Theoretical Humanities
Hush A.The Journal of African American History
Murch, DonnaHTS Teologiese Studies / Theological Studies
Mangayi L.Ethnicities
Le A.N.Critical Sociology
Muftee M.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McConnell J.M.,Bacote V.,Davis E.B.,Brown E.M.,Fort C.J.,Liu T.,Worthington E.L.,Hook J.N.,Davis D.E.Political Science
Sergiu Gherghina; Alexandru Racu; Aurelian Giugăl; Alexandru Gavriș; Nanuli Silagadze; Ron Johnston聊城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Liaocheng University (Social Sciences Edition)
陈文殿; 张立兴; CHEN Wen-dian; ZHANG LI-xingCurrent Trauma Reports
Dhanani, Hiba; Cooper, Zara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Alleyne O.Hypatia
Rocío Zambrana; Bonnie MannPost-Soviet Affairs
Fedotenkov I.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스페인 현대사회를 해부한다. 프랑코의 사망 이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다양한 문화 텍스트들인 대중소설, 영화, TV, 신문 등이 그 분석 대상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성, 젠더, 지역주의, 권력, 종교 등 현대 스페인 사회의 다양한 이슈들을 검토하고 논의할 것이다. 문화연구의 방법론을 습득하는 것 역시 이 수업의 중요한 목표이다.전선 / 대학원
한국의 교육발전이 지난 반세기 동안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기획, 추진되어왔는지에 대해서 학문적 탐구를 한다. 이는 국제사회에서 독특한 경제성장의 사례로 자주 등장하고 있는 한국의 교육이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했으며, 교육이해당사자들(stakeholders) 사이에 어떠한 상호작용이 만들어낸 결과인지에 대해서 탐구한다. 뿐만 아니라 교육발전에 미친 국가시스템의 법적 장치와 작동에 대해서 역사사회학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교육과 발전의 독특한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전선 / 대학원
이 세미나는 사회정책과 시민권 문제를 각각 사회학적 탐구대상으로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시도한 후, 사회정책, 시민권, 정치경제 사이의 상호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성과들을 검토한다. 특히 한국 등의 개발주의 근대화 경험에서 드러난 사회정책과 개발정치 사이 관계의 특징 및 시민권적 함의를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복지, 노동, 교육, 환경 등 다양한 사회정책 영역들이 경제개발을 위주로 한 정치질서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또 어떤 내용적 특징을 갖는지를 고찰하고, 이것이 민주주의적 실천으로서 시민적 권리의 심화 및 확대에 갖는 함의를 아울러 고찰한다. 수업은 일부 주제에 관한 교수의 강의, 학생들의 문헌 토론 및 연구발표로 구성된다. 충분한 수요가 있을 시에는 비정기적으로 영어강좌로 개설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에서는 인지, 정서, 행동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으로부터 비교적 최근의 통합적 접근 및 신경과학적 접근 등을 포괄하여 도덕성 발달영역의 대표적인 이론을 고찰하고, 도덕성이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를 통해 어떻게 발달하는 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강좌에서 다루어질 핵심 주제로는 문화, 정서, 공감, 양심, 사회화, 본성, 이타주의, 공격성, 성, 생물학, 상호성, 청소년 발달 등이 포함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과학학의 관점에서 현대 생명과학의 발전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다루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특히 20세기 후반 생물학에서 나타난“분자혁명”(molecular revolution)에 초점을 두고 유전학, 분자생물학, 생화학, 세포생물학, 발생생물학, 면역학, 신경과학, 생태학 등과 같은 분야에서의 나타난 혁명적 변화들과 그 사회적 함의들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생명의 상업화와 사유화, 생명공학과 생의학의 윤리와 같은 법적, 정책적 이슈를 포함하여 생명과학자, 생의학자의 정체성과 그 역할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할 것이다. 또한 생명과학과 의학의 최전선에 있는 외부 강연자들을 초청하여 생명과학과 사회의 관련에 대한 강연과 토론 시간도 예정이다.전선 / 대학원
본 세미나는 시민교육에 관련된 국제비교연구에서의 최근 연구동향과 논의들을 다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국제비교교육적인 관점에서 수행된 시민교육 관련 연구에서 나타나는 이론적, 방법론적, 이데올로기적인 논쟁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본 세미나를 통해 수강생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 및 국가 공동체 내에서의 사회적, 정치적 이슈들에 대해 이해하고, 나아가 지구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윤리적, 도덕적 자질들을 내면화할 수 있다. 수업은 각주의 리딩에 대한 에세이, 발표, 문헌리뷰 및 연구 프로포절 작성이 병행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먼저 고대 레토릭의 이론적 원리와 방법론적 특성, 그리고 사회적 기능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론, 방법론, 기능이 현대 민주주의에 대해 갖는 함의를 고찰한다. 고대 레토릭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해서, 현대 설득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이 현대 민주주의 제 문제에 대한 함의를 논의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한국에서의 종교학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한국적인 독특한 종교학을 정립시키기 위한 세미나이다. 특히 구한말 이후 본격화되어 온 서양인, 일본인, 한국인들의 한국종교 연구들을 원자료를 중심으로 정밀 분석 검토한다. 해방 이후 한국종교 연구의 범위 설정과 각종 연구의 심층적 유형화 및 학제간 창조적 인식과 종교 전통간 조화적 이해들을 수렴하여 한국적인 종교적 재평가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다문화,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일상 경험과 연계된 비판적 시민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루고 있다. 학교 현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공간에서 시민 교육이 어떤 식으로 확장, 발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도전 과제가 무엇인지 논의한다. 이를 위해 존 듀이, 제인 애덤스, 파울로 프레이리와 같은 20세기 학자들의 이론을 다루는 한편, 이러한 사상들이 정보화, 다문화로 대변되는 오늘날 어떻게 다양한 한국사회의 교육현장 속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전선 / 학사
