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국어국문학과
본 강좌는 대학원에 재학중인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특별히 효과적으로 실시하도록 짜여있다. (1)가상강의에 띄운 '한국의 언어'에 대한 독해 문답 및 리포트 작성, (2) 교실강의에서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의 4 기능을 고루 발달시키도록 배려하여 작문연습 및 구두발표 청취, 한국문화의 이해를 위한 어휘, 문형의 학습과 내용 체험(제기차기, 투호, 윷, 잣불켜기)을 도모하도록 한다. (외국인 논문자격시험 대체교과목)교육학과
이 과목은 교직과목의 하나로 학교교육과 전반적인 사회구조 간의 복합적 관계에 관한 기존의 교육사회학 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사회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생명과학부
생명과학 분야에서 학생이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고 생애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즐겁고 보람된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이다. 학생 자신의 기질 및 성격, 진로 적성, 가치관에 대하여 학생 스스로가 자기 탐색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에 따라 알맞은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실험 위주의 생명과학 분야에서 타인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알아야 사항들, 예를 들어 타인에 대한 이해와 타인과의 관계 시 가져야 할 바람직한 태도 등을 가르치고 실제 연습(실습)을 통해 배운 것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loading...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대학 글쓰기 2: 과학기술글쓰기(F11.203) , 경제원론 1(200.105)
생명과학 분야에서 학생이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고 생애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즐겁고 보람된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이다. 학생 자신의 기질 및 성격, 진로 적성, 가치관에 대하여 학생 스스로가 자기 탐색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에 따라 알맞은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실험 위주의 생명과학 분야에서 타인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알아야 사항들, 예를 들어 타인에 대한 이해와 타인과의 관계 시 가져야 할 바람직한 태도 등을 가르치고 실제 연습(실습)을 통해 배운 것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This year in school science : scientific literacy ... Papers from the 1989 AAAS forum for School Science
This year in school science : scientific literacy ... Papers from the 1989 AAAS forum for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ompetence in the workplace :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ompetence in the workplace :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An evaluation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chools in Korea
An evaluation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chools in KoreaThe nongraded elementary school
The nongraded elementary school
Critical and intercultural theory and language pedagogy
Critical and intercultural theory and language pedagogy
전북 미취업 기혼여성 직업교육실태 분석 및 취업연계 방안
전북 미취업 기혼여성 직업교육실태 분석 및 취업연계 방안
Career information,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development
Career information,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development
The Routledge companion to career studies
The Routledge companion to career studies
Teaching with text-based questions : helping students analyze nonfiction and visual texts
Teaching with text-based questions : helping students analyze nonfiction and visual texts
뻔하지 않은 생각 : 아이디어 번아웃에 필요한 24가지 생각 습관
뻔하지 않은 생각 : 아이디어 번아웃에 필요한 24가지 생각 습관美援與臺灣的職業教育(1950-1965)
美援與臺灣的職業教育(1950-1965)
유학·불학·프로테스탄티즘의 한국특수교육론
유학·불학·프로테스탄티즘의 한국특수교육론
Productivity, education, and training :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roductivity, education, and training :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Redefining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Redefining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Administering the successful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Administering the successful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Think : critical thinking and logic skills for everyday life
Think : critical thinking and logic skills for everyday life
(장애아동) 음악교육 지침서
(장애아동) 음악교육 지침서
Science educ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combining learning with research
Science educ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combining learning with research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职教论坛 / Vocational & Technical Education Forum
庄西真; Zhuang Xizhen柳州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Liuzhou Vocational & Technical College
刘柳; Liu LiuNew Voices in Translation Studies
Horcas-Rufián S.Pedagogy, Culture and Society
Godhe A.L.,Ideland J.,Ollinen K.Medical Education
Scott I.M.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Myonghee YangEurasi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Elmoisheer S.S.,Elsawy H.E.A.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Siani M.,Stahi-Hitin R.,Yarden A.湖北工业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Hubei Industrial Polytechnic
庞芳; 刘振平; PANG Fang; LIU Zhen-pingEnglish21
Eunjung Park; Mae-Ran Park创新创业理论研究与实践 / The Theory and Pracice of Innovation And Entreptrneurship
官凤琴; GUAN Fengqin공학교육연구
한지영한국웰니스학회지
김미진, 이희주, 박진희湖北开放职业学院学报 / Journal of Hubei Open Vocational College
李旋; LI XuanBEHAVIORAL SCIENCES
Krasovska, Olha; Miskova, Nataliya; Veremchuk, AllaEducational Studies
Thomas V.,Peeters J.,De Backer F.,Lombaerts K.职业技术 / ZHIYE JISHU
