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체육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스포츠심리학만큼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는 없다. 과거에 운동학습, 운동제어, 운동발달을 포함한 넓은 의미로 스포츠심리학을 지칭했던 시대도 있었다. 스포츠 심리학의 영역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많다. 이 강의에서 다루는 내용이 최근의 ‘스포츠 심리학’이라고 말한다면 넓은 의미로 스포츠심리학을 이해하고 있던 사람들은 격세지감을 느낄 것이다. 경기력 향상에 관한 지식이 축적된 것은 비교적 근래의 일이다. 스포츠심리학은 그만큼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학문이다. 체육학을 공부하는 학생, 운동선수, 스포츠 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운동트레이너 등이 이 강의를 통해 스포츠와 운동 상황에서의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한다.기계공학부
초음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성에 따른 파동의 전파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강좌에서는 무한/반무한 탄성체에서의 기본적인 파동 현상을 공부한 다음, 오일러보, 티모센코보에서의 굽힘파, 평판에서의 램파와 전단파, 실린더에서의 포크햄머-크리파 등 다양한 유도초음파를 다룬다. 또한 파동전파 특성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최근의 기술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loading...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 대학원
2024-2학기
권장 선수과목 유한요소해석(M2794.007300) , 고급기계공학해석(M2794.008000)
초음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성에 따른 파동의 전파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강좌에서는 무한/반무한 탄성체에서의 기본적인 파동 현상을 공부한 다음, 오일러보, 티모센코보에서의 굽힘파, 평판에서의 램파와 전단파, 실린더에서의 포크햄머-크리파 등 다양한 유도초음파를 다룬다. 또한 파동전파 특성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최근의 기술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Parabolic equation methods for electromagnetic wave propagation
Parabolic equation methods for electromagnetic wave propagation
Continuum mechanics : concise theory and problems
Continuum mechanics : concise theory and problems
The Mathematics and physics of disordered media : percolation, random walk, modeling, and simulation
The Mathematics and physics of disordered media : percolation, random walk, modeling, and simulation
Maxwell's equations
Maxwell's equationsRegular and stochastic motion
Regular and stochastic motion
Mechanics of generalized continua
Mechanics of generalized continuaA first course in continuum mechanics
A first course in continuum mechanicsInvestigations on the theory of the Brownian movement
Investigations on the theory of the Brownian movement
Geometric singular perturbation theory beyond the standard form
Geometric singular perturbation theory beyond the standard form
Variational methods in theoretical mechanics
Variational methods in theoretical mechanics
An introduction to continuum mechanics : with applications
An introduction to continuum mechanics : with applications
Radio wave propagation and antennas : an introduction
Radio wave propagation and antennas : an introduction
Bifurcation and chaos in simple dynamical systems
Bifurcation and chaos in simple dynamical systems
Contact and symplectic topology
Contact and symplectic topology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nd hyperbolic wave phenomena : 2008-2009 Research Program on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Centre for Advanced Study of the Norwegian Academy of Sciences and Letters, Oslo, Norway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nd hyperbolic wave phenomena : 2008-2009 Research Program on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Centre for Advanced Study of the Norwegian Academy of Sciences and Letters, Oslo, Norway
