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뇌인지과학과
본 강좌는 세미나 형식을 빌어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뇌인지과학분야의 최근의 연구들을 폭넓게 접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농경제사회학부
본 과목은 시장경제 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다양한 현실적 경제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 행위와 의사결정 과정을 학습하며, 최적 생산을 위한 생산자 의사결정과 시장형태별 차이를 학습한다. 소비자 이론과 생산자 이론을 기반으로 시장균형의 결정과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며, 생산요소 시장으로서의 노동시장과 소득 분배 문제를 다룬다.수리과학부
이 과목은 이공계열 신입생을 위한 기초 교양수학과목으로, 주된 내용은 미적분학이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함수의 극한, 삼각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 등을 포함한 여러 함수의 미분법과 그 응용, 정적분과 부정적분의 계산법과 그 응용 등에 익숙한 학생을 수강대상으로 한다. 첫 번째 구체적인 목표는 테일러 정리를 포함하는 기본적인 거듭제곱급수 이론 및 특정한 함수의 거듭제곱급수 표현에 대한 이해이다. 함수의 거듭제곱급수 표현을 이용하면 함수 값을 임의로 정밀하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기법은 이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번째 목표로는 평면과 공간의 여러 가지 좌표계, 벡터, 행렬, 행렬식, 선형사상, 곡선 등에 대한 이해이다. 이 개념들은 공간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내용으로, 그 자체로서도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연계과목 <수학 2>에서 주로 다루게 될 다변수함수 미적분의 기초가 된다.물리·천문학부
인문·사회 계열 또는 일부 자연계열 학생들을 위해 물리학에 관한 기초 및 교양을 제공하는 단학기 과목으로 물리학 전반에 걸쳐 기본적인 내용을 배운다. 특히 물질세계에 대해 과학적 시야를 갖도록 힘과 운동, 중력, 파동, 전기 및 자기현상, 원자세계의 양자이론 등 물질세계의 특성을 쉽게 다룬다.
loading...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치의학신입생세미나(M2189.000100) , 기계산업경영 1(M2794.004500)
인문·사회 계열 또는 일부 자연계열 학생들을 위해 물리학에 관한 기초 및 교양을 제공하는 단학기 과목으로 물리학 전반에 걸쳐 기본적인 내용을 배운다. 특히 물질세계에 대해 과학적 시야를 갖도록 힘과 운동, 중력, 파동, 전기 및 자기현상, 원자세계의 양자이론 등 물질세계의 특성을 쉽게 다룬다.
Mathematical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Mathematical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Biophysics : searching for principles
Biophysics : searching for principlesCollege physics
College physics
Accretion : a collection of influential papers
Accretion : a collection of influential papers
Cosmos
Cosmos
Gauge field theories
Gauge field theories
Physics : its methods and meanings
Physics : its methods and meanings
Physics : concepts & connections
Physics : concepts & connections
200 more puzzling physics problems with hints and solutions
200 more puzzling physics problems with hints and solutions
Astrophysical jets and their engines : proceedings
Astrophysical jets and their engines : proceedingsGraphical methods of spin algebras in atomic, nuclear, and particle physics
Graphical methods of spin algebras in atomic, nuclear, and particle physics
Le Hasard et la matière = Chance and matter
Le Hasard et la matière = Chance and matter
Handbook of CCD astronomy
Handbook of CCD astronomyCollege physics
College physics
Galaxies in the young universe : proceedings of a workshop held at Ringberg Castle, Tegernsee, Germany, 22-28 September 1994
Galaxies in the young universe : proceedings of a workshop held at Ringberg Castle, Tegernsee, Germany, 22-28 September 1994
누구나 천문학 : 생활 속에서 재미있게 배우는 천문학 백과사전 =
누구나 천문학 : 생활 속에서 재미있게 배우는 천문학 백과사전 =Physical relativity : space-time structure from a dynamical perspective
Physical relativity : space-time structure from a dynamical perspective
Field theory and collective phenomena : in memory of professor Hiroomi Umezawa : Perugia, Italy, 28-31 May 1992
Field theory and collective phenomena : in memory of professor Hiroomi Umezawa : Perugia, Italy, 28-31 May 1992
Selected topics in gauge theories
Selected topics in gauge theories
Mathematical physics in one dimension : exactly soluble models of interacting particles
