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응용생물화학부
이 수업은 유기화합물의 명명법, 구조와 성질, 반응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습득한다. 할로겐화합물, 알코올, 아민 화합물과 관련된 화학반응을 메커니즘을 통해 이해한다. ※ 선이수과목: (학문의 기초) 화학 또는 고급화학약학과
본 과정에서는 신약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시스템약물학적 연구기법의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시스템생물학에서 이용되는 오믹스데이터 마이닝기법, 줄기세포, 다차원 세포배양계, 세포역학계의 약물학적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loading...
약학대학 약학과 / 대학원
본 과정에서는 신약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시스템약물학적 연구기법의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시스템생물학에서 이용되는 오믹스데이터 마이닝기법, 줄기세포, 다차원 세포배양계, 세포역학계의 약물학적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Molecular biology : structure and dynamics of genomes and proteomes
Molecular biology : structure and dynamics of genomes and proteomes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Introduction to practical molecular biology
Introduction to practical molecular biology
Essential molecular biology : a practical approach.
Essential molecular biology : a practical approach.
Molecular biology : a project approach
Molecular biology : a project approach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 a compendium of methods from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 a compendium of methods from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DNA microarrays and related genomics techniques : design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experiments
DNA microarrays and related genomics techniques : design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experimentsCancer genomics and proteomics : methods and protocols
Cancer genomics and proteomics : methods and protocols
Recombinant DNA methodology
Recombinant DNA methodology
The condensed protocols from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The condensed protocols from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Biochemical systems analysis : a study of function and design in molecular biology
Biochemical systems analysis : a study of function and design in molecular biology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RNA-RNA interactions : methods and protocols
RNA-RNA interactions : methods and protocols
Genom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Genom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Basic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Basic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The condensed protocols : from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The condensed protocols : from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Advances in molecular bioinformatics
Advances in molecular bioinformatics
Small interfering RNA : new research
Small interfering RNA : new research
RNA methodologies : a laboratory guide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RNA methodologies : a laboratory guide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Sarni S.,Biswas B.,Liu S.,Olson E.D.,Kitzrow J.P.,Rein A.,Wysocki V.H.,Musier-Forsyth K.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Schneider, Melanie; Radoux, Chris J.; Hercules, Andrew; Ochoa, David; Dunham, Ian; Zalmas, Lykourgos-Panagiotis; Hessler, Gerhard; Ruf, Sven; Shanmugasundaram, Veerabahu; Hann, Michael M.; Thomas, Pam J.; Queisser, Markus A.; Benowitz, Andrew B.; Brown, Kris; Leach, Andrew R.Current Research in Food Science
Mudd, Natalie; Liceaga, Andrea M.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Oikonomou P.,Salatino R.,Tavazoie S.BMC Genomics
Gurun B.,Horton W.,Murugan D.,Zhu B.,Leyshock P.,Kumar S.,Byrne K.T.,Vonderheide R.H.,Margolin A.A.,Mori M.,Spellman P.T.,Coussens L.M.,Speed T.P.Biology Open
Lubin A.,Otterstrom J.,Hoade Y.,Bjedov I.,Stead E.,Whelan M.,Gestri G.,Paran Y.,Payne E.Biotechnology for Biofuels
Li M.,Lang X.,Moran Cabrera M.,De Keyser S.,Sun X.,Da Silva N.,Wheeldon I.Cancers
Hernández-Quiles M.,Baak R.,Borgman A.,Den Haan S.,Alcaraz P.S.,Van Es R.,Kiss-Toth E.,Vos H.,Kalkhoven E.Nutritional Sciences
SumithraUrs, YoungFrontiers in Cellular Neuroscience
Silva M.C.,Nandi G.,Donovan K.A.,Cai Q.,Berry B.C.,Nowak R.P.,Fischer E.S.,Gray N.S.,Ferguson F.M.,Haggarty S.J.Food Bioscience
Zhang, C.; Luo, Z.; Lin, X.iScience
Mao S.,Qi Y.,Zhu H.,Huang X.,Zou Y.,Chi T.Journal of Nutrition
Huang K.T.,Shen Y.L.,Lee C.N.,Chu K.Y.,Ku W.C.,Liu C.Y.,Huang R.F.S.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Pacholewska A.,Grimm C.,Herling C.D.,Lienhard M.,Königs A.,Timmermann B.,Altmüller J.,Mücke O.,Reinhardt H.C.,Plass C.,Herwig R.,Hallek M.,Schweiger M.R.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Yu Z.,Pan L.,Ma X.,Li T.,Wang F.,Yang D.,Li M.,Wang P.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Toumba M.,Fanis P.,Vlachakis D.,Neocleous V.,Phylactou L.A.,Skordis N.,Mantzoros C.S.,Pantelidou M.MOLECULAR CELL
Johnson, Kara L.; Qi, Zhijie; Yan, Zhangming; Wen, Xingzhao; Nguyen, Tri C.; Zaleta-Rivera, Kathia; Chen, Chien-Ju; Fan, Xiaochen; Sriram, Kiran; Wan, Xueyi; Chen, Zhen Bouman; Zhong, Sheng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FEMS MICROBIOLOGY REVIEWS
