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주제탐구세미나 1(991.101) , 전공설계 1(991.103)
이 과목에서는 Java와 C++ 언어를 이용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Java와 C++의 기초 및 API에 대하여 배우고, Java와 C++를 이용하여 실제 문제를 제대로 풀 수 있도록 바르게 동작하고 질 좋은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using Python : a computational problem-solving focus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using Python : a computational problem-solving focus
줄리아를 생각하다 : 데이터 과학자를 위한 최적의 프로그래밍 언어
줄리아를 생각하다 : 데이터 과학자를 위한 최적의 프로그래밍 언어
Java essentials for C and C++ programmers
Java essentials for C and C++ programmers
Java programming : introductory
Java programming : introductory
(Joyce의)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with 코틀린 : Kotlin & Android 입문부터 스톱워치, 뮤직 플레이어, QR 코드 리더기, 할 일 리스트, 미세먼지 측정 프로젝트와 배포까지
(Joyce의)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with 코틀린 : Kotlin & Android 입문부터 스톱워치, 뮤직 플레이어, QR 코드 리더기, 할 일 리스트, 미세먼지 측정 프로젝트와 배포까지
Digital system verification : a combined formal methods and simulation framework
Digital system verification : a combined formal methods and simulation frameworkJDBC database access with Java : a tutorial and annotated reference
JDBC database access with Java : a tutorial and annotated reference
(조코딩의 챗GPT API를 활용한) 수익형 웹 서비스 만들기 : 챗GPT API, Javascript, AWS, Node.js를 활용한 웹 서비스 개발
(조코딩의 챗GPT API를 활용한) 수익형 웹 서비스 만들기 : 챗GPT API, Javascript, AWS, Node.js를 활용한 웹 서비스 개발
Parallel logic programming in PARLOG : the language and its implementation
Parallel logic programming in PARLOG : the language and its implementation
TCPIP illustrated
TCPIP illustrated
Meta-level architectures and reflection :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Reflection'99, Saint-Malo, France, July 19-21, 1999 : proceedings
Meta-level architectures and reflection :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Reflection'99, Saint-Malo, France, July 19-21, 1999 : proceedings
Programming in Scala : 창시자가 직접 집필한 스칼라 언어의 바이블
Programming in Scala : 창시자가 직접 집필한 스칼라 언어의 바이블
The Cambridge handbook of formal semantics
The Cambridge handbook of formal semantics
Data structures for personal computers
Data structures for personal computers
(자바 개발자와 시스템 운영자를 위한) 트러블 슈팅 이야기
(자바 개발자와 시스템 운영자를 위한) 트러블 슈팅 이야기
Python in a nutshell
Python in a nutshellGigabit networking
Gigabit networking
Applied formal methods--FM Trends 98 : International Workshop on Current Trends in Applied Formal Methods, Boppard, Germany, October 7-9, 1998 : proceedings
Applied formal methods--FM Trends 98 : International Workshop on Current Trends in Applied Formal Methods, Boppard, Germany, October 7-9, 1998 : proceedingsInformation and Software Technology
Qi X.F.,Hua Y.L.,Wang P.,Wang Z.Y.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Kuo S.Y.,Tseng F.H.,Chou Y.H.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Yates, Roy D.; Sun, Yin; Brown, D. Richard, III; Kaul, Sanjit K.; Modiano, Eytan; Ulukus, SennurIEEE Annals of the History of Computing
Priestley, Mark; Petricek, TomasIEEE Wireless Communications
Tan B.,Ai L.,Wang M.,Wang J.Transactions on Architecture and Code Optimization
Yang, Byung-Sun; Kim, Jae-Yun; Moon, Soo-MookMobile Networks and Applications: The Journal of SPECIAL ISSUES on Mobility of Systems, Users, Data and Computing
Chiang, Wei-Kuo; Li, Tsung-Ying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Youssef M.J.,Farah J.,Nour C.A.,Douillard C.IEEE Access
Wang S.,Fang D.,Wang Z.,Ye G.,Li M.,Yuan L.,Tang Z.,Wang H.,Wang W.,Wang F.,Ren J.Wireless Networks
Wang T.,Li P.,Wang X.,Wang Y.,Guo T.,Cao Y.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ciences
Rao R.S.,Seema ,Singh P.,Khan S.A.IEEE ACCESS
Tian, Yong; He, Xiuqi; Xu, Yan; Wan, Lili; Ye, BojiaIEEE Transactions on Network Science and Engineering
Zhu X.,Wen S.,Jolfaei A.,Haghighi M.S.,Camtepe S.,Xiang Y.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Basnayaka C.M.W.,Jayakody D.N.K.,Chang Z.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이창기, 박주용, 김기중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강서연, 김정우, 양종환, 조은선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Communications and Control
Nazih W.,Hifny Y.,Elkilani W.S.,Abdelkader T.,Faheem H.M.IEEE Systems Journal
Kumar A.,Abdelhadi A.,Clancy C.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Feng Q.,He D.,Zeadally S.,Liang K.17TH CONFERENCE OF THE EUROPE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EACL 2023