Mathematical physics in one dimension : exactly soluble models of interacting particles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Rodriguez F.,Merchán M.,Artale M.C.,Andrews M.The Astrophysical Journal
Adam Ingram; Niek Bollemeijer; Alexandra Veledina; Michal Dovčiak; Juri Poutanen; Elise Egron; Thomas D. Russell; Sergei A. Trushkin; Michela Negro; Ajay Ratheesh; Fiamma Capitanio; Riley Connors; Joseph Neilsen; Alexander Kraus; Maria Noemi Iacolina; Alberto Pellizzoni; Maura Pilia; Francesco Carotenuto; Giorgio Matt; Guglielmo Mastroserio; Philip Kaaret; Stefano Bianchi; Javier A. García; Matteo Bachetti; Kinwah Wu; Enrico Costa; Melissa Ewing; Vadim Kravtsov; Henric Krawczynski; Vladislav Loktev; Andrea Marinucci; Lorenzo Marra; Romana Mikušincová; Edward Nathan; Maxime Parra; Pierre-Olivier Petrucci; Simona Righini; Paolo Soffitta; James F. Steiner; Jiří Svoboda; Francesco Tombesi; Stefano Tugliani; Francesco Ursini; Yi-Jung Yang; Silvia Zane; Wenda Zhang; Iván Agudo; Lucio A. Antonelli; Luca Baldini; Wayne H. Baumgartner; Ronaldo Bellazzini; Stephen D. Bongiorno; Raffaella Bonino; Alessandro Brez; Niccolò Bucciantini; Simone Castellano; Elisabetta Cavazzuti; Chien-Ting Chen; Stefano Ciprini; Alessandra De Rosa; Ettore Del Monte; Laura Di Gesu; Niccolò Di Lalla; Alessandro Di Marco; Immacolata Donnarumma; Victor Doroshenko; Steven R. Ehlert; Teruaki Enoto; Yuri Evangelista; Sergio Fabiani; Riccardo Ferrazzoli; Shuichi Gunji; Kiyoshi Hayashida; Jeremy Heyl; Wataru Iwakiri; Svetlana G. Jorstad; Vladimir Karas; Fabian Kislat; Takao Kitaguchi; Jeffery J. Kolodziejczak; Fabio La Monaca; Luca Latronico; Ioannis Liodakis; Simone Maldera; Alberto Manfreda; Frédéric Marin; Alan P. Marscher; Herman L. Marshall; Francesco Massaro; Ikuyuki Mitsuishi; Tsunefumi Mizuno; Fabio Muleri; Chi-Yung Ng; Stephen L. O’Dell; Nicola Omodei; Chiara Oppedisano; Alessandro Papitto; George G. Pavlov; Abel L. Peirson; Matteo Perri; Melissa Pesce-Rollins; Andrea Possenti; Simonetta Puccetti; Brian D. Ramsey; John Rankin; Oliver J. Roberts; Roger W. Romani; Carmelo Sgrò; Patrick Slane; Gloria Spandre; Douglas A. Swartz; Toru Tamagawa; Fabrizio Tavecchio; Roberto Taverna; Yuzuru Tawara; Allyn F. Tennant; Nicholas E. Thomas; Alessio Trois; Sergey S. Tsygankov; Roberto Turolla; Jacco Vink; Martin C. Weisskopf; Fei Xie; IXPE CollaborationAstronomy and Astrophysics
Burd P.R.,Kadler M.,Mannheim K.,Baczko A.K.,Ringholz J.,Ros E.Physical Review D
Vieira H.S.,Destounis K.,Kokkotas K.D.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Nawata, Satoshi; Sperling, Marcus; Wang, Hao Ellery; Zhong, ZhenghaoJournal of Cosmology and Astroparticle Physics
Regis M.,Reynoso-Cordova J.,Filipović M.D.,Brüggen M.,Carretti E.,Collier J.,Hopkins A.M.,Lenc E.,Maio U.,Marvil J.R.,Norris R.P.,Vernstrom T.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Martí Berenguer; Anshuman Dey; Javier Mas; Juan Santos-Suárez; Alfonso V. RamalloJournal of Cosmology and Astroparticle Physics
Nakagawa S.,Takahashi F.,Yamada M.The Astronomical Journal
Nicole L. Wallack; Natasha E. Batalha; Lili Alderson; Nicholas Scarsdale; Jea I. Adams Redai; Artyom Aguichine; Munazza K. Alam; Peter Gao; Angie Wolfgang; Natalie M. Batalha; James Kirk; Mercedes López-Morales; Sarah E. Moran; Johanna Teske; Hannah R. Wakeford; Nicholas F. WoganInternational Journal of Geometric Methods in Modern Physics
S. Christina; T. Ibungochouba Singh; I. Ablu MeiteiAstronomy and Astrophysics