여가활동의 일환으로 사람들이 신체적 놀이로서의 스포츠를 행하는 것은 모든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이다. 하지만, 인간의 스포츠 및 여가 활동들의 구체적 형식과 내용은 문화적 배경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역사적으로도 커다란 변화를 거쳐 왔다. 특히 현대의 후기산업사회들에서 스포츠 및 여가 활동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지니는 대단히 높은 비중을 지니는 삶의 영역으로 되고 있다. 이에 본 과목은 인간의 스포츠 및 여가 활동들과 사회문화적 조건들과의 연관성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조망함으로써 스포츠 및 여가의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전선 / 학사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은 현대사회의 핵심적인 사회문제인 환경문제가 발생되고 이슈화되고 이에 대응하는 정부-기업의 정책 및 환경운동을 다룬다. 현대사회에서 자연환경이 어떻게 사회문제로 부각되는가, 근대적 & 탈근대적 환경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하는 이론적 고찰에서부터 시작하여 정부, 시민단체 등 환경문제를 다루는 사회적 기제, 정부 정책, 환경운동의 분화과정 등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인구, 기업, 과학기술 등 환경문제의 원인, 근대성과 생태적 이슈, 환경문제의 쟁점화과정, 정부와 기업의 정책, 그리고 근대적 환경운동, 탈근대적인 생태운동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 형사정책은 범죄문제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통하여 합리적인 대책수립에 기여하는 학문이다. 이를 위해 범죄 및 대책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추구한다. 범죄(자)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과 형사사법과정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통해 보다 합리적이면서 인도적인 정책의 수립에 기여한다. 교도소 참관 등 현장방문의 기회도 제공한다. 형사재판 및 형사사법에 진출할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전선 / 학사
북한의 정치사, 이데올로기, 정치 제도와 과정, 그리고 발전전략들을 고찰하는 입문 강좌. 남북 관계와 동북아시아의 안보 문제들도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문화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문화 현상과 관련된 주제를 시민 교육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기능주의, 마르크스주의, 비판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주의, 문화연구, 포스트모더니즘 등 다양한 문화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계급문화, 하위문화, 몸과 젠더 정체성, 문화와 정치 소비문화, 문화적 세계화와 같은 주제들을 탐구한다. 나아가 민주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이러한 문화 현상들에 대한 적절한 접근법을 탐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체육 및 스포츠의 실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서양 주요 인물의 사상을 천착하고, 우리에게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고찰한다. 각 인물의 사상은 생애사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그들이 피력한 체육의 이념 및 가치와 그것의 교육적 실천에 관한 내용을 살펴본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현대 생명과학의 발전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특히 20세기 후반 생물학에서 나타난 “분자혁명”(molecular revolution)에 초점을 두고 유전학, 분자생물학, 생화학, 세포생물학, 발생생물학, 면역학, 신경과학 등과 같은 분야에서의 나타난 혁명적 변화들과 그 사회적 함의들을 다룰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현대 생명과학의 문화적, 사회적, 정책적 이슈들을 다룰 것이며, 생명의 상업화와 사유화, 생명윤리와 같은 법적, 정책적 이슈를 포함하여 변화하는 생명과학자, 생의학자의 정체성과 그 역할 또한 다룰 것이다. 강의에서는 첨단 생명과학과 의학의 최전선에 있는 외부 강연자들을 초청하여 생명과학과 사회의 관련에 대한 강연과 토론 시간도 가질 것이다. 이 강의는 자연과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생물학, 생의학의 사회적 역할과 영향에 대해 관심있는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지역 연구를 활성화함으로써 구미에 편중된 정치학 연구를 교정하고 정치학의 원류인 비교정치의 심화를 기한다. 중남미와 동남아시아, 동구 등 구미중심의 지역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의 정치체제에서의 특수성을 검토하고 이를 일반이론적 맥락에서 재구성한다.전선 / 대학원
이 수업의 목표는 사회학적 관점을 익히고 그것을 보건정책 및 보건 의료 문제를 분석하는데 활용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수업은 크게 세 가지 초점을 가진다. 첫째, 사회학의 기본적 사고방식을 익힌다. 둘째, 사회구조를 포착하고 설명하는 다양한 스타일을 검토한다. 사회구조를 연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이 수업은 ‘사회구조’에 접근하고 그것을 설명하는 스타일을 (A) <파라미터 분포로서 사회구조를 포착하고 설명하기>, (B) <심층 구조로서 사회구조에 주목하고 설명하기>, (C) <사회구조가 계속 변화하는 구성 과정에 주목하기>로 분류한 후, 각 세 가지 스타일로 사회구조를 연구했을 때의 장점과 단점을 검토한다. 셋째, 보건 의료 분야의 몇 가지 중요한 주제를 이런 세 가지 스타일로 접근/연구한 논문들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