Ahmad, Wasi Uddin; Chakraborty, Saikat; Ray, Baishakhi; Chang, Kai-Wei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고급언어를 어셈블리어로 번역하여 주는 시스템 프로그램인 컴파일러에 관해 배우는 과목으로 컴파일러의 각 단계인 렉시칼분석(lexical analysis), 구문분석(syntax analysis), 의미분석(semantic analysis), 중간코드생성(intermediate code generator), 최적화기법(optimization technique), 목적코드생성(object code generation) 등에 대하여 배우며 미니 컴파일러를 직접 구성해 봄으로써 컴파일러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이해하게 된다. 선수 과목으로는 프로그래밍어론, 컴퓨터시스템 개론이 요구된다.전필 / 학사
본 과목은 통계학 전공에 필요한 계산적 사고력, 즉 논리로 표현하는 문제 해결 방법 및 논리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프로그래밍과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개념, 즉 데이터 구조, 추상화, 계층화, 모듈화, 반복, 재귀, 절차적 사고, 가치 지향 사고, 재사용, 계산복잡도, 자료형 등에 대해 공부한다. 개념의 구체화를 위한 도구로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예: R)를 사용할 수 있으나, 다루는 내용은 언어 중립적이다. 추가적으로 함수적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주의를 기울이며, 자료 분석을 위한 데이터 랭글링, 조작 및 탐색의 기초에 대해 다루고 다양한 데이터 유형의 추세를 시각화, 제시 및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공부한다.전필 / 학사
관현악법의 기초가 되는 교과목으로, 악기의 구조, 특성 및 주법 등 기본 원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독주에서 앙상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악기의 활용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2개 학기 동안 단계적 학습이 이루어진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는 다양하게 주어진 목표물의 설계 및 제작 실습을 사물인터넷(IoT)을 응용하여 설계 및 제작에 대한 기본 감각과 창조성을 키우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물인터넷 응용 및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및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사물인터넷을 위한 응용 개발, 시스템 소프트웨어, 시스템 아키텍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및 활용 등을 연습한다. 온도, 습도, 빛, 소리, 동작, 이미지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 모터 등의 출력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설계를 실습한다. 설계된 임베디드 시스템의 동작을 검증하고,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는 결과보고서 작성 및 제작품의 특성을 설명하는 구두 발표를 포함한다.교양 / 학사
본 과목은 예술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관심을 가진 학생들이 협력하여 새로운 융복합예술 형태의 공연(Performing Arts)을 제작한다. 자발적이고 독창적으로, 시작에서 완성에 이르기까지 공연의 전 과정을 체험한다. 본 과목을 통해 공연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공연의 장르적 경계를 탈피하고 ‘미래의 공연’에 대해 탐구하며 공연 예술의 기초를 습득할 수 있다. 공연 창작 과정을 경험함으로서 나 자신에 대해 알아간다. 또한 상상력을 통한 창의와 창작을 이끌어 최종적으로 섞이기 어려운 서로 다른 개인이 융합을 통해 조화를 이루어 섞이는 과정을 훈련한다.전필 / 대학원
현재 임상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의료기기의 명칭, 기능, 작동원리와 특징 등을 설명함으로써 의료기기 원리 및 개발 방법론 뿐 아니라 임상현장에서의 활용 환경에 대한 이해를 촉진한다. 또한 임상에 활용될 수 있는 의료기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적 요소, 임상의 미충족 수요, 현 의료시장 현황 및 의료기기의 전주기적 연구개발 과정을 습득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4차 산업혁명기술 등을 이용한 혁신의료기기의 연구개발 동향 파악 및 임상 의료기기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판단 능력을 증진시킨다.전선 / 대학원
건축과 도시환경을 설계, 시공, 운영하는 과정은 항상 인간 활동을 중심으로 수행되어왔지만, 인간 활동에 관한 실시간의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에 기술적 한계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건축과 도시공간의 기능과 편의를 향상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 본 강의에서는 건축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사람과 환경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 분석, 활용하는 ICT기반 센싱 및 데이터 처리기술에 대해서 학습하고, 스마트홈, 스마트빌딩, 스마트건설의 계획과 각 요소기술의 적용방안에 대해서 논의함. 본 강의를 성공적으로 이수함으로써 학생들이 다음과 같은 역량을 계발하는 것이 가능함. (1) 건축과 도시환경의 설계, 시공, 운영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 및 활용 현황, 그리고 내재되어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음 (2) 영상, 소리, Lidar 등 센서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기법와 인공신경망 등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해서 이해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직접 구현할 수 있음 (3) 스마트홈, 스마트빌딩, 스마트건설을 구성원리를 이해하고, 계획에 요구되는 요소기술의 적용에 있어 장/단점과 기회/장벽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음전선 / 학사
이미지와 영상을 편집/보정 할 수 있는 디지털 소프트웨어에 대해 실습하는 수업이다. 개별 소프트웨어의 특성과 사용법을 심도있게 학습하여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툴과 방식에 대한 기초적이고 기능적인 능력을 키운다.전선 / 학사
AI 하드웨어 시스템 설계 프로젝트는 CPU, 메모리, 버스, 인터페이스 및 CNN H/W 가속기를 포함한 AI 응용 프로그램의 디지털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어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를 다룬다. 첫 번째 파트에서 H/W 튜토리얼과 실습은 RISC-V 프로세서, SRAM/DRAM 메모리, 버스 상호 연결, CMOS 이미지 센서 인터페이스 및 LCD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양자화, 데이터 준비, 컨볼루션 커널, 활성화, 슬라이딩 윈도우 및 메모리 모델을 포함한 H/W 가속기 주제를 다룬다.전선 / 학사
