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이 강의는 사회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기초로 하여 스포츠의 이해를 돕고, 스포츠와 사회체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에 대한 사회학적 시각 및 관점을 높이며, 특히, 오늘날 여러 사회제도에 대하여 증대되는 스포츠의 영향력과 그에 수반되는 제반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스포츠의 사회학적 사고력을 제고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 사회학의 정의와 학문체계 및 연구목적, 그리고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론을 고찰하고 정치, 경제, 대중매체, 성, 일탈행동, 사회계층, 사회화, 교육적 측면에서 스포츠를 접근함으로써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인간생활 및 사회체계 내에서 스포츠가 공헌하는 바를 규명한다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스포츠심리특강(722.731)
이 강의는 사회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기초로 하여 스포츠의 이해를 돕고, 스포츠와 사회체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에 대한 사회학적 시각 및 관점을 높이며, 특히, 오늘날 여러 사회제도에 대하여 증대되는 스포츠의 영향력과 그에 수반되는 제반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스포츠의 사회학적 사고력을 제고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 사회학의 정의와 학문체계 및 연구목적, 그리고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론을 고찰하고 정치, 경제, 대중매체, 성, 일탈행동, 사회계층, 사회화, 교육적 측면에서 스포츠를 접근함으로써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인간생활 및 사회체계 내에서 스포츠가 공헌하는 바를 규명한다
New directions in economic anthropology
New directions in economic anthropology
Practical ideology and symbolic community : an ethnography of schools of choice
Practical ideology and symbolic community : an ethnography of schools of choicePodremos vivir juntos? : iguales y diferentes
Podremos vivir juntos? : iguales y diferentes
The urban mosaic : towards a theory of residential differentiation
The urban mosaic : towards a theory of residential differentiation
Digital methods for social science : an interdisciplinary guide to research innovation
Digital methods for social science : an interdisciplinary guide to research innovation
Discover sociology
Discover sociology
Critical anthropology now : unexpected contexts, shifting constituencies, changing agendas
Critical anthropology now : unexpected contexts, shifting constituencies, changing agendasEducation, class language, and ideology
Education, class language, and ideology
The fall of public man
The fall of public manThe Sociology of small groups
The Sociology of small groups
Social thought from lore to science, v. 3, Sociological trends throughout the world to the start of the twentieth century's seventh decade
Social thought from lore to science, v. 3, Sociological trends throughout the world to the start of the twentieth century's seventh decade
Anthropology : a brief introduction
Anthropology : a brief introduction
Qualitative inquiry at a crossroads : political, performative,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s
Qualitative inquiry at a crossroads : political, performative,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sAn introduction to social research
An introduction to social research
Talcott Parsons : despair and modernity
Talcott Parsons : despair and modernityComplexities : social studies of knowledge practices
Complexities : social studies of knowledge practices
Radical Equalities and Global Feminist Filmmaking - An Anthology.
Radical Equalities and Global Feminist Filmmaking - An Anthology.Rules and laws in sociology Robert Brown.
Rules and laws in sociology Robert Brown.
Narrative power : the struggle for human value
Narrative power : the struggle for human value종교와 사회
정재영Signa
Melendo Cruz A.Critical Discourse Studies
E M.K.L.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Mutibwa D.H.Isis
Ian McGonigle충청학과 충청문화
김성태Journal of Studies in International Education
King M.,Forsey M.,Pegrum M.International Journal of Latin American Religions
Jorge Baeza-Correa; Patricia Imbarack-Dagach; Maureen Neckelmann; Luis Reyes-OchoaHUMANITIES-BASEL
dos Santos Soares, Maria AndreaEvaluation
Liu T.C.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Holmes T.R.지역과문화
양치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Liou, Al; Literat, IoanaAnthropology and Humanism
Balaswaminathan S.Antipoda
Suárez L.R.Leisure Studies
Shimoyamada S.Ui sahak
Hwang IJournal of Contemporary Religion
Katrina Daly ThompsonRock Music Studies
Mengede, SarahOxford Review of Education
Dussel I.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전필 / 학사
초창기에서 현재에 이르는 미국문학과 미국문화의 개관으로서 시대적으로 인정되는 주요작품과 그 시대의 문화를 소개하며, 아울러 미국문화의 형성과정을 문학사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영어 교육 연구에 기본 소양을 제공하고자 함.전필 / 학사