Collaboration H.E.S.S.,Abdalla H.,Aharonian F.,Ait Benkhali F.,Angüner E.O.,Arakawa M.,Arcaro C.,Armand C.,Arrieta M.,Backes M.,Barnard M.,Becherini Y.,Becker Tjus J.,Berge D.,Bernlöhr K.,Blackwell R.,Böttcher M.,Boisson C.,Bolmont J.,Bonnefoy S.,Bordas P.,Bregeon J.,Brun F.,Brun P.,Bryan M.,Büchele M.,Bulik T.,Bylund T.,Capasso M.,Caroff S.,Carosi A.,Casanova S.,Cerruti M.,Chakraborty N.,Chand T.,Chandra S.,Chaves R.C.G.,Chen A.,Colafrancesco S.,Condon B.,Davids I.D.,Deil C.,Devin J.,Dewilt P.,Dirson L.,Djannati-Ataï A.,Dmytriiev A.,Donath A.,Doroshenko V.,Drury L.O.C.,Dyks J.,Egberts K.,Emery G.,Ernenwein J.P.,Eschbach S.,Fegan S.,Fiasson A.,Fontaine G.,Funk S.,Füßling M.,Gabici S.,Gallant Y.A.,Gaté F.,Giavitto G.,Glawion D.,Glicenstein J.F.,Gottschall D.,Grondin M.H.,Hahn J.,Haupt M.,Heinzelmann G.,Henri G.,Hermann G.,Hinton J.A.,Hofmann W.,Hoischen C.,Holch T.L.,Holler M.,Horns D.,Huber D.,Iwasaki H.,Jacholkowska A.,Jamrozy M.,Jankowsky D.,Jankowsky F.,Jouvin L.,Jung-Richardt I.,Kastendieck M.A.,Katarzyński K.,Katsuragawa M.,Katz U.,Kerszberg D.,Khangulyan D.,Khélifi B.,King J.,Klepser S.,Kluzniak W.,Komin N.,Kosack K.,Kraus M.Physical Review D
Nam S.I.The Astrophysical Journal
L. R. Cullinane; Karoline M. Gilbert; Ivanna Escala; J. Leigh Wojno; Evan N. Kirby; Kateryna A. Kvasova; Erik Tollerud; Michelle L. M. Collins; R. Michael RichLogic Journal of the IGPL
Santiago Iglesias Álvarez; Enrique Díez Alonso; Javier Rodríguez Rodríguez; Saúl Pérez Fernández; Ronny Steveen Anangonó Tutasig; Carlos González Gutiérrez; Alejandro Buendía Roca; Julia María Fernández Díaz; Maria Luisa Sánchez Rodríguez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Beskin V.S.,Litvinov P.E.Annals of Physics
Oikonomou V.K.Astrophysical Journal
Park S.M.,Chun K.,Shin J.,Jeong H.,Lee J.H.,Pak M.,Smith R.,Kim J.W.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Hambaryan V.,Stoyanov K.A.,Mugrauer M.,Neuhäuser R.,Stenglein W.,Bischoff R.,Michel K.U.,Geymeier M.,Kurtenkov A.,Kostov A.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Huang N.,Sadykov V.M.,Xu Y.,Jing J.,Wang H.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Chang L.J.,Necib L.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역학, 열역학, 전자기학이라는 전통적인 물리의 성공적인 정착 이후, 우리 인류는 지난 100여년간 양자 역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물리에 대한 큰 발전을 목격하였다. 이제 양자 물리는 소립자 단위의 상호작용과 광활한 우주 전체의 형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자연 대상에서 적용되어, 우리 인류의 자연에 대한 이해를 혁명적으로 바꾸게 하였다. 이 교과목은 앞으로 물리학을 전공하거나 관련된 영역에서 물리학을 활용할 대학생이, 양자 역학 개념의 근간을 이루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현대물리 실험을 수행한다. 동시에, 이 같은 역사적 실험의 결과로 발전된 원자, 고체, 핵, 입자 물리 영역의 대표적인 실험 개념을 이해하고 체험하고자 한다. 이 과목은 매주 한 시간의 강의와 네 시간의 실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과목에서, 빛의 양자화, 물질의 파동성과 입자성을 포괄하는 이중성, 보어의 원자 모형을 낳게 한 원자 분광학 등, 현대 물리의 핵심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 된 중요한 실험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예시 실험에는, 흑체 복사,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플랑크-헤르츠 실험, 수소 가스, 네온 가스 등의 분광학, 광전 효과, 홀효과 실험 등이 포함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최근에 연구가 많이 되고 있는 이론천문 분야의 주제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물리학습이론의 변천사를 통해서 현대 물리학습이론의 특성을 이해하고, 역학, 전자기, 광학, 현대물리, 열물리 등 각 물리 내용 영역에 대한 적절한 학습지도 방법을 강구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에서는 양자역학의 기초 및 응용을 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통계역학의 기본적 내용을 설명한다. 