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부 / 학사
권장 선수과목 응용생물화학개론(500.172) , 물리화학(519.001)
이 수업은 유기화합물의 명명법, 구조와 성질, 반응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습득한다. 할로겐화합물, 알코올, 아민 화합물과 관련된 화학반응을 메커니즘을 통해 이해한다.
※ 선이수과목: (학문의 기초) 화학 또는 고급화학
Intercalation chemistry
Intercalation chemistryElectrostatic and stereoelectronic effects in carbohydrate chemistry
Electrostatic and stereoelectronic effects in carbohydrate chemistryAcido-basic catalysis : application to refining and petrochemistry
Acido-basic catalysis : application to refining and petrochemistry
Organic chemistry
Organic chemistryChemistry of catalytic processes
Chemistry of catalytic processesThe PMO theory of organic chemistry
The PMO theory of organic chemistry
Organic syntheses ... : cumulative indices
Organic syntheses ... : cumulative indices
Aquatic chemistry : interfacial and interspecies processes
Aquatic chemistry : interfacial and interspecies processes
Handbook of organopalladium chemistry for organic synthesis
Handbook of organopalladium chemistry for organic synthesis
Stereoelectronic effects
Stereoelectronic effects
Essentials of carbohydrate chemistry
Essentials of carbohydrate chemistry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Burger's medicinal chemistry
Burger's medicinal chemistry
AQA GCSE chemistry : revision guide
AQA GCSE chemistry : revision guide
Introduction to physics and chemistry
Introduction to physics and chemistry
Material concepts in surface reactivity and catalysis
Material concepts in surface reactivity and catalysis
Nonequilibrium phenomena in polyatomic gases
Nonequilibrium phenomena in polyatomic gasesUltramicro elemental analysis
Ultramicro elemental analysisChemistry for changing times
Chemistry for changing timesAdvances in heterocyclic chemistry.
Advances in heterocyclic chemistry.Catalysts
Ribeiro A.P.C.,Spada E.,Bertani R.,Martins L.M.D.R.S.Fitoterapia
Komi Djimabi; Ru-Yue Wang; Bing Li; Xiao-Han Chen; Xu Liu; Mei-Jie Wang; Xiao-Qing Zhan; Feng-Ming Qi; Dong-Qing Fei; Zhan-Xin ZhangAdvanced Synthesis and Catalysis
Raju S.,Hsiao H.,Thirupathi S.,Chen P.,Chuang S.Catalysis Today
Engel R.V.,Alsaiari R.,Nowicka E.,Miedziak P.J.,Kondrat S.A.,Morgan D.J.,Edwards J.K.,Hutchings G.J.ACS Catalysis
Xie M.,Fang X.,Liu H.,Chen Z.,Li B.,Yang L.,Zhu W.COORDINATION CHEMISTRY REVIEWS
Gramage-Doria, Rafael; Bruneau, ChristianACS OMEGA
Nakayama, Tatsushi; Honda, RyoOrganometallics
He Y.,Han B.,Zhu S.Journal of Molecular Structure
Jiao Y.P.,Zhang L.S.,Chen C.,Tang L.H.,Cheng Y.,Jia A.Q.,Zhang Q.F.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A
de Gracia Triviño, Juan Angel; Ahlquist, Mårten S. G.Topics in Catalysis
González-Casamachin, Diego Alexander; Rivera De la Rosa, Javier; Lucio-Ortiz, Carlos J.; Elizondo Villareal, Nora; Verastegui Domínguez, Luz Hypatia; Bustos Martínez, Diana; Sandoval Rangel, LadislaoChemical Communications
Torres L.C.,Dobrovetsky R.,Caputo C.B.Synlett
Zhongbo Fei; Xin Xiong; Qirong Shen; Jianwei Bian; Jinzhu Zhang; Hongjun Gao; Chiming Cheung; Weipeng LiuChemical Communications
Kuciński K.,Hreczycho G.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Tian, Lei; Tang, Zi-Jun; Hao, Le-Yang; Dai, Ting; Zou, Jian-Ping; Liu, Zhao-QingDalton Transactions
Wowk V.,Lefèvre G.Organic Letters
Xie J.,Lan F.,Liu X.,Weng W.,Ding N.Journal of Chemical Physics
Zarycz M.N.C.,Schiel M.A.,Angelina E.,Enriz R.D.CHEMICAL REVIEWS
Li, Deyao; Zang, Wenqing; Bird, Melissa J.; Hyland, Christopher J. T.; Shi, MinOrganic Chemistry Frontiers
