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수업은 야외에서의 여러 가지 활동을 교육적인 측면에서 파악하여 이것을 교육활동으로서 활용함과 동시에 그 교육적인 효과를 조직적이며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인간성 함양을 수업의 목표로 하며, 야영을 통하여 자연 속에서 집단적, 자율적인 생활을 함으로써 다수 속의 자기를 객관적으로 보고 참된 협력과 공동의 생활을 체험할 뿐만 아니라, 야영생활의 기술을 익히면서 생활 전체의 모든 활동을 통해 체력과 정신력을 단련한다.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학사
2025-1학기
본 수업은 야외에서의 여러 가지 활동을 교육적인 측면에서 파악하여 이것을 교육활동으로서 활용함과 동시에 그 교육적인 효과를 조직적이며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인간성 함양을 수업의 목표로 하며, 야영을 통하여 자연 속에서 집단적, 자율적인 생활을 함으로써 다수 속의 자기를 객관적으로 보고 참된 협력과 공동의 생활을 체험할 뿐만 아니라, 야영생활의 기술을 익히면서 생활 전체의 모든 활동을 통해 체력과 정신력을 단련한다.
Simply psychology
Simply psychologyFreud and society
Freud and society
The watercooler effect : a psychologist explores the extraordinary power of rumors
The watercooler effect : a psychologist explores the extraordinary power of rumors
Talkers, watchers, and doers : unlocking your child's unique learning style
Talkers, watchers, and doers : unlocking your child's unique learning style
Redefining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Redefining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Seven skills of media literacy
Seven skills of media literacy
행복공장 =
행복공장 =
Family in transition
Family in transition
노벨 심리학자의 마지막 선택
노벨 심리학자의 마지막 선택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India : a world in transition
India : a world in transition
Writing training materials that work : how to train anyone to do anything : a practical guide for trainers based on current cognitive psychology and ID theory and research
Writing training materials that work : how to train anyone to do anything : a practical guide for trainers based on current cognitive psychology and ID theory and research
Using formative assessment to enhance learning,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regulation
Using formative assessment to enhance learning,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regulation
Media education :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Media education :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Manhood in America : a cultural history
Manhood in America : a cultural history
Literacy in Early Modern Europe : Culture and Education 1500-1800
Literacy in Early Modern Europe : Culture and Education 1500-1800
Manual of child psychology
Manual of child psychology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Learning to lead in higher education
Learning to lead in higher education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Tekleab A.G.,Laulié L.,De Vos A.,De Jong J.P.,Coyle-Shapiro J.A.M.Appetite
Elimelech E.,Mintz K.K.,Katz-Gerro T.,Segal-Klein H.,Hussein L.,Ayalon O.湖北开放职业学院学报 / Journal of Hubei Open Vocational College
陈茂礼; CHEN Mao-liKorea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Lukuan Tui湖北开放职业学院学报 / Journal of Hubei Open Vocational College
王莹; WANG YingCurrent Psychology: A Journal for Diverse Perspectives on Diverse Psychological Issues
Du, Gang; Lyu, Houchao; Li, Xiaobao教书育人(高教论坛) / Education and Cultivation
王燕; Wang YanEuropean Journal of Family Business
Vazquez, Pedro体育文化导刊 / Sports Culture Guide
葛新; 曹磊; GE Xin; CAO LeiForeign Languages Education
이귀분JAMA-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Lee, Hopin; Herbert, Robert D.; McAuley, James H.Clinical Psychological Science
Chiu C.D.,Ng H.C.,Kwok W.K.,Tollenaar M.S.黑河学院学报 / heihe xueyuan xuebao
郭亚; Guo Ya스토리앤이미지텔링
최성윤Pedagogy
Buckton-Tucker, Rosalind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Twele A.C.,Mondloch C.J.学术界 / Academics in China
Cui Can; Duan Cheng电化教育研究 / E-education Research
郑旭东; 张金胜; ZHENG Xudong; ZHANG JinshengE-Learning and Digital Media
Yang T.,Gunn C.에듀테인먼트연구
김종두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재능계발 교육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잠재적 재능을 인식하고 이를 계발시키는데 필요한 연구 수행의 기저가 되는 이론적 틀을 개관해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재능의 개념, 재능계발 이론과 모형들, 영역 일반적 vs. 특수적 재능, 재능의 특성과 본질, 특수한 형태의 재능(장애 영재, 신동, 천재 등), 그리고 최근의 재능계발교육 연구 동향들을 심도 있게 살펴볼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재능계발 과정에서 교육심리학 이론의 의의와 적용에 대해서 학문적이고 실제적으로 고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최근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매주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해서 세미나를 개최하고자 한다. 때로는 석박사 과정의 대학원생들이 자신의 최신 연구를 발표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학생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대학원생들이 취업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인간은 생물학적 존재이자 문화적 산물로서, 행동과 사고방식은 유전자와 환경, 그리고 문화적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된다. 이 강의는 생태적 환경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생존 전략, 번식 전략, 개체 차이, 사회적 협력, 자원 분배, 인간-자연 관계에 이르기까지 인류학의 틀에서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한국학'은 역사·예술 및 지역연구 등을 포함시킬 수 있는 외연이 넓은 과목이므로 이를 한국의 전통사상연구로 집중시키는 [한국사상특수연구]로 개설한다. 이 과목은 한국에서 발생한 사상과 한국에서 특수하게 발전한 사상을 연구한다.교양 / 학사
