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의예과
본 과목에서는 의예과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다양한 역량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으로서의 자기계발과 진로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하고, 미래의료인으로서 책무성, 리더십 등을 확립할 수 있게 하며, 봉사를 통해 의사로서의 삶과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loading...
의과대학 의예과 / 학사
2025-1학기
본 과목에서는 의예과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다양한 역량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으로서의 자기계발과 진로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하고, 미래의료인으로서 책무성, 리더십 등을 확립할 수 있게 하며, 봉사를 통해 의사로서의 삶과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과정의 실제 : 간호 진단-결과-중재 연계적용 =
간호과정의 실제 : 간호 진단-결과-중재 연계적용 =
Health visiting : specialist community public health nursing
Health visiting : specialist community public health nursing
Community medicine : teaching, research, and health care
Community medicine : teaching, research, and health careHospitals and health care facilities
Hospitals and health care facilities
Handbook of cardiology for nurses : heart disease and its treatment, the patient and his nursing care
Handbook of cardiology for nurses : heart disease and its treatment, the patient and his nursing care
응급 전문 간호사 : certification examination review questions
응급 전문 간호사 : certification examination review questions
Quest for quality in Canadian health car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Quest for quality in Canadian health car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A Picture of Health : hospitals and nursing on old picture postcards
A Picture of Health : hospitals and nursing on old picture postcards
The Addison-Wesley photo-atlas of nursing procedures
The Addison-Wesley photo-atlas of nursing procedures
기본간호학
기본간호학
Outcomes of effective management practice
Outcomes of effective management practice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healthcare : health 4.0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healthcare : health 4.0
Health care in the new millennium : vision, values, and leadership
Health care in the new millennium : vision, values, and leadership
Coaching volleyball successfully : the USVBA Coaching accreditation program and American Coaching effectiveness program level 1 volleyball book
Coaching volleyball successfully : the USVBA Coaching accreditation program and American Coaching effectiveness program level 1 volleyball book
Nursing for wellness in older adults
Nursing for wellness in older adults
Australian medical education and workforce into the 21st century
Australian medical education and workforce into the 21st century
Preparing the pharmacy for a Joint Commission survey
Preparing the pharmacy for a Joint Commission survey
Nursing the feline patient
Nursing the feline patient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Porter-Armstrong A.,Daly-Lynn J.,Turtle B.,Abercrombie W.,McLean A.,Martin S.,Stinson M.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Bedi R.P.,Thomas P.A.,Sandhu D.,Jain S.TechTrends
Ari F.,Vasconcelos L.,Tang H.,Grant M.M.,Arslan-Ari I.,Moore A.L.BMC HEALTH SERVICES RESEARCH
Salmani, Ibrahim; Seyedin, Hesam; Ardalan, Ali; Farajkhoda, TahminehNUTRITION & DIETETICS
Nagy, Annaliese; McMahon, Anne; Tapsell, Linda; Deane, Frank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Andia, Tatiana S.; Lamprea, Everaldo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Hut-Mossel L.,Ahaus K.,Welker G.,Gans R.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Barth C.A.,Donovan-Hall M.,Blake C.,Akhtar N.J.,Capo-Chichi J.M.,O’sullivan C.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Grace ThompsonSigna Vitae
Díaz-Agea J.L.,Ayensa-Arano C.,Pujalte-Jesús M.J.,Cinesi-Gómez C.,Cánovas-Pallarés J.M.,Párraga-Ramírez M.J.,Leal-Costa C.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Carron T.,Domeisen Benedetti F.,Fringer A.,Fierz K.,Peytremann-Bridevaux I.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neuroscience
Qingna Lv; Yanyun Zhang; Yanyan Li; Yang YuBJPsych International
Mohammed Mohammed; Ibrahim Makki; Suhaila GhuloumNurse education today
Howland K; Matricciani LA; Cornelius-Bell A; Kelly MA价值工程 / Value Engineering
张米; 钟乐海; 邢伟寅; ZHANG Mi; ZHONG Le-hai; XING Wei-yinEmerging Infectious Diseases
Pérez-Nadales E.,Alastruey-Izquierdo A.,Linares-Sicilia M.J.,Soto-Debrán J.C.,Abdala E.,García-Rodríguez J.,Montejo M.,Muñoz P.,Lletí M.S.,Rezusta A.,de Pipaón M.R.P.,Yáñez L.,Merino E.,Campos-Herrero M.I.,Costa-Mateo J.M.,Fortún J.,García-Lozano T.,Garcia-Vidal C.,Fernández-Ruiz M.,Sánchez-Reus F.,Castro-Méndez C.,Guerrero-Lozano I.,Soler-Palacín P.,Aguado J.M.,Martínez-Martínez L.,Torre-Cisneros J.,Nucci M.Quality in Higher Education
Sánchez-Chaparro, Teresa; Remaud, Bernard; Gómez-Frías, Víctor; Duykaerts, Caty; Jolly, Anne-MarieJAMA Ophthalmology
