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간호대학 간호학과 / 학사
본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출생으로 부터 죽음에 이르는 전 생애에 걸친 인간의 발달단계별 건강 특성과 건강증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하여 인간발달에 대한 이론적 접근, 각 발달단계별 신체적, 사회심리적 특성, 건강과 질병의 개념변화, 그리고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 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간호과정 적용 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Sense of place, health and quality of life
Sense of place, health and quality of life
Health promotion strategies through the life span
Health promotion strategies through the life span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Coping and emotion in sport
Coping and emotion in sport
Dianetics : the modern science of mental health
Dianetics : the modern science of mental health
프레즌스 : 위대한 도전을 완성하는 최고의 나를 찾아서
프레즌스 : 위대한 도전을 완성하는 최고의 나를 찾아서
Postfoundational approaches to qualitative inquiry
Postfoundational approaches to qualitative inquiry
Counseling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 : a subversive model
Counseling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 : a subversive model
문화적 다양성과 소통하기 : 다문화상담의 이해
문화적 다양성과 소통하기 : 다문화상담의 이해
Changing patterns in mental health care
Changing patterns in mental health care
Allgegenwart von Gewalt
Allgegenwart von Gewalt
Comparative perspectives on gender violence : lessons from efforts worldwide
Comparative perspectives on gender violence : lessons from efforts worldwide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 focus and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 focus and methods
The effects of transitions in filial caregiving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 A prospective U. S. national study
The effects of transitions in filial caregiving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 A prospective U. S. national study
질적 연구의 이해 : 포스트실증주의 전통의 관점에서
질적 연구의 이해 : 포스트실증주의 전통의 관점에서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for health : rising to the challenge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for health : rising to the challenges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Therapeutic Advances in Gastroenterology
Lang B.M.,Ledergerber M.,Jordi S.B.U.,Krupka N.,Biedermann L.,Schreiner P.,Juillerat P.,Wyss J.,Vavricka S.R.,Zeitz J.,von Känel R.,Rogler G.,Beerenwinkel N.,Misselwitz B.PLoS ONE
Dougall I.,Vasiljevic M.,Kutlaca M.,Weick M.Digital Health
Hayley M Jackson; Amelia Gulliver; Penelope Hasking; Liana Leach; Philip J Batterham; Alison L Calear; Louise M FarrerJournal of Urban Affairs
Bandauko E.,Asare A.B.,Arku G.Journal of Community Health
Pavlova I.,Rogowska A.M.,Zhang S.X.Lancet regional health. Americas
Joseph G; Branas CC; Rupnarain S; Riutort M; Morrison CNChild Abuse and Neglect
Smith A.,Bryson H.,Gartland D.,Mensah F.,Wood C.E.,Price A.Social Science and Medicine
Dobewall H.,Sirniö O.,Vaalavuo M.BMJ OPEN
Huntley, Alyson L.; Potter, Lucy; Williamson, Emma; Malpass, Alice; Szilassy, Eszter; Feder, GeneEuropean Journal of Psychotraumatology
Timofeiov-Tudose I.G.,Măirean C.Journal of Clinical Nursing
Zhang Y.,Guan C.,Jiang J.,Zhu C.,Hu X.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
Li J.,Jia R.x.,Li J.y.,Qian S.,Wang Y.q.,Xu Y.Respiratory Medicine
Roberts N.J.,McAloney-Kocaman K.,Lippiett K.,Ray E.,Welch L.,Kelly C.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Pascoe A.,Paul E.,Johnson D.,Putland M.,Willis K.,Smallwood N.Journal of public health (Oxford, England)
Witt K.,Milner A.,Chastang J.F.,LaMontagne A.D.,Niedhammer I.BMC Public Health
Giebel C.,McIntyre J.C.,Alfirevic A.,Corcoran R.,Daras K.,Downing J.,Gabbay M.,Pirmohamed M.,Popay J.,Wheeler P.,Holt K.,Wilson T.,Bentall R.,Barr B.Mindfulness
Li Q.,Wu J.,Wu Q.European Psychiatry
M. Franch-Roca; A. Gabarrell-Pascuet; E. Salomon-Mallat; M. Group; J. M. Haro; P. Cristóbal-NarváezWellbeing, Space and Society
Aubrey Jackson Soller; Erin R. ColemanFRONTIERS IN PSYCHIATRY
Fusar-Poli, Paolo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중노년기의 발달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와 쟁점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모색한다. 전생애발달의 관점에서 신체적·사회적·심리적 영역의 발달적 변화와 연속성에 대한 이론과 실증결과를 검토하고, 다양한 삶의 맥락이 중노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한다.전선 / 대학원
지역사회구강보건, 공중구강보건교육의 개념 및 개발, 보건사업 등에 대해 알아보고, 영유아 및 성인과 노인, 장애인 학교 및 산업 구강보건 등에 관해 학습한다. 또한 지역사회구강보건인력과 지역사회구강보건 인력양성 활용제도에 관해 학습함으로써 지역사회 구강보건을 전반적으로 이해한다. 또한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념과 중요요소를 이해하고, 개별 환자나 집단을 대상으로 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정신병리학의 기초가 되는 개념 및 실험 정신병리학 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주요 정신질환의 연구들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신질환의 신경과학적 연구들에 주안점을 두고 강좌가 진행되어 신경과학적 기초 지식이 요구된다. 강좌는 세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는데 Part 1에서는 정신병리학의 포괄적이고 철학적, 방법론적인 문제들을 다룰 것이며, Part 2에서는 두 개의 대표적인 정신증인 정신 분열병과 양극성 장애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실험정신병리학 연구들에 대한 소개와 논의가 있겠다. 마지막Part 3에서는 신경발달학적 질환들인 치매와 아동 정신병리학을 다루고자 한다. 이 강좌를 신청하는 사람들은 학부의 임상신경심리학 혹은 대학원의 고급 임상신경심리학 이수를 추천한다.전필 / 학사
