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대학원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연구윤리의 이해(M2480.000100) , 영어논문작성법: 인문사회계열(M2480.001400)
이 강좌에서는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장애인 체육 저널 및 논문을 소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토론을 통해 장애인 체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 또한 제공하고자 한다
Groupware and teamwork : invisible aid or technical hindrance?
Groupware and teamwork : invisible aid or technical hindrance?
International handbook of organizational teamwork and cooperative working
International handbook of organizational teamwork and cooperative workingPerspectives in human development : nursing throughout the life cycle
Perspectives in human development : nursing throughout the life cycle
(용어로 읽는) 심리학
(용어로 읽는) 심리학
Good practice in the accreditation of prior learning
Good practice in the accreditation of prior learningMethods of behavior analysis in neuroscience
Methods of behavior analysis in neuroscience
Dying for a paycheck : how modern management harms employee health and company performance--and what we can do about it
Dying for a paycheck : how modern management harms employee health and company performance--and what we can do about it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
Scientific advances in positive psychology
Scientific advances in positive psychologyPsychology for effective teaching
Psychology for effective teaching
Questions of competence : culture, classificat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s of competence : culture, classificat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y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 preparing educators for the future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 preparing educators for the future
Coaching youth ice hockey
Coaching youth ice hockey
Far from the tree : a dozen kinds of love
Far from the tree : a dozen kinds of love
Bullshit jobs : a theory
Bullshit jobs : a theory
이야기 심리학 =
이야기 심리학 =
Chairside psychology in patient education: a self-instruction course
Chairside psychology in patient education: a self-instruction course
간호학개론 =
간호학개론 =
Accreditation : protecting the professional or the consumer?
Accreditation : protecting the professional or the consumer?
불안 해방 : 우리는 왜 늘 소진되어야만 하는가
불안 해방 : 우리는 왜 늘 소진되어야만 하는가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Hills S; Terry D; Gazula S; Browning CJournal of the American Psychiatric Nurses Association
Abu Khait A.,Mrayyan M.T.,Algunmeeyn A.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Analytis P.,Hicks A.J.,Gould K.R.,Feeney T.J.,Ponsford J.Nurse Education in Practice
Johnson J.,Kareem A.,White D.,Ngwakongnwi E.M.,Mohammadpour M.,Rizkika N.,Ouattas R.,Shahrour Y.,Ali R.,Roshanuddin J.Education for primary car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ssociation of Course Organisers, National Association of GP Tutors, World Organisation of Family Doctors
Caroline Mills; Helen Cattermole; Fiona Tilsed기본간호학회지
두은영, 서형은, 김미영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Handler A; Greenleaf R; Bozlak CT; Moerchen V; Pizur-Barnekow K; San Miguel C; Sappenfield O; Masini G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Abdullatif Ibrahim I.,Hashem El-Monshed A.,Gamal El-Sehrawy M.,Elamir H.,Mohamed Abdelrahim S.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Nyfoudi M.,Shipton H.,Theodorakopoulos N.,Budhwar P.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Kayla Halls; Mona SakrYale Journal of Biology and Medicine
Gielissen K.A.,Ahle S.L.,Wijesekera T.P.,Windish D.M.,Keene D.E.Education 3-13
A. Stevenson; N. Wainwright; A. WilliamsInternational Journal of Construction Education and Research
Bigelow B.F.,Perrenoud A.J.,Rahman M.,Saseendran A.JPRAS OPEN
Kidd, Thomas; Palaniappan, Subbramanian; Kidd, Daniel; Waterston, StuartTechTrends
Garcia K.L.,Ozogul G.FRONTIERS IN PSYCHOLOGY
Anselmann, Veronika; Brouwer, Jasperina; Mulder, Regina H. H.European Journal of Special Needs Education
Carballo R.,Molina V.M.,Cortes-Vega M.D.,Cabeza-Ruiz R.Journal of womenaging
Fatemeh Fallahi; Monireh Anoosheh; Mahshid Foroughan; Zohreh Vanaki; Anoshirvan KazemnejadNursing Ethics
Both T.d.S.P.,de Souza L.A.,Teston E.F.,Júnior A.R.F.,Ajalla M.E.A.,Batiston A.P.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유은지, 최미현, 김영숙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학생인턴은 3, 4학년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진료에 참여하는 2주 임상실습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독립된 의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인턴은 1기-7기까지 모든 임상과에서 개설되며, 진로탐색을 위해 원하는 실습을 선택할 수 있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졸업논문 세미나 1 수강을 통해 발전시킨 연구를 논문으로 완성한다. 선수과목에서 시작한 분석을 완료하고, 이후 국내외 학술지 (KCI, SCI)에서 요하는 양식으로 기술, 투고 가능한 형식의 논문으로 마무리한다. 본 과목의 선수과목은 졸업논문 세미나 1 이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상담자 발달과정, 교육, 수퍼비전에 관한 주요 이론과 실제적 쟁점들에 관해 이해를 높이고, 상담자로서 자신의 발달과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실제 수퍼비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슈를 경험적으로 이해하고 본인이 수퍼비전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4학년 2학기 체육교육과 학부생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강좌로서, 그 동안 학습한 체육교육 전공의 내용을 정리하고 심화 시켜 졸업 후 진로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개설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체육전공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졸업생 및 전문가를 초청하여 강연을 듣기도 하고, 체육교사나 체육 전공 분야의 연구 및 교육자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의 심화된 세미나를 진행한다.전선 / 학사