梁国华; LIANG Guohua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Domínguez Romero E.,Bobkina J.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Jang, Yeon-hee||Cho, Hyunhee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Zhejiang Industry & Trade Polytechnic
孟洁; MENG Ji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세계문학으로 인정받은 러시아 고전 중 몇 작품을 선택하여 내용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심도 있게 고찰한다.논문 / 대학원
대학원 과정에서 나름대로 연구하고 공부한 내용들을 논문으로 엮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기획된 수업이다.논문 / 대학원
아동학 및 가족학을 전공하는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들의 논문지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교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주로 석사학위과정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계획서의 작성에 대한 강의를 하고, 산림과학의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특강을 통하여 각 분야의 최근의 학문적 동향을 접할 기회를 가지게 한다. 학생들의 석사학위 논문을 위한 연구프로젝트의 연구계획서를 작성, 발표하게 하여 연구계획을 사전에 검증받을 기회를 가지며, 또한 자신의 전공분야와 관련된 주제에 대하여 발표한다.전선 / 대학원
수학교육의 성취수준과 수학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연구방법을 배운다. 연구목표를 뒷받침하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법을 배운고 실재 문항을 개발해본다.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하여 성취도와 사고능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배운다. 검사를 실행한 결과자료를 이용하여 문항을 분석하고 갱신한다.전선 / 학사
세계관은 세상을 보는 관점이다. 입시 위주의 교육을 받아왔던 신입생들이 대학의 교육을 접하기 전에 세상을 보는 여러 가지 관점이 있음을 미리 이해하고 관련 서적을 읽고, 연구하고, 토론을 통해 자신의 세계관을 세워갈 수 있도록 인도하여, 궁극적으로는 조화롭게 통일된 세계관을 가지고 자기의 세계관을 변호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학사
스포츠 분야는 가장 인기 있는 전문영역으로 성장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스포츠는 단순히 오락이나 건강증진 활동에 그치지 않으며, 경제, 산업, 방송, 법률, 문화, 교육 그리고 외교와 정치 등 모든 중요한 분야에 그 영향력과 생산력을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예전처럼 코치나 교사중심에서 벗어나, 교육과 연구, 건강과 치료, 산업과 무역, 방송과 언론, 국제개발과 평화 등에 전문직이 급속히 생겨나고 있다. 특히, 스포츠를 내용으로 융합적이고 통합적인 지식과 기술의 적용과 활용이 이루어짐으로써 미래사회의 새로운 전문직 창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도 하다. 본 강좌는 스포츠 직역에 속한 다양한 전문직종에 대한 현장중심의 이해, 전문인의 가치와 윤리 습득, 그리고 핵심전문역량 개발 등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하여 예비스포츠전문인으로서 필요한 한국체육현장에서 강조되는 전문지식과 기량을 습득하고, 이를 중등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기본능력을 함양한다.전선 / 대학원
영어과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이론, 영어 교재 개발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검토하고 학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재의 모형을 개발한다.전선 / 대학원
역사교육은 시간 즉, 과거와 변화를 다루는 특성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그 교육 내용의 선정에 있어서 특유의 범위와 연계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내용의 구조화와 초·중·고 각 과정의 차이를 연구하여야 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중등 수학 교과서에 담긴 예와 예제가 수학적 역량을 함양하는 데 적합한지를 분석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수업에서의 학생 반응 및 대처 방안을 고려함으로써 예비 교사의 중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둔다. 수강생은 수와 연산, 변화와 관계, 도형과 측정, 확률과 통계 등 주요 내용 영역별로 중점 추구하는 수학적 역량의 의미와 하위 요소를 파악한 후, 이를 예와 예제의 변형을 통해 수학 개념, 원리, 법칙의 이해, 수학 과정과 기능, 수학에 대한 가치와 태도의 함양으로 구분하여 개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예와 예제 변형에 기초하여 모의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 후 수학 수업을 전후로 한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 의사결정, 실행, 성찰 역량을 기른다.교양 / 학사
본 강의는 연극적 표현의 이론적, 실천적 경험을 통해 자신과 타인, 보편적 인간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하나의 주제를 관통하는 작품들을 분석하고, 여러 매체를 활용, 연극의 다양한 표현 방식을 경험한다. 실천적 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고, 미적 경험을 심화한다.전선 / 대학원
이 수업은 글로벌서비스러닝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여, 글로벌 사회의 아동가족학 분야 전문가로서의 성장 가능성과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아동가족학의 이론과 연구, 정책과 다양한 지역사회기반 서비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아동과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국제개발협력사업을 구상한다.전선 / 대학원
학생들이 해당 학기 중 선별된 주제에 대하여 연구하게 하며, 또한 강의시간 중 이를 발표하고 서로 토의하는 형식으로 강의를 진행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새로운 연구분야에 접하게 함과 동시에 연구를 발표하는 능력을 아울러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진행되는 과목이다.전선 / 학사
<종교교육론>, <종교교재연구 및 지도법> 등의 교과목을 바탕으로 하여 종교교육에서의 중요문제인 목표설정, 교육과정 구성, 지도방법 및 평가 등의 주제에 관하여 최근 이론과 연구결과를 체계적‧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힌다. 학생들은 관심의 정도에 따라 주제를 정하고 최근의 연구결과를 분석하면서 학습한 것을 발표하고 세미나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종교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바람직한 해결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둔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불어뿐만 아니라 언어를 교수/학습하는 데 있어 평가 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추어, 여러 가지 기존의 평가 방법들과 관련된 장·단점을 살펴보고, 좀 더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불어교육평가 방법을 모색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에서는 문헌, 금석문,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자료가 한국사교육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각 자료가 지닌 역사적 배경과 교육적 가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자료를 활용한 수업 내용을 구상하고 성찰하며 한국사교육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한다. 아울러, 최근 교육 현장의 동향에 유의하면서 한국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 개발의 가능성과 학습 방안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