Reyes J.,Seddon I.,Watane A.,Gedde S.,Sridhar J.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De Juan Pardo M.Á.,Vissandjee B.,Guillaumet Olives M.,Cerezuela Torre M.Á.,Gallart Fernández-Puebla A.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McGuier E.A.,Feldman J.,Bay M.,Ascione S.,Tatum M.,Salas E.,Kolko D.J.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교육행정학의 주요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는 역사적 접근, 사회심리학적 접근, 정치 경제학적 접근, 비교교육학적 접근 등의 특성과 주요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를 고찰함으로써 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연구방법의 기초를 제공함은 물론 향후 교육행정학 연구에 필요한 광범한 방법적 기술을 배양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보건의료의 질의 개념 및 측정과 관련된 주요 원리와 개념들을 소개하고, 효과적 질 향상을 위한 리더쉽, 조직 문화, 보건의료 팀의 역할, 그리고 질 관리의 원칙들과 과정들을 살펴본다. 또한 질 관리의 성과 및 성과 평가 방법을 리뷰하고, 보건정보 시스템과 테크놀로지의 역할과 영향을 고찰한다. 외부적 환경(법, 규제, 보건 정책 등)이 보건의료 조직의 질 관리 및 성과 평가에 미치는 역할 및 영향, 그리고 나아가 다양한 보건의료 조직에서의 보건 서비스 질과 안전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법을 고찰하고 토론한다.전선 / 학사
지구환경과학부에서 제공하는 학부생의 인턴과정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과목으로 학생들은 지도교수를 결정하고, 대기과학, 지구시스템과학, 혹은 해양학 연구를 진행한 다음, 기말보고서를 작성하게 된다. 본 과목에서는 오리엔테이션 참석, 인턴 지도교수 신청, 중간보고서 작성, 최종보고서 발표를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신청자격은 2학기 이상의 학부과정을 마친 학생에게 주어진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산업인력개발에서의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내용을 결정하며, 전개하는 과정에 관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들 개념과 원리를 산업인력개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학생들이 관심이 있는 약학연구 분야를 선정하고, 해당 연구 분야 전공 교수님의 연구실에서 직접 실제 연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관찰하고, 허용되는 범위에서 연구에 직접 참여해 봄으로써 약학 연구의 실제를 체험하는 것으로 향후 연구 분야 진로 탐색 프로그램임.전선 / 학사
학생인턴은 3, 4학년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진료에 참여하는 2주 임상실습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독립된 의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인턴은 1기-7기까지 모든 임상과에서 개설되며, 진로탐색을 위해 원하는 실습을 선택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본교 음악대학 대학원 과정생들이 졸업 후 커리어활동에서 필요한 공연, 교육 운영의 실제를 학습하는 교과목으로서 학부과정에서 습득한 전공지식과 교양을 토대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공연/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담당교수들의 지도 하에 실습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아동중심간호의 관점에서 안전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기 발달특성에 따라 발생가능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사정하고 안전사고 관리법과 예방책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인터넷 홈페이지와 전자메일 등의 활용을 전제로 하여, 지역사회구성원의 구강건강수준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 구강건강에 관여하는 지식 태도 및 행위를 합리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원리를 교수하고, 개인과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각각의 구강보건교육방법과 내용을 학습한다.전필 / 학사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 의학 지식으로 사람 정상 구조물의 형태와 그 주위기관과의 상호 위치관계를 배우며 관련 과목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다양한 인체기관에 대한 명칭을 이해함으로써 의료진과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기초를 닦을 뿐 아니라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인체구조의 학습법도 경험한다. 또한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와 장기들의 개별적인 기능을 이해하고, 어떤 기전을 통해 인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지에 대해 학습한다. 정상적인 인체가 어떻게 생명 활동을 유지하고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한 항상성을 유지하는 지 학습함으로써, 인체의 정상 상태와 질병 상태를 구분하고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전필 / 학사
의학과 접목된 다양한 분야(multidisciplinary area)를 다루어 학생들에게 폭넓은 시각을 제공한다. 본 교과목은 학생의 관심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학생이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학습수준에 따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핵의학 분야의 첨단 연구방법을 리뷰하고 IRB, IACUC 등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과 타 연구계획을 비판, 평가함으로써 과학과 윤리에 맞는 논리적인 학생 자신의 연구계획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전필 / 학사
본 과목은 지역사회를 하나의 간호 대상으로 하여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이에 근거한 간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실습한다. 그리고 보건소의 사업대상인 모성인구, 영유아인구, 노인인구, 가족계획대상 인구와 결핵환자집단, 만성질환자집단의 건강문제에 관한 보건소의 사업운영 과정을 이해하고 자료분석과 토의를 통해 사업방향을 전망한다. 1. 정부 보건기관의 조직, 기능, 역할을 비교할 수 있다. 2. 보건소의 사업대상 인구에 대한 보건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3.보건소를 이용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집단 보건교육을 할 수 있다. 4. 지역사회를 단위로 건강뭉제를 사정하여 간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5. 지역사회 거주 건강문제자에 대해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약학 전반 또는 전공별의 최신 연구내용을 최근 발간된 국내외 학술지 게재논문을 통하여 파악, 학습함. 최신 학술 논문의 연구목적, 방법, 결과 및 고찰전선 / 대학원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다양한 산업에서 AI의 활용이 확산되고 있으며, 보건의료 분야 또한 예외가 아니다.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도 AI는 의료 서비스 혁신을 촉진하고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AI의 적용 현황과 발전 동향을 분석하고, 간호 과정에서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접근 방안을 탐구한다. 특히, 간호 문제의 발견, 해결책 설계, 성과 평가 등 전 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습득하고, 관련 법ᄋ규제 및 윤리적 쟁점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진행한다. 아울러, 본 교과목은 사례 연구 및 실습 중심의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AI 기법을 활용한 간호 문제 해결 방안을 직접 적용하고 평가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AI 기반 간호 혁신을 위한 실무적 역량을 강화하고, 간호 과정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실험디자인과 논문작성> 의 기초과목으로 개설된다. 생명윤리와 관련된 연구-출판윤리를 기초로 생명공학 전공자들이 반드시 알아야할 과학의 기초와 과학사, 대학과 기업의 연구자가 지켜야할 연구기법, 기본통계, 연구윤리, 품질관리, 지적재산권 및 논문작성 등 관련 기본적 원리와 방법에 관한 지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본 강좌는 농생명과학 및 의과학 분야 교수들에 의해 팀 티칭으로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