즉, 파동과 입자의 양면성에 대한 설명에서 시작하여 슈뢰딩거 방정식을 기초로 터널링 현상, 수소원자, 분자의 에너지 준위, 섭동이론, 빛과 원자의 상호작용 및 레이저 등을 강의하고, 반도체와 광학의 이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통계역학의 기본 개념과 기본적 에너지 띠 이론을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에서는 천체 현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물리 현상 중에서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복사, 중력, 그리고 유체 역학을 다룬다. 천문학의 관측은 대개 천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이용하게 되기 때문에 빛이 발생되어 관측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이다. 천체의 운행을 지배하는 것은 중력이며 대개의 천체는 집단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체 천체역학도 천체물리학에서 자주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또 우주 공간의 대부분은 유체로 이루어져 있어 유체 역학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천문학적 현상을 해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크게 이 세 분야를 기본적 원리로부터 접근하여 향후 연구 수행에 바탕이 되도록 한다.전선 / 학사
항성과 항성계(이중성, 성협, 성단 등)의 기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천체물리를 학습하며, 항성의 진화를 공부한다.전선 / 학사
20세기 중반에 시작된 전파관측천문학은 오늘날 천문학의 크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주의 배경온도가 약 3 K으로 매우 낮고 별과 행성이 탄생하는 영역 또한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성간의 분자운이다. 이러한 저온의 대상은 광학관측 대신 전파관측으로 연구한다. 밀도가 낮은 고에너지 플라즈마 영역에 대한 연구도 전파관측이 중요하다. 이 강의는 복사와 전파망원경과 같은 전파관측천문학의 일반적인 내용과 함께 전파간섭계의 원리와 전파간섭계 자료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앞으로도 계속 그 중요성이 커질 전파관측천문학에 대한 이러한 지식과 경험은 천문학자의 기본 소양이 될 뿐만 아니라 지구과학 교사로서 가져야 할 천문학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전필 / 학사
양자물리의 심화 과정으로 양자물리의 주요 응용과 근사 계산 방법 등을 다룬다. 주요 내용은 대칭성과 각운동량, 섭동이론, 다양한 근사방법 및 산란이론, 양자 정보의 기초 등이다.전선 / 대학원
항성대기에서의 복사장의 성질, 복사와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흡수, 방출, 산란 과정을 학습하고,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서의 연속복사와 복사평형에 의한 에너지 전달 이론을 다룬다. 복사평형과 열역학적 평형상태에서 계산된 각종 대기 모형의 특성을 논하고 이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흡수선의 윤곽을 관측과 비교 분석한다. 실제로 간단한 대기모형을 계산함으로써 항성대기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의 목적은 수리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수학적 엄밀성을 기반으로 물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전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열역학 및 통계역학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선택하게 될 수학의 세부 전공분야에서 등장하는 물리학적인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통찰을 얻고 연구의 기반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전필 / 학사
천문학을 배우려는 학생들에게 이 강좌를 통하여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명로하게 제시하여 주고, 더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하는데 바탕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천체 역학, 천체물리, 태양계, 항성, 은하, 우주론등의 내용을 통해서 다양한 천문학의 분야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수학적, 물리적인 지식을 기본으로 하여 천문학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킬 수 있고, 이론의 습득과 함께 천문학의 각종 자료를 가지고 결과를 도출해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직접 망원경관측을 통해 천체를 관측한다.전선 / 대학원
현대 물리학의 연구에 가장 중요한 토대인 양자역학을 기본 개념에서부터 출발하여 체계적으로 다룬다. 양자역학2 의 주요 내용은 건드림 이론과 변분 이론등의 어림방법, 흩뜨림 이론, 대칭성, 꼭같은 알갱이들, 원자와 분자, 내비침의 양자이론, 상대론적 양자역학 등이다.전선 / 대학원
핵 또는 입자물리학에 관련된 내용의 대학원 석ㆍ박사과정 공통과목으로 물리학과의 석ㆍ박사 교육과정에 유용한 주제를 다룬다. 구체적인 교과 내용은 교육과정상의 필요에 따라 바뀌게 된다.전선 / 대학원
물리천문학부 대학원 석ㆍ박사과정 학생들의 공통과목으로 물리천문학부 석ㆍ박사 교육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운영된다. 물질을 구성하는 핵과 기본입자, 자연의 기본힘틀, 그리고 우주의 생성 및 진화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추구한다.전필 / 학사
기초 천문학 입문으로, 천구좌표, 기초 천체역학, 태양과 태양계 안에 있는 행성들을 관측하고, 물리적 성질, 태양계의 기원, 그리고 기초 천체물리학에서 다루는 복사 기구(機構)등을 다룬다. 간단한 천문학 연습을 통해 천문학 관측 방법과 분석을 실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