최근 컴퓨팅 기술과 무선통신의 발전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든 멀티미디어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은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유무선 네트워크, 운영체제/미들웨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의 통합에 의하여 응용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은 요소기술로서 분산 컴퓨팅 및 임베디드 시스템 기술에 기초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시스템, 이동 상거래, 휴대전화 등에 응용된다. 따라서 이 과목의 목적은 모바일 컴퓨팅 구성기술을 이해하고, 단말기 등을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하여 학습하는데 있다.전필 / 학사
본 과목에서는 기계시스템 설계의 기본 개념과 방법에 대해 익히고 기계시스템의 구동을 위해 필수적인 로봇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배운다. 구체적으로, 설계 도면에 대한 이해와 설계안을 구체화하는 도면 작성법, 컴퓨터 이용 설계(Computer-Aided-Design, CAD) 프로그램을 이용한 설계 방법을 배운다. 이후 기계시스템을 지능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학습한다. Matlab, python, C/C++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이를 통한 로봇 하드웨어 구동을 위한 미들웨어를 학습한다. 학기 말에 최종적으로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하드웨어를 통합한 시스템을 설계한다. 본 과목에서 학습한 설계 및 프로그래밍은 향후 다양한 기계공학 전공과목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이 된다.전선 / 대학원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AR/VR 기기 등 컨슈머 디바이스의 발전과, 클라우드/에지 컴퓨팅 등 백앤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팅 서비스의 영역이 다양한 산업 분야와 사람들 삶 속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로 인해 마크 와이저가 제안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비전의 실현이 한층 눈앞에 다가오게 되었다.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실현하는 첫 단계로서, 기존의 컴퓨팅 시스템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지닌다. 많은 경우,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은 물리 공간에 분산되어 사용자 및 환경을 관찰하는 이기종의 센싱 장치,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다계층의 분산 추론 시스템, 추론을 기반으로 자동화된 피드백을 주기 위한 엑추에이터등 복잡한 시스템 요소가 유기적으로 엮어 동작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의 높은 사용성을 위해서, 사용자와 상황의 다양성을 고려한 고도로 개인화된 적응형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본 과목에서는,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AR/VR 기기를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센서 데이터 분석 및 추론을 위한 분산 기계 학습 기법, 효율적 모바일 서비스 구현을 위한 분산 시스템 구조,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설계 등, 성공적인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의 디자인 및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을 살펴보고, 이를 적용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전선 / 학사
“데이터 기반의 지역사회 문제 해결”교과목은 지역사회의 문제를 데이터와 자산기반 접근법으로 탐구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디자인 씽킹과 윤리적 데이터 사이언스를 활용하여 문제 정의부터 해결책 설계 및 실행까지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경험한다. 학생들은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해 파일럿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질적인 문제 해결 역량을 키우게 된다. 또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 방법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목표 설정, 분석 기술, 성과 관리 등 단계별 평가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창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개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컴퓨터를 이용하여 한국어 관련 정보(또는 자료)를 적절히 추출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 정보 관련 기술과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학문분야의 연구 내용과 방법론도 달라지고 있는바,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 개설된 교과목이 본 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말뭉치의 구축, 말뭉치 가공, 가공된 말뭉치로부터의 언어정보 추출, 추출된 언어정보의 통계적 분석, 언어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데이터베이스의 운용 및 유지 등에 관한 기초적인 방법론을 익히게 될 것이며, 한국어문학 나아가서는 인문학을 위한 컴퓨터 활용 능력을 키우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현대의 생명정보학 분석은 다양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생명정보학 데이터를 생성 가공하여 그 안에서 생명에 대한 지식을 탐구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 방법 중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생명 정보학 분석을 접해보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명 정보학 데이터를 변환하고 가공하기 위한 기본적인 도구 및 기계학습을 비롯한 다양한 분석 방법을 습득하고 이에 맞추어서 다양한 생명정보학 데이터 분석의 기본을 획득하여 향후 다른 학습 및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반을 제시하려 한다.전선 / 대학원
다양한 종류의 의료 및 생명 분야 빅데이터가 생성되어 축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의료 분야 빅데이터는 기본적인 전자의무기록 외에도 이미지, 생체신호, 텍스트 등의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하게 되었으며, 생명 분야 빅데이터는 차세대시퀀싱 기법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등의 다양한 오믹스 데이터를 포함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빅데이터의 생성 및 축적과 더불어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에는 다루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를 정의하고 보다 깊이 있는 빅데이터 분석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본 강좌에서는 의료 및 생명 분야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소개하고 해당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인공지능 분석 기법들을 소개함으로써 최신의 의생명 빅데이터 관련 인공지능 연구를 배울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