He B.,Phansavath P.,Ratovelomanana-Vidal V.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Substitution반응, Elimination반응 등 기존의 유기화학반응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통하여 일반 유기화학반응의 반응 메커니즘에 대하여 강술한다.전선 / 대학원
유기화학반응에 대한 고급이론들을 살핀 다음, 반응 중 생성되는 중간물질들을 카르보양이온, 카르보음이온, 자유라디칼 카르벤 등과 같이 분류하여 각각 강술한다. 또한 각 반응중간물질의 구조와 반응성, 반응의 종류 및 반응 메커니즘 등을 차례로 예를 들어 강의하며 유기화학반응을 기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전선 / 학사
이미 습득한 유기화학 기본지식 위에 기초적인 유기합성의 전략과 방법을 강의한다. 이미 배운 각종 관능기에 대한 화학을 재정리하여 준 다음 산화반응, 환원반응, 보호원자단 도입방법 및 제거방법 등을 포함한 관능기들의 상호교환 방법을 강의한다. 기초적인 탄소와 탄소사이의 결합방법과 합성반응에 유용하게 쓰이는 보론, 인, 실리콘 등을 포함한 각종 유기시약에 대해서 그 반응특성에 대해 살피고 이들을 이용한 합성 예를 몇가지 강술한다.전필 / 학사
의약품합성화학은 유기화학 지식을 기반으로 합성화학적 이론을 세분화하여 이해하고, 의약품의 합성에 필요한 다양한 유기반응들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대학과정의 유기화합물을 기초로 하여 addition, elimination, substitution reaction 등의 메카니즘 및 stereochemistry를 다루며 organic intermediate, orbital symmetry, linear free energy relation, isotope effect, organic spectroscopy 등에서 수강자의 배경을 참조로 하여 선택한다.전선 / 대학원
고급 유기화학이론을 토대로 개설 부분과 반응 부분으로 대별하여 강의하며 최신 유기 반응의 topic을 아울러 논함전필 / 학사
무기화합물의 구조와 결합, 입체화학, 무기반응의 열역학 및 속도론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다룬다.전필 / 학사
유기화학 I의 계속 강의로서 방향족 화합물, 천연물의 구조, 성질, 반응 및 합성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룬다.전필 / 학사
약화학에 대한 기본개념파악, 화합물의 구조, 반응성 등을 이해시킴으로서 장차 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능기별로 분류된 유기화합물의 명명법, 성상 및 물성, 제법, 반응성, 응용 등을 포괄적으로 강의하며 아울러 최신 유기반응이론, 입체화학, spectroscopy, 복소환식 화합물 등을 포함하여 강술한다전선 / 학사
본 분석화학 강의는 미지시료를 알아내고 분리하고 정량적으로 측정해내는 분석기법의 기본 화학의 이론적 기반을 다룬다. 강의 초반에는 시료의 준비 및 측정값의 통계처리. 정량분석을 위한 화학평형 이론을 다룬다. 강의 중반에는 화학평형을 활용한 다양한 분석화학지식을 배운다. 분석시료로서 용해된 이온 및 화학분자들의 구조와 이를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산염기, 착화물, EDTA적정법의 원리를 다룬다. 이를 바탕으로 전기화학적 정량 분석법을 다룬다. 강의 후반에는 화학분자의 흡광 및 형광분광법 이론과 이에 기반한 다양한 정량 분석 이론을 다룬다. 나아가, 시료의 분리분석의 기초 이론을 간단히 다룬다.전선 / 대학원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2차대사산물을 이용하려면 우선적으로 이들의 화학구조 결정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는 주로 분광학적 방법에 의한 구조결정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분광학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결정법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고 실제로 응용할 수 있도록 천연물로부터 얻은 많은 화합물들의 spectrum을 제시하여 이들의 해석법을 숙달시키고 나아가서 응용력을 함양 시키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알카로이드 화합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의약품 개발, 전합성, 수용체 연구 및 생리활성 연구에 기여한 중요한 화합물 이다. 본 강의에서 알카로이드 화합물의 추출과 분리, 화학적 분류, 분석과 확인반응 및 약효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식물기원 대표 알카로이드의 역사, 활성, 및 구조분석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전선 / 학사
Symmetry와 group theory에 의한 무기물의 화학결합을 시작으로 하여 전이금속화합물의 합성, 구조, 반응성 등의 강의로 이어진다. 또한 electronic spectra, NMR, IR, magnetism 등 무기화합물의 분석과 물성조사를 위한 실험방법을 다룬다. 균일계 촉매에 초점을 두어 유기금속화학을 강의하고, 기본적인 고체화학의 내용을 다룬다. 이 과목은 특히 무기재료, 촉매 등의 제조, 분석, 물성조사 등을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필 / 학사
물리화학 전반에 적용되는 중요한 개념들에 관하여 먼저 연구하며, 다음으로 기체의 성질, 열역학 제1법칙과 그의 응용, 열역학 제2법칙과 그의 응용, 상태의 변화, 일반적인 경우의 평형에 관하여 강의한다. 또한, 평형전기화학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를 응용한 화학전지를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복잡한 구조의 천연물 전합성을 논의한다. 음이온, 양이온, 라디칼, 카베노이드를 중간체로 하는 반응들과 페리사이클릭 반응, 유기금속반응들이 복잡한 구조의 합성에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고찰한다.전필 / 학사
유기화합물의 명명법, 구조, 성질, 반응 및 합성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룬다. 반응 메카니즘에 의한 분류 체계에 따라 계통적으로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