뇌-마음-행동 연계전공의 선택과목으로서, 뇌-마음-행동 개별연구(2071.401)를 이미 수강한 학생에 한하여 참여 교수의 지도 하에 심화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지도교수 연구실에 일정 기간 소속되어 연구 경험을 한 후 학기 말 공개 발표와 연구보고서를 제출. 연구보고서를 발전시켜 국내․외 학술대회에 발표하는 것을 권장.전선 / 학사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바람직한 조직의 리더상으로 흔히 ‘코치’로서의 리더가 부각되고 있다. 구성원의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그를 북돋아줄 수 있는 리더로서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이다. ‘산업인력리더십개발 및 코칭’은 산업인력개발 분야에서 미래의 리더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통 전략을 학습하고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자 한다. 스스로에 대한 이해 심화, 리더십의 개념에 대한 이해 및 실생활에의 적용은 수강생들로 하여금 산업인력개발의 진정한 리더로서의 자신을 찾을 수 있게 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신경생물학을 세부전공분야로 선택한 대학원생들을 위해 신경생물학과 관련된 분야에서 최근에 발표된 중요한 연구에 대한 문헌의 고찰 및 토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최근의 연구동향을 review하여 보고, 각자가 직접 문헌을 찾고 발표를 하면서 학문의 깊이와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또한 탐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각자의 전공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여, 급격하게 발전하는 학문추세에 대한 진취적인 수용적 자세와 비판적인 능력을 아울러 갖출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교양 / 학사
본 교과목은 ‘건강’, ‘돌봄’, ‘자가간호’와 관련된 개념과 이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구체적인 사례 및 탐구 문제를 통해 자신과 공동체의 건강을 위한 판단 능력과 실천적 태도를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스로 건강을 돌보는 ‘자가간호’와 관련된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어가기 위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무를 인식하도록 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수재아동과 장애아동의 발달상 특징과 원인 및 지도에 관한 학문적 지식을 제공하며, 이들의 양육과 지도에 필요한 의학적, 심리학적, 교육학적, 복지적 차원에 관한 지식과 태도, 기능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박사과정 이수를 위한 필수과목으로서 줄기세포생물학과 관련된 국내외 분야에서의 120 시간 이상의 실무 경험과 심층 지식 축적한다.전선 / 대학원
“상담이론과 실제” 강좌에서는 교육상담학에 입문하는 과정으로서 상담의 기초 기술들, 상담을 진행, 운영하는 과정 그리고 그것들이 기반으로 삼는 고전적 상담이론들을 교육하게 되며, 고급과목을 수강하기 이전에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하는 기본과목으로 운영할 것이다.전필 / 대학원
본 강좌는 신입생들에게 임상환경을 소개하고 진료실에 내원한 환자와의 의사소통기술의 증대에 초점을 둔다. 학생들은 이 과정을 통해서 다른 분야(동료)와 협진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환자치료의 준비에 필요한 의사소통(communication skill), 수기(manual dexterity), 시지각 기술(visual perception skill)을 개발하며, 자신의 학습 성취에 대한 자가평가와 교수평가를 통해 객관적 평가의 기술을 배운다. 동시에 학생들은 다양한 의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감염방지, 인간공학(ergonomics), 구강보건 관련법, 정보기술의 적절한 활용법 등을 배우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치과진료의 전문과목과 통합적 진료환경에 대해 이해한다. 동시에 다양한 치과진료 한경에서의 환자진료를 직접 실습을 통해 이해한다.전선 / 학사
학생인턴은 3, 4학년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진료에 참여하는 2주 임상실습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독립된 의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인턴은 1기-7기까지 모든 임상과에서 개설되며, 진로탐색을 위해 원하는 실습을 선택할 수 있다.전선 / 학사
현장학습은 강의실 외부 현장에서 경험을 통해 학습의 폭과 깊이를 확장하는 과정이다. 현장학습의 범위는 봉사활동, 기업체 인턴, 공공기관 및 국제기구 근무 등을 포함한다. 본 과목은 학생이 국내외 기관에서 진행한 현장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특정 주제를 정하고 그 주제에 대해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교 수업에서 얻은 지식을 현실 문제에 연결하는 경험을 쌓고 리더십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다.전선 / 대학원
이전 교육과정에는 “상담이론”, “상담기법”, “고급상담이론”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론과 기법을 연결하여 교육할 필요성으로 인하여 “상담이론”은 “상담이론과 기법”으로, “상담기법”은 “고급상담이론과 기법”으로 변경 신청 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변경 개설될 “고급상담이론과 기법” 과목과 기존의 “고급상담이론” 교과목은 내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명칭 상 혼동을 일으킬 수 있어서, 기존의 “고급상담이론” 교과목에서 다루어온 내용을 “현대상담이론과 교육”이라는 교과목 명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현대상담이론과 교육”(기존의 “고급상담이론”)에서는 최근의 새롭게 소개되는 상담이론과 최근 상담이론의 미래 동향, 상담모형의 개발과정, 그리고 그러한 이론들의 교육현장 적용성에 관한 내용을 다루게 될 것이다.전필 / 대학원
본 과목은 학위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며, 개인의 연구분야에 대한 특정 주제에 대해서 교수의 지도 아래 연구하고 토의하는 강좌이다. 2개 학기에 걸쳐 수강을 할 수 있으며, 졸업학점으로 인정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개인 개발, 경력 개발, 조직 개발에 이어 산업인력개발의 제4요소로 새로이 등장한 성과 관리의 이론적 고찰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룬다. 특히, 성과 관리의 양대 축인 직무 분석과 직무 설계 중, 직무 설계의 요인들인 performance output, performance activities, 그리고 performance standards에 관해 이해하도록 한다. 아울러 HR 분석을 중심으로 성과관리론이 산업인력개발에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지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미래의 산업인력개발 분야에서 각광받을 HR 분석 역량을 제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