사회과의 법교육 영역의 교육과정, 중요 이슈 기타 관련 시민교육적 문제를 탐색하는 교과목이다. 본 강좌에서 다룰 주요한 주제들로는 법교육영역의 교육과정 이해, 법사회화, 법교육 방법론, 법교육 평가론 등이다. 본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은 각 주제별 문헌 또는 논문을 읽고 발표와 토론 그리고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세미나를 진행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조직을 분석단위로 하는 기존의 이론들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시간에 다룰 이론들은 베버의 관료제론부터 상황이론, 제도화이론 등은 물론 최근에 제시된 연결망이론까지 포함된다. 수업은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할 것이다. 수강자는 개인별로 연구과제를 선정하여 기말에 이를 과제물로 제출해야 한다. 이 과목은 인사조직 전공자는 물론 전략이나 마케팅 전공자중 조직자체의 행동을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초이론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미디어가 왜 중요하며 어떻게 중요한지에 대해 인류학적 질문을 제기한다. 미디어의 인류학은 미디어를 일종의 문화적 실천으로서 탐구하고, 어떻게 사람들이 미디어 세계를 만들어내고 그곳에서 항해하는지 연구한다. 이는 미디어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민족지적 관심을 유도하며, 미디어가 전체 사회와 연결되는 방식에 대한 논의와 연결된다. 이 과목은 이 새롭게 떠오르는 영역에 대한 주요 관심, 방법, 논쟁들을 소개한다. 수업에서는 세계 각지의 사례 연구들(주로 동아시아 지역)에 기초하여, 어떻게 미디어 실천이 유용 가능한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프라 및 문화적 요구에 의해 정의되는지, 어떻게 실제 미디어 유통이 미디어 생산자의 욕망과 의도로부터 벗어나는지, 어떻게 미디어의 관객이 매스미디어를 자신의 목적에 맞게 전유하는지, 어떻게 오래된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가 사회적 및 정치적 변화 속에서 상호 관련을 맺게 되는지, 어떻게 미디어가 민족, 종족, 및 젠더 정체성을 형성하는지, 그리고 무엇이 미디어 연구자들에게 주어진 이러한 복잡성들에 도전하는지 살펴볼 것이다.교양 / 학사
이 강의의 핵심주제인 ‘공존’은 단순히 사회적인 공존을 뛰어넘어 환경과의 공존으로 확대함으로써 앞으로 인류의 삶이 인간 상호 간에 서로 소통하고, 환경과의 공존을 통해 보다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삶의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임. 이에 ‘공존’을 핵심 키워드로 하여 서로 다른 학문영역의 교수 3명이 본인의 학문영역과 관련지어 환경, 사회, 소통이라는 하위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공존’의 관점에서 연결하여 나갈 것임. 이 교과목을 통해, 학생은 환경과 사회 속에서 공존하는 자신만의 삶을 설계할 수 있음. 그리고 다양한 영역(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학)을 아우르는 주제토론 등을 통해, 주제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관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음. 더불어 영역별 여러 전문가의 이야기를 통해, 환경, 사회, 인간, 각 영역에 대해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 특히 수업 과정에서 학생이 교수와 동등한 위치에서 토론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창의와 도전 정신을 함양할 수 있음.전선 / 대학원
한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역사와 비교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주제에서 한국사와 다른 나라의 역사가 어떤 면모를 보여주었는지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사의 전개가 지니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균형 있게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인류학 연구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분야라 할 수 있는 가족과 친족 연구에 대해 개설적으로 다루는 과목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다양한 사회와 종족에게서 나타나는 가족과 친족제도를 살피고, 둘째, 출계율, 결연론, 친족용어 등 친족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이론들을 검토하고, 세째, 가족과 친족연구와 다른 인류학 하위분야들간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수강생들로 하여금 가족과 친족제도를 이해하고 실제 생활에서 가족과 친족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기르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오늘날 공공영역에 존재하는 디자인 현상은 많은 관심과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 강좌는 공공미학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함께 비평적 분석을 통해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공영역과 공공성에 대한 개념과 이론에 대해 논의하고, 디자인 현안 중심으로 공공미학의 본질과 존재양식의 주요 쟁점들을 다룬다. 이 강좌는 단순히 조형적 차원을 넘어서 디자인이 공공영역에서 어떻게 삶의 공공성을 사회복지 차원에서 담지해야 하는지 등의 제반 문제에 대해 현장 중심의 사례연구들을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내재적 발전론 관점에서 개항이후 한국교육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본다. 서양 근대교육의 사회적 기원 및 팽창연구를 개관하고, 비교교육사 관점에서 근대 한국교육의 특질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전통교육에서 근대교육으로의 이행, 교육전통의 연속 또는 불연속, 동서문명의 교섭과 갈등, 개화정책과 신식 관학의 등장, 기독교 수용과 서양식 학교의 등장, 민간 교육운동의 전개, 식민지 교육의 강제와 저항, 해방 후 일제 청산과 분단교육체제의 등장, 북한 사회주의 교육의 등장, 한국전쟁 후 교육팽창과 자본주의산업화 등과 같은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우리 민족이 주변 강대민족의 끊임없는 압박과 침략 하에서도 반만년의 기나긴 역사를 통하여 민족국가와 민족문화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었던 정신적 저력과 기반 그리고 그 흐름을 연구하고 파악케 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필 / 학사
사회문화교육에 관하여 지금까지 학생들이 학습한 것을 기초로 하여 사회문화교육의 사회사상적 기초, 현실적인 과제, 앞으로의 방향과 개선과제 등에 관하여 부분적인 강의, 학생들의 발표와 토론 등으로 진행되는 세미나 과목이다. 기능주의와 갈등론, 전통과 혁신, 탐구와 창조, 민족주의와 세계화 등 최근의 문제가 흔히 세미나의 주제가 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에서는 교술문학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한민족의 정서와 전통의 문제를 다룬다. 교술문학을 당대의 문화나 생활의식과의 연관성 속에서 올바로 이해하고자 한다. 가사, 전 등의 교술 장르의 작품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를 통한 전통문화에 대해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맑스, 베버, 뒤르껭, 벨라, 그릴리, 스완슨, 버거 등의 사회학자를 중심으로 하여, 이들의 종교 사회학이 어떤 양상으로 연결되고 변형되어 가는지를 연구한다. 각 사회학자들의 논문을 중심으로 하여 그것들을 강독하는 시간으로, 그들의 논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종교 사회학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되짚어 본다. 논문은 그들의 종교 사회학 관련 논문뿐만 아니라, 각자의 사회학 전반에 관한 것 또한 다루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