Lindner, Florian; Diepold, Andreas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Moore J.,Emili 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세포막단백 및 주요 신호전달 분자의 기능을 중심으로 생리학적 기전을 연구하는 국내외 연구자를 초청하여 연구내용을 듣고 비판적 질의-응답을 통한 학습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최신지견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연구현장의 경험과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접근을 이루어가는 역량을 키운다.전선 / 대학원
최신 종양 연구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단백질체학을 설명하고 각 방법의 기본 원리를 체계적으로 강의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기본 원리에 근거하여 실제 연구에 적용할 수 여러 가지 예를 알려주어 실제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전선 / 학사
분자생물학 분야의 최신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질병의 원인규명 및 새로운 치료법과 이에 관련된 신약개발 기술을 강의한다. 특히 인간 유전체 연구성과에 의해 규명된 다양한 유전자와 단백질들의 기능과 상호작용, 그리고 분자수준의 새로운 예방법과 유전자 치료법 등 신개념의 의약품 개발기술을 강의/토론한다.전선 / 학사
생리학은 생명의 원리를 다루는 학문으로서 세포, 기관 및 개체 수준에서 생명현상의 기본적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생명체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항상성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동물들이 어떻게 생리조절과정을 거치는지를 이해하고 생리조절의 중요한 요소인 신경조절과 호르몬 조절 메커니즘을 고찰하게 된다. 여기에는 신경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 대사계 및 동물의 행동이 포함된다. 특히, 본 교과목에서는 인간 유전체 연구 이후에 대두되고 있는 생명체의 생리 기능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단백질체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적용 방법에 대해서 유추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체기능 수행의 핵심요소인 단백질의 구조, 기능, 분리, 합성 등의 최신기술을 이해하여 단백질체학의 기반지식을 공고히 하고, 2-DE, MALDI 분석 등 단백질체학의 주요 분야를 심도 있게 다룬다. 또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작물에 적용방안에 대해 원리 및 최신기법을 주제별로 토론식으로 진행하여 단백질체학의 이용 가능범위를 소개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의 목표는 암 질환의 특성, 발생과정을 연구함에 있어 실험적 접근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들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들을 종합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1) 암세포주의 배양 및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2) 유전자 조작법과 이의 이용방법을 이해하고 활용 분야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3) 세포 증식, 세포 사망의 확인 방법을 제시하고 이론적 근거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4) 면역학적 방법을 설명하고 활용방안을 제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5) 유전체, 단백질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이의 활용 방안 및 분석 방법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전선 / 대학원
유전자의 구조 및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강의함으로서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 유전자 변환 및 전입에 의해 개체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습득한다. 선택된 주제에 대한 학생 발표를 중심으로 실험 설계, 방법 및 결과 해석 과정을 심도 있게 토의 한다.전선 / 대학원
분자세포 생물학 분야에 속하는 최근의 중요 연구에 대한 문헌의 고찰을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전 분야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review하여 보고 매년 한 분야내지 두 분야에 대해 각자가 직접 문헌을 찾고 발표를 하면서 학문의 깊이와 이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한다. 또한 전공분야 이외의 생물학 전반에 걸친 기초적인 탐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각자의 전공과 유기적인 관계속에서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며, 급격하게 변모하는 학문발전 추세에 대한 진취적인 수용적 자세와 비판적 능력을 아울러 갖출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포함한 고분자 구조에 대한 분석 방법을 다룬다. 학생들은 전자 현미경, X선 사용 또는 분석, NMR 등 대표적인 분석 방법의 원리를 학습한다. 또한 본 강의는 다양한 최근 연구 기술 및 농생명유전체학에서의 적용사례 소개하며 강의, 발표, 토론의 형태로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대학원생들을 위한 과목으로 핵산 (DNA와 RNA)의 합성, 기능 그리고 분해에 대하여 생화학적 측면을 다루는 과목이다. 구체적으로는 진핵생물 유전자의 발현과정과 그의 조절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관련 실험들에 대한 이론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최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microRNA들의 유전체학과 타겟팅에 대해서도 다루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분자유전학분야의 가장 최신의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이 분야에서 첨단연구를 수행 중인 과학자들의 강의와 토론을 통하여 첨단연구동향, 필수배경지식 및 실질적인 연구경험 등을 검토하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최근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종양 유전체 랜드스케잎의 분석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방법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종양연구는 한해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학생들이 종양유전체학과 정밀의학, 후성유전체 특성, 전사체 연구, 병리연구의 최신지견을 이해하고, 종양 표적 치료 및 항체치료제에 대해 공부한다. 또한, CRISPR를 통한 종양연구의 최신 발표내용을 습득하고, 종양 대사, 지질 및 호르몬, 종양 미세환경의 최신 연구를 학습한다. 종양 오가노이드 및 동물모델 등 중개연구의 최신 발표논문에 대해서 리뷰한다.전선 / 대학원
세포생물학을 세부전공분야로 선택한 대학원생들을 위해 세포생물학과 관련된 분야에서 최근에 발표된 중요한 연구에 대한 문헌의 고찰 및 토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최근의 연구동향을 review하여 보고, 각자가 직접 문헌을 찾고 발표를 하면서 학문의 깊이와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또한 탐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각자의 전공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여, 급격하게 발전하는 학문추세에 대한 진취적인 수용적 자세와 비판적인 능력을 아울러 갖출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생체 현상의 조절기전에 관여하는 일차적인 정보전달과정으로서의 수용체 개념을 파악하고 체내에서 발견된 수용체의 종류, 대상조직, 실험법, 생리현상별 연계성, 응용성 등과 이 분야 연구의 현황 및 방향을 파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