본 교과목은 핸드볼의 특성 및 효과, 경기 방법과 규칙을 강의한다. 또한 실기 수업을 통하여 핸드볼의 기초 기술과 경기 기술을 체득한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핸드볼의 기초기술(패스와 캐치, 드리블과 슛, 스텝)과 응용기술(페인팅 등), 그리고 핸드볼 전술을 경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핸드볼 경기방법과 규칙 등을 배우고 이후에는 심판법과 관람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소리’를 독립적인 미술의 재료이자 인식의 도구로 삼아, 감각과 지각을 확장하고 미술창작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시각 중심으로 구성되어 온 미술적 접근에서 벗어나, 청각을 대안적 감각으로 활용하여 사물, 공간, 환경을 새롭게 인식하고 상상하는 훈련을 진행한다. 기존 소리의 채집과 편집, 새로운 소리의 제작과 재구성 등을 실습하고, 시각 요소와 청각 요소의 상호작용, 더 나아가 이들 감각의 경계를 넘는 조형 언어를 창안한다. 이 과정을 통해 ‘듣기’의 감각적, 인지적, 미학적 가능성을 경험하고, 사운드를 기반으로 한 작품 제작의 상상력을 훈련한다.전선 / 학사
연기에 대한 기본적 요소들의 이해와 훈련에 중점을 둔다. 상상력·정서·감각·반응 등을 훈련한다.교양 / 학사
<포르투갈어입문 1>을 수강했거나 포르투갈어에 대한 초보적인 지식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개설된 교과목으로, 중급 수준의 포르투갈어 문법과 독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또한 포르투갈어권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포르투갈 및 브라질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한다.전선 / 학사
영어 관련 전공자 중 교육계, 학계, 그 외 관련 분야에서 활동하는 교내 및 외부 연사를 초청하여 강연을 듣고 질의, 응답 및 토론 시간을 가짐으로써 학생들이 스스로의 진로를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또한 학계∙교육계 외의 연사의 강연을 통하여 다양한 분야의 소양을 함양한 교양인으로서의 역량 향상의 기회도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심신통합치유과학에서는 심신일원론에 근거하여 건강과 질병에 있어서의 몸과 마음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숨겨진 신체(생리적)의 문제가 마음의 질병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마음의 무의식적 작용이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되거나 신체적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의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질병상태를 통합적으로 돌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실습을 통해 습득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에서는 아동가족학을 기반으로 한 문제예방적 개입(preventive interventions)이라는 관점에서 가족생활교육에 대해 학습한다. 이 교과목의 목적은 가족생활교육의 주요 개념 및 원칙을 이해하고,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을 학습하며,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보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은 크게 (1)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2) 주제별 가족생활교육으로 구성된다. 이 교과목을 통해 가족학의 주요 실천 영역으로서 가족생활교육의 특성을 이해하고,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실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교양 / 학사
학부대학세미나는 신입생 세미나의 한 형태로 새내기들의 사고력 향상과 성공적인 대학생활이라는 목표를 공유한다. 덧붙여 서로 다른 배경과 학문적 관심사를 가진 다른 학생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견문을 넓히고 리더십을 키우도록 한다. 수업 형태는 강의, 토론, 현장학습 등을 포함하며 학생 주도 프로젝트와 각종 비교과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 교류를 유도한다.교양 / 학사
초급 스와힐리어를 이수한 학생들 혹은 그에 상응하는 기초 실력을 갖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초적인 독해와 작문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며, 듣기와 말하기 실습수업을 강화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종합적인 언어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영재교육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재성의 개념, 관련 모형과 이론들을 전반적으로 개관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은 영재성의 판별과 인식, 영재들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특성, 영재 교육과정과 교수법, 그룹핑, 영재교육 프로그램 등의 주제들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서 영재성과 영재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접근 방법들, 현재 영재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슈와 주제들을 배우게 될 것이다. 본 강좌를 통해서 학생들은 학교 안팎에서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습자를 위한 교육의 논리와 접근법을 이해하게 되고, 이를 논리적이고 학술적인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게 될 것이다.교양 / 학사
혁신은 종종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책으로 찬양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혁신에 대한 열광적인 수용은 개인, 사회, 정치, 그리고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자주 간과한다. 혁신이 여러 분야에서 사회를 발전시킨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키며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강의에서는 혁신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수강생들이 현 상황에 의문을 제기하고 혁신을 전체적으로 고찰하도록 장려할 것이다. 기후 변화,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의 두뇌 유출, 그리고 인공지능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최신 사례 연구에 대한 강의와 토론을 통해 수강생들은 혁신의 다면성을 탐구하고 보다 포괄적이고 책임 있는 접근 방식을 위한 원칙을 개발할 수 있다. 이 과정은 학생들이 혁신에서 누가 혜택을 보고 누가 불이익을 당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생각하도록 하며, 경제적·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윤리적, 사회적, 환경적 차원도 함께 고려하게 한다. 다양한 관점을 접하면서 수강생들은 혁신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배우게 될 것이다.전선 / 학사
이 교과는 아동학 및 가족학 전공의 다양한 학술주제들을 선택하여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여 발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학술주제의 선택, 방법론의 결정, 자료 조사 및 분석, 결과 해석 등의 과정을 자율적으로 주도하여 학습한다. 아동가족자율연구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팀을 구성하여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국악교육론과 국악교수법의 통합과목임. 국악교육론은 국악교육의 철학과 역사 같은 원론을 다루며, 국악교수법은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각론을 다룬다. 이를 통해 수강자는 체계적이고 창의적인 국악교수 능력을 갖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