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의학과
신경근육질환은 척수, 척수뿌리, 뇌신경, 말초신경, 근신경접합부와 근육의 장애로 발생하는 질환들이다. 이 과목에서는 이 분야 질환들의 최신 지견에 대한 강의와 토론, 논문리뷰를 통하여 이 질환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임상연구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한다.
loading...
의과대학 의학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의생명과학 연구자를 위한 연구 윤리(M1923.011800) , 연구 윤리(990.501A)
신경근육질환은 척수, 척수뿌리, 뇌신경, 말초신경, 근신경접합부와 근육의 장애로 발생하는 질환들이다. 이 과목에서는 이 분야 질환들의 최신 지견에 대한 강의와 토론, 논문리뷰를 통하여 이 질환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임상연구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한다.
Clinical adult neurology
Clinical adult neurology
Aesthetic rhinoplasty
Aesthetic rhinoplasty
Practical neurology
Practical neurologyConservative management of sports injuries
Conservative management of sports injuries
Samii's essentials in neurosurgery
Samii's essentials in neurosurgery
다문화 이해와 건강 =
다문화 이해와 건강 =
Manual of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Manual of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여성과 건강 =
여성과 건강 =
근골격계 치료를 위한 보톡스 주사
근골격계 치료를 위한 보톡스 주사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과 건강관리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과 건강관리
Arthritis and you : a comprehensive digest for patients and caregivers
Arthritis and you : a comprehensive digest for patients and caregivers
Diagnosis of lameness in dogs
Diagnosis of lameness in dogs
Merritt's neurology
Merritt's neurology
Injuries to the major branches of peripheral nerves of the forearm
Injuries to the major branches of peripheral nerves of the forearm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Acta Neurochirurgica
Forster M.,Baumgarten P.,Gessler F.,Maurer G.,Senft C.,Hattingen E.,Seifert V.,Harter P.,Franz K.Abdominal Radiology
Paparo F.,Peirano A.,Matos J.,Bacigalupo L.,Rossi U.,Mussetto I.,Bottoni G.,Ugolini M.,Introini C.,Ruggieri F.G.,Rollandi G.A.,Piccardo A.Medicina
Margarita Rugaitienė; Gytė Damulevičienė; Vita Lesauskaitė; Ingrida UlozienėJournal of Clinical Medicine
Tsai M.J.,Liou D.Y.,Lin Y.R.,Weng C.F.,Huang M.C.,Huang W.C.,Tseng F.W.,Cheng H.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You Q.S.,Wang J.,Guo Y.,Pi S.,Flaxel C.J.,Bailey S.T.,Huang D.,Jia Y.,Hwang T.S.Therapeutic Advances in Neurological Disorders
Li X.L.,Han J.,Zhao H.T.,Long Y.M.,Zhang B.W.,Wang H.Y.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Carr B.W.,Severance S.E.,Bell T.M.,Zarzaur B.L.Acta radiologica (Stockholm, Sweden : 1987)
Du J; Li K; Wang W; Jhonatan FY; Zhang W; Yang H; Huang LJournal of endourology
Olivero A; Dell'Oglio P; Bocciardi AM; Galfano AJCO Global Oncology
Alsughayer A.M.,Dabbagh T.Z.,Abdel-Razeq R.H.,Al-Jussani G.N.,Alhassoon S.,Sughayer M.A.Egyptian Journal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El-Rawy, Aya S.; Abdallah, Hoda Y.; Suliman, Marwa A.; Habba, Mohamed R.; Gad, Azza A.Neurospine
Atul GoelExperimental Neurology
Strotton M.C.,Bodey A.J.,Wanelik K.,Hobbs C.,Rau C.,Bradbury E.J.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Xin L; Tan GY; Zhang Q; Zhang Q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Aït-Si-Selmi T.,Marie-Hardy L.,O’Loughlin P.F.,Kobayashi K.,Müller J.H.,Saffarini M.,Bonnin M.P.World Neurosurgery
Debono B.,Lotterie J.A.,Sol J.C.,Bousquet P.,Duthil P.,Monfraix S.,Lazorthes Y.,Sabatier J.,Latorzeff I.Bone Marrow Transplantation