Phase transitions of interacting particle systems
Phase transitions of interacting particle systems
Deformation of elastic solids
Deformation of elastic solids
Electromagnetic fields
Electromagnetic fields
Wave propagation in complex media
Wave propagation in complex media
My double unveiled : the dissipative quantum model of brain
My double unveiled : the dissipative quantum model of brain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JOURNAL OF STATISTICAL MECHANICS-THEORY AND EXPERIMENT
Bastianello, Alvise; Bertini, Bruno; Doyon, Benjamin; Vasseur, RomainPhysica Scripta
Li R.,Li J.,Huang D.Communications in Theoretical Physics
Li H.,Xu A.,Zhang G.,Shan Y.Physical Review D
Masachs R.,Way B.Nonlinear Dynamics
Yang Y.PLoS ONE
Ullah M.S.,Roshid H.O.,Ali M.Z.ACTA MECHANICA
Phadatare, Hanmant P.; Pratiher, BarunNonlinear Dynamics: An International Journal of Nonlinear Dynamics and Chaos in Engineering Systems
Cao, Dong-Xing; Zhou, Xin-Xing; Guo, Xiang-Ying; Song, NiApplied Mathematics Letters
Wang W.,Zhou M.Journal of Physics A: Mathematical and Theoretical
Ablowitz M.J.,Musslimani Z.H.Physics of Fluids
Jia B.Q.,Wang P.,Yang Q.,Fu Q.F.,He B.S.Nonlinear Dynamics
Meehan P.A.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Fukushima, Osamu; Yoshida, KentarohChaos
Djouda B.,Moukam Kakmeni F.,Guemkam Ghomsi P.,Ndjomatchoua F.,Tchawoua C.,Tonnang H.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
Saunders B.E.,Vasconcellos R.,Kuether R.J.,Abdelkefi A.Physical Review C
Gabbana A.,Plumari S.,Galesi G.,Greco V.,Simeoni D.,Succi S.,Tripiccione R.Optical and Quantum Electronics
Ahmad, Shafiq; Alammari, Maha; Ullah, Aman; Ahmad, Shabir; Saifullah, Sayed; Nasreen, NailaJournal of Dynamics and Differential Equations
Zhang Y.,Zhang J.Physical Review D
Ahmadiniaz N.,Balli F.M.,Lopez-Arcos C.,Vélez A.Q.,Schubert C.Physica Scripta
Jiang D.,Zhaqilao N.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선형파 이론을 중심으로 공학적인 측면에서의 파랑의 기본적인 성질 및 변형 특성, 장파의 이론, 실험실에서 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파기의 원리, 파랑의 통계적인 특성 및 스펙트럼 분석, 실 해역에서 해저면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파랑 에너지의 소산 등을 취급한다.전선 / 대학원
대기에서 일어나는 여러 규모의 현상 중 주로 대규모 현상들을 역학적으로 설명한다. 종관규모 운동의 특징을 토의하고 대기의 진동, 중규모 순환 및 대기대순환을 다룬다. 특히 대기불안정 문제, 이와 관련된 종관계의 발달기구 및 대규모 기상현상들에 대한 역학적 접근 등이 주요 과제이다.전선 / 대학원
비선형시스템의 특성을 이해하고 비선형시스템의 안정도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여러 방법들에 대해 공부한다. 이들 중에는 Phase Plane Method, Describing Function Method, Liapunov Direct & Indirect Methods Popov/Circle Criteria, Singular Perturbation Technique, Feedback Linearization Technique 등과 기타 최근의 주요 연구결과들이 포함된다.전선 / 대학원
압축성 유동과 점성 유동을 기초로 하여 마하수 5 이상의 비행체에 대한 고속 유동 현상과 이론적 해석을 배운다. 내용으로는 기존의 충격파와 팽창파 관계식 및 Newtonian 이론을 통해 극초음속 비행체의 기본 공기역학 이론을 학습하고, 극초음속 경계층 방정식을 통해 점성력과 공력 가열에 대해 학습한다. 이후 기체의 화학반응과 진동현상에 대해 평형과 비평형모델을 배우고 이를 N-S 방정식에 결합하여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비행체의 공력 및 열해석에 대해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의 목표는, 자유물체도(free body diagram)를 토대로 하였던 학부과정의 동역학적 문제 접근 방식과 비교하여, 좀더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일반화 된 좌표계(generalized coordinate system)를 도입하고, 계에 작용하는 힘을 보존력과 비보존력으로 구분하여 보존력 성분에 대해서는 에너지 표현을 사용하여 체계적인 운동방정식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calculus of variation 의 도입과 적용 예를 다루게 되며, Hamilton 의 원리에 대하여 논의한다. 아울러, Kane의 일반화된 좌표계 설정 방법에 대하여 토의한다. 그리고, 동적 해석 대상은 질점, 질점계, 강체 및 연속체로 확장하여 적용 예를 들어본다.전선 / 대학원