여성건강간호의 개념과 여성건강 간호 사정을 이해하고, 생식기 질환을 지닌 여성, 임신과 분만, 출산 후 여성(가족 포함), 갱년기 여성, 그리고 심리사회적 건강문제를 지닌 여성을 위한 간호과정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사회조사의 양적 방법, 특히 통계적 분석 기법을 상세하게 다룬다. 주로 연구설계 방법과 사회조사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전선 / 학사
기관이나 시설에 상관없이 사회복지사들은 정신건강문제를 안고 있는 클라이언트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정신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체계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과목은 정신질환의 원인론, 진단론, 치료방법론 및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방법론에 대한 총괄적인 개관을 사회복지학적 입장에서 제시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서 학생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공부하게 된다; (1)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정의, 위상, 및 역사,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윤리, (3) 정신질환의 심리학적, 사회학적, 생물학적 원인론 및 결과론, (4) 정신질환의 진단과 치료, (5) 기타 정신질환의 진단, 치료 및 재활관련 주제전선 / 대학원
글로벌의학에서 건강을 결정하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수준, 집단 내 사회적 관계, 지역 특성, 문화, 정책 등의 다층적이고 다각적인 요인들을 각각 심층 탐색하고 이해한다. 수업을 통해 중저개발국 상황에서 인구집단의 건강을 결정짓는 근본적인 원인으로서의 사회적 맥락과 조건을 배운다. 인류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정책학, 국제관계학 등에서 이론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글로벌의학 배경에서 건강의 결정 요인들을 살펴보고,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략과 정책, 사업 등을 토의한다.전선 / 학사
이 수업에서는 참여관찰과 현장연구와 같은 대표적인 인류학 연구방법을 질적연구 방법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연결시켜 논의하고, 보다 최근 출현한 질적 연구방법의 사례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현장연구와 참여관찰 방법뿐 아니라,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적 연구, 사례 연구, 근거 이론을 이해하고, 보다 최근의 질적연구방법으로 사진, 영상, 디지털(가상영역) 애스노그래피가 발전해 온 과정을 이해한다. 수업 말미에는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발표, 토론하는 시간을 가진다.전선 / 대학원
정신건강은 최근 한국 및 국제 사회의 심각한 보건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강좌에서 학생들은 정신건강과 질환의 개념과 관련된 이론과 관점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맥락에서 중요한 정신건강관련 주제들과 생애주기에 따른 정신건강 위험집단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또한 국·내외 정신건강과 질환의 역학, 그리고 정신건강/질환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정신건강증진 전략, 정신건강 서비스와 관리체계, 그리고 정책적 접근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 정책, 실무에의 시사점을 도출한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간호대상자인 개인, 가족, 집단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간호실무 현장에서 건강교육 및 상담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특히 본 교과목은 전통적인 건강교육의 원리 및 전략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최근 증가하고 있는 대중매체 기반 건강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전반적인 보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예: 취약계층 접근 전략, 특정 건강이슈에 대해 대중의 관심을 일으키는 전략, 다양한 세팅에서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 전략 등)를 포함한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에서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발단단계별 아동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전략을 탐색한다, 그리고 급・만성 환아의 주요 질환을 이해하고 환아와 가족에 대한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둔다.전선 / 대학원
소아청소년의 정상 발달과 주요 정신질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심리사회적 측면과 생물학적 측면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며,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뇌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 질환들의 경우에는 역학, 증상, 진단, 원인, 치료, 예후 등을 심도 있게 고찰하고 이해하며, 새로운 진단 및 치료 방법 등의 최신 지견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이 유망한 미해결 영역 등 흥미로운 연구 주제를 선택하여 스스로 가설을 도출해 보도록 격려하고 이에 대한 토론을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보건주제에 관한 정보전달, 의사소통, 의사결정, 홍보 및 지지를 위한 보건 커뮤니케이션의 이론, 기획, 평가, 연구에 대해 학습하고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미디어와 보건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논의한다. 보건 커뮤니케이션 대상, 참여자들의 특성파악, 커뮤니케이션 주제의 선정 및 세부조사,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행 및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학습하고 사회마케팅, 의료정보이해능력 등 보건 커뮤니케이션 관련 주제들을 다룬다.전필 / 학사
인간·사회·의료 6은 ‘환자돌봄’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진다. 완화의료, 임종환자와 가족과의 소통, 심리사회적‧영적돌봄, 법적‧윤리적 문제 등에 대해 시나리오를 통한 토론과 발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다.전선 / 대학원
여성 건강은 생식 건강 문제 이외에도 젠더, 생물학적,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건강문제 및 여성건강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교과목은 여성 건강문제를 페미니즘을 비롯한 다양한 여성건강 관점에 입각하여 여성건강을 해석하고,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의 주요 건강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변인들을 통합하여 해결할 수 있는 간호사의 전문적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