Sharrack B.,Saccardi R.,Alexander T.,Badoglio M.,Burman J.,Farge D.,Greco R.,Jessop H.,Kazmi M.,Kirgizov K.,Labopin M.,Mancardi G.,Martin R.,Moore J.,Muraro P.A.,Rovira M.,Sormani M.P.,Snowden J.A.,Snowden J.,Saccardi R.,McGrath E.,Bambi F.,Sanchez-Guijo F.,Worel N.,Snowden J.,Alexander T.,Badolglio M.,Abinun M.,Arnold R.,Brierley C.,Burman J.,Castilla-Llorente C.,Cooper N.,Daikeler T.,del Papa N.,Farge D.,Finke J.,Reax R.,Hagglund H.,Henes J.,Hiepe F.,Jessop H.,Kiely D.,Labopin M.,Kazmi M.,Kirgizov K.,Mancardi G.,Marjanovic Z.,Martin R.,Martin T.,Ma D.,Moore J.,Miller P.,Muraro P.,Oliveira M.C.,Polushin A.,Onida F.,Simoes B.,Puyade M.,Resnick I.,Rovira M.,Saccardi R.,Saif M.,Sakellari I.,Sharrack B.,Snarski E.,Scherer H.U.,Sossa C.,de Vries-Bouwstra J.,Wulffraat N.,Zaccara E.Urologia internationalis
Huang HN; Sun YH; Liu X; Tao WQJournal of Pathology: Clinical Research
Zhang X.,Fan X.,Sun C.,Wang L.,Miao Y.,Wang L.,Yang P.,Xu Y.,Ren X.,Wu X.,Xu S.World Neurosurgery
Zhang S.,Zhao H.,Sa R.,Qin X.,Qu L.,Wang Y.,Deng S.,Yu H.,Xu 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저작근 및 저작에 관련된 두경부근의 해부와 생리 및 병리적 변화에 대한 최근 연구를 고찰한다.전선 / 대학원
방사선 치료는 3대 항암 치료중 하나로, 전체 암 환자의 1/3이상이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체부 정위 방사선 치료법, 양성자 및 중성자 치료와 같은 매우 다양하고 고난도의 방사선 치료기술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종양이 재발 하는데, 이를 설명하는 생물학적 기전은 충분 하지 않다. 본 교과 과정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방사선 치료 기술을 이해하고, 종양 생물학적으로 방사선 치료에 내성을 가질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공부한다. 나아가 최신 임상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중개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진다.전선 / 대학원
신경외과학의 한분야인 척추 및 척수에 관한 임상지식 및 연구현황에 관하여 알아보는 강좌이다. 구체적으로는 척추 및 척수의 해부학, 혈류분포, 척추의 생체역학적 측면 및 척추, 척수의 흔한 질환 등에 관하여 알아보고 현재 이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연구상황에 관하여 고찰해봄으로써 임상활동의 수행 및 연구에의 응용에 유용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턱얼굴분야의 경조직 및 연조직 성형수술을 다룬다. 턱얼굴해부의 기초적인 이해를 토대로 턱얼굴미용외과학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자한다. 강좌는 비성형술, 안검성형술, 주름제거술, 광대뼈성형술, 우각부 축소술, 지방흡입술로 세분화되어 있다.전선 / 대학원
내과학을 전공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여 각종 소화기질환의 병태생리, 역학, 임상상, 진단방법 및 치료법을 숙지시킨다. 특히 발전된 각종 내시경 검사의 시술방법 및 검사소견의 판독,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방법을 소개하고, 소화기운동 검사법 및 결과의 임상적 해석을 이해시킨다. 분자생물학을 이용한 유전자 이상과 소화기질환의 관련성, 그 진단적 응용을 이해토록 한다.전선 / 대학원
상부 기도 및 위장관이 위치하는 두경부에서 발생하는 암종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원칙과 임상적 결과를 그 효과 향상기법의 이해를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치의학은 아동의 신체 전반적인 성장과 두개안면부의 성장에 대해서 매우 오래 전부터 관심을 가져왔었고, 단순히 성장의 양상을 추적하여 보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성장 패턴의 분석과 함께 앞으로의 성장 양상을 예측하고자 하는 노력을 경주해왔다. 본 강좌에서는 신체 성장 및 안면 성장의 패턴에 대해 현재까지 밝혀진 바와, 성장 예측 알고리즘을 수립하는 데 관계된 연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관절장애와 함께 측두하악장애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알려진 근육동통장애의 한 종류이며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근막동통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 능력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유방암 치료는 유방암 아형 병태생리, 병기를 포함한 위험인자 및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치료, 호르몬요법, 표적치료 등 다양한 다학제 요법의 이해 및 적합한 임상적용이 필요하다. 이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은 유방암 방사선치료 원리와 근거를 이해하고 유방암 방사선치료와 연관 주제의 최신 연구 결과 고찰과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임상적 의사결정방법을 숙지한다. 수강 학생은 유방 방사선치료의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침윤성 유방암의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 범위, 분할조사법, 부분유방방사선치료, 방사선치료의 생략 및 유방절제수술 후 치료적응증, 치료범위, IMRT 등 치료기법 등을 문헌고찰, 토론, 임상증례를 통하여 학습하게 되고 유방상피내암의 방사선치료도 학습한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임상 증례를 이용한 학습법을 통해 학생이 습득한 지식과 의사결정을 임상에 적용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체득할 수 있게 한다. 이 강좌를 통하여 근거 기반 유방암 방사선치료 관련 결정 능력 습득 및 추후 독립적으로 연구결과를 비판적 수용할 수 있는 자가 학습능력을 갖추게 된다.전필 / 학사