비선형조종성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이 방정식의 계수들에 관한 이론적, 실험적 해석방법을 다룬다. 또 이 방정식의 해로부터 선박의 안정성을 판정하고 선형과 안정성과의 관계를 조사한다. 제한수로나 유한수심과 같이 특수한 해역에서의 배의 조종성방정식을 유도하고, 방정식의 해를 사용하여 배의 항적을 추정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나노과학기술분야 연구의 기초가 되는 전자기학의 주요개념을 다룬다. 학부수준의 내용을 논의하며 핵심 개념의 이해와 나노소자분야 연구에의 응용을 알아본다. 정전기학, 정자기학, 맥스웰 방정식, 전지기파 등의 내용을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현대 물리학의 연구에 가장 중요한 토대인 양자역학을 기본 개념에서부터 출발하여 체계적으로 다룬다. 양자역학1의 주요 내용은 양자역학의 수학적 표현, 슈뢰딩거 방정식, 퍼텐셜문제, 각 운동량 이론, 스핀, 퍼뜨리개와 길적분, 게이지 변환과 아로노프-보옴 효과, 측정과 해석등이다.전선 / 대학원
선박유체역학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결과를 근간으로 하는 특별한 주제의 과목내용을 다룬다. 부제목의 예로서 여러 공학응용 문제에서 지배방정식을 직접 수치해법을 통하여 수치해를 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섭동법(Perturbation method)에 근거한 반해석해 방법에서는 설계인자와 같은 중요한 변수에 대한 해의 근사적인 함수 관계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섭동법의 공학에의 응용중의 하나로서, 기하학적인 형상의 섭동에 대하여 세장체 이론에 대하여 깊이 다룬다. 비선형문제나, 또는 선형이라도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에 관련된 공학 문제를 택하여 섭동법의 응용을 공부한다. 물리적 현상에 관련된 적절한 섭동변수를 도입, 유동장 영역, 경계면, 지배방정식 및 경계조건 등을 단계적으로 선형화하여 다 각각 각각의 단계에서 선형화 문제의 정식화를 다루고, 일반적인 섭동법에 대하여 기초이론을 공부한다. 다른 간단한 예로서, 수중날개, 비행기 날개, 타, 프로펠러 등 양력면의 특성을 파악하고 관련 분야에서 활용되는 작용원리를 이해하고 주위 유동 특성을 해석한다.전선 / 학사
Kepler 운동, 생태계, Hamilton 계, 안정성과 혼돈, 극한사이클, Poincare 사상, 야릇한 끌개 등을 다룬다.전선 / 학사
편미분방정식이 실제 물리학이나 역학문제에 어떻게 응용되는지 공부하는데, 수리물리학에 나오는 고전장론, Dirac 방정식, Maxwell 방정식, 자기쌍대 게이지 장 방정식들과 솔리톤 해들, 텐서해석과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의 기초이론을 다룬다. 이와 아울러 수리유체역학의 Navier-Stokes 방정식과 Euler 방정식을 배운다.전선 / 학사
상미분방정식의 기본적인 해법, 급수해법, Laplace 변환에 의한 해법, 해의 존재 정리 및 해의 유일성에 관한 정리 등을 배운다.전선 / 대학원
연속체의 응력과 변형과 변형률에 대하여 공부한다. 연속체의 지배 방정식을 유도하고 공부한다. 연속방정식, 운동 방정식, 에너지 방정식 등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가상 일의 원리를 설명한다. 특히 근래에 관심이 되고 있는 비선형 고체(비선형 탄성, 소성)의 구성방정식을 소개하고 열역학적인 접근법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물질의 전기·자기적 성질을 고전 장이론에 바탕을 두고 다룬다. 주요 내용은 정전기장, 그림함수의 이용 및 경계치문제, 유전체, 정상전류에 의한 자기장, 자성체, 막스웰 방정식, 물질내에서의 막스웰 방정식 등이다.전선 / 대학원
학부 개설교과목인 건설시스템동역학에서 습득한 일자유도계의 구조진동 이론을 다자유도계로 확장한다. 2자유도 전단빌딩 모델을 토대로 고유값해석 및 모드중첩법을 소개하고 유한요소법으로의 확장을 통하여 다자유도 구조물의 고유진동해석법, 모드중첩법, 직접적분법, 주파수영역해석법을 익힌다. 지점운동에 대한 응답스펙트럼해석법과 변동풍속에 대한 주파수영역 버페팅해석법의 기본 이론을 포함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뉴턴, 라그랑지, 해밀턴에 의해 정립된 역학이론을 고급수준에서 다룬다. 주요 내용은 역학의 가본체계, 비선형 진동, 중심력 이론, 연속체, 라그랑지 방정식과 변분원리, 강체의 운동, 위상 공간, 해밀턴 역학, 해밀턴-자코비 이론, 완전 적분계, 카오스 이론 등이다.전선 / 학사
대기의 흐름을 지배하는 기본 운동방정식계를 유도하고 깊이 이해하도록 한다. 유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방법 즉, 완전미분의 라그란지안 해석과 오일러리안 해석을 배우고, 유체에 작용하는 표면력을 포함한 유체역학방정식을 배운다. 또한, 지구의 자전에 의한 전향력과 원심력에 대한 해석을 통해 회전좌표계에서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한다. 연속방정식(질량보존법칙)과 열역학 제1법칙(에너지보존법칙)과 제2법칙 및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배우고, 이들을 이용하여 유선과 유적선, 지균풍과 온도풍, 와도방정식, 연직속도 산출법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