근골격, 피부 및 감각기계의 해부, 생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 학생들에게 근골격, 피부 및 감각기계의 구조와 기능을 질환과 연결하여 익히게 하며, 질환의 병리, 발생 기전 및 병태생리를 이해하게 한다. 나아가 이들 주요 질환의 진단과 치료의 기본 원칙에 대해서 이해하게 하며, 주요한 임상표현에 대해서는 실제 환자의 증례를 가지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임상교육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비봉합 판막과 같은 새로운 장비가 개발되고, 로봇 수술과 같은 새로운 접근법이 개발됨에 따라 흉부외과 영역의 수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이러한 흉부외과 수술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전박적인 이해를 돕는다.전필 / 대학원
본 과정을 통하여 신환처리 시 신환명부 작성, charting, 담당치과의사 결정과정, 치료계획수립, observation과 assist case, student clinic위치, 환자선정, 치료시간약속, 진료시 준수사항, 기구, case 정리, 치료 종료 후 환자 관리, 기타 사항 등의 전반적인 치료과정을 습득시키게 하며,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에 대하여 보조하고 시술과정에 참여한 후, 환자에 대한 치료를 직접 시술함으로써 치과의사로서의 어린이의 전반적인 질환에 대처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전선 / 학사
본 강의는 언어 빅데이터인 코퍼스에 기반한 응용언어학 개론이다. 학생들은 본 강의를 통해 코퍼스를 활용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어휘와 문법 연구, 언어 학습과 교육, 제2언어습득, 사회언어학 등 주요 응용언어학 분야에서의 코퍼스 활용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응용언어학 분야에서 다루는 언어 관련 실제 문제들과 이를 해결하는 데 언어 빅데이터가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복합조직 동종이식은 아직은 낯선 개념으로 영어로는 Composite Tissue Allotransplantation (CTA), 또는 Vascularized Composite Allotransplantation (VCA)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우리몸의 내장기관인 심장, 폐, 간장, 신장 이식 등과 다르게 복합조직이식은 피부, 연골, 근육, 신경, 혈관, 골조직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팔, 다리, 안면 등의 부위를 이식하는 기술을 뜻한다. 전 세계적으로 미국과 유럽이 이 분야를 주도하고 있으며 최근 아시아 및 제3세계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활발히 연구 및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팔과 다리의 절단상 및 안면의 심한 화상 등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정도의 심각한 신체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공여자인 뇌사자의 팔과 다리, 안면부를 체취하여 수여자에게 이식함으로써 이식수술 후 수여자가 정상적인 일상생황을 영위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수술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원 과정을 통하여 이와 관련된 역사적 발전과정, 간략한 수술기법소개, 면역학적 거부반응, 면역억제, 세포치료기술 등에 대해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안질환 치료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축 중 하나는 수술적 치료법이다. 안과에서 시행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술인 백내장 수술에서부터 섬유주절제술, 유리체절제술, 눈꺼풀 성형술, 사시 수술에 이르기까지 안과 수술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최근 장비의 발달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 강좌를 통하여 여러 안과 수술의 기초에 대하여 익히고, 최근 발달 사항들을 공유하여 최신 지견을 갖추고자 한다. 또한, 현재 개발 단계인 장비 및 수술법도 소개하여 향후 안과 수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도 익히고자 한다.전필 / 대학원
질병과 건강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며, 생물학적 손상의 의미를 세포에서 출발하여 전신으로 확대시키면서 이해한다. 동시에 두경부 영역의 해부학적구조의 이해를 통해 구강질환에 대한 이해의 기본적인 영역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수목병의 원인, 병발생, 진단, 관리 및 치료 등 수목병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생물적 요인과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각각의 수목병의 원인과 방제 및 치료법을 숙지하여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수목병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