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첨단융합학부
첨단융합학부 신입생들의 전공탐색을 위한 공통필수과목으로서, 차세대지능형반도체, 융합데이터과학, 지속가능기술, 디지털헬스케어, 혁신신약 등 첨단융합학부의 다양한 전공 분야를 소개한다. 각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는 첨단융합기술의 핵심 개념과 다양한 응용 분야를 소개하고, 각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리더 특강을 통해 학생들이 졸업 후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loading...
공과대학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기계시스템 설계와 로봇 프로그래밍의 기초(M3228.001300) , 이산수학(4190.101)
이 강의는 자동차, 로봇, 스마트폰을 비롯한 여러 산업기기와 생활 가전 전 분야에 활용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객체들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실습을 수행함으로써, 설계 감각과 창의성을 키우는 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코딩으로 사물인터넷(IoT)을 구동시키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등)를 활용하여 컴퓨터의 구조를 이해하고, 온도, 습도, 빛, 소리, 동작, 이미지 등 다양한 센서와 디스플레이, 모터 등 구동 장치들이 연결되는 것을 확인하고, 그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IoT의 다양한 응용사례를 경험함으로써 기초부터 시제품 개발에 이르는 타 공학 설계 교과목들과도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
UHF RF-ID 및 Ubiquitous 네트워킹 기술개발 =
UHF RF-ID 및 Ubiquitous 네트워킹 기술개발 =
저전력 블루투스(BLE) : 저전력 무선 네트워킹을 위한 툴과 테크닉
저전력 블루투스(BLE) : 저전력 무선 네트워킹을 위한 툴과 테크닉
Rechargeable sensor networks : technology, theory, and application : introducing energy harvesting to sensor networks
Rechargeable sensor networks : technology, theory, and application : introducing energy harvesting to sensor networksRenewable energy
Renewable energy
Smarter energy : from smart metering to the smart grid
Smarter energy : from smart metering to the smart grid
Local area networking with Novell software
Local area networking with Novell software
The grid : blueprint for a new computing infrastructure
The grid : blueprint for a new computing infrastructure
Network topology optimization : the art and science of network design
Network topology optimization : the art and science of network designMemory architecture & parallel access
Memory architecture & parallel access
태양광ㆍ풍력발전과 계통연계기술
태양광ㆍ풍력발전과 계통연계기술
Advanced risk analysis in engineering enterprise systems
Advanced risk analysis in engineering enterprise systems
해킹 웹앱 : 웹 애플리케이션 해킹기법과 대응
해킹 웹앱 : 웹 애플리케이션 해킹기법과 대응
Fuzzy sets, decision making, and expert systems
Fuzzy sets, decision making, and expert systems
전력시스템의 이해
전력시스템의 이해
Database systems in science and engineering
Database system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undamentals of electric power engineering
Fundamentals of electric power engineeringRepresentation of fracture networks as grid cell conductivities
Representation of fracture networks as grid cell conductivities
Wireless communications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s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Dianwang Jishu/Power System Technology
Li L.,Li B.,Liu J.,Yang M.,Xu D.,Wei T.,Li W.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Ozturk E.,Ogliari E.,Sakwa M.,Dolara A.,Blasuttigh N.,Pavan A.M.Applied Sciences (Switzerland)
Bui N.,Vo T.,Kim B.,Oh J.AEU -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Wang P.,Wang X.,You H.,Yin J.,Zhan Y.,Qiao S.,Zhou Y.IEEE Open Journal of the Communications Society
Mekikis P.V.,Bouzinis P.S.,Mitsiou N.A.,Tegos S.A.,Tyrovolas D.,Papanikolaou V.K.,Karagiannidis G.K.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Timalsena K.R.,Piya P.,Karki R.데이타베이스연구
백승천, 차상균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Lianwei Bao, Jian Li, Jing Zhang, Xudong Li, Tianyan JiangAutomotive Innovation
Han X.,Feng X.,Ouyang M.,Lu L.,Li J.,Zheng Y.,Li Z.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Akhtar Hussain, 임성일, ChangJournal of Modern Power Systems and Clean Energy
Zhou G.,Zhang X.,Han M.,Filizadeh S.,Geng Z.Environmental Progress and Sustainable Energy
Simon Prabu A.,Chithambaram V.,Muthucumaraswamy R.,Shanmugan S.전기학회논문지
주성탁, 이교범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I: Express Briefs
Esmaeili S.,Khan A.A.,Jamil M.,Khan U.A.,Ahmed H.F.,Ahmed S.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Zeng J.,Liu F.,Liu J.,Cheng K.W.E.China Communications
Li A.,Dong C.,Wu F.,Tang S.,Chen G.,Wu Q.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박나연, 손철수, 김원중, 황인문, 이성제AEU -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Hesham A.R.,Nassar A.,Mostafa H.Energy Technology
Chehab M.H.,Khelil M.,Salah C.B.,Tlija M.,Rabhi A.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Xu B.,Yan Z.,Xiong L.,Zhang L.,Zhou W.,Mai R.,He Z.,Liu L.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고차원 데이터의 저차원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기하학적 방법을 소개한다. 미분 기하학의 기초(구체적 주제는 리만 다양체 및 Lie 그룹, 텐서, 커넥션 및 fiber 번들 포함)를 다룬 후, 고차원 데이터에 대한 기존 기계 학습 알고리즘(예: 매니폴드 러닝, 메트릭 러닝)의 기하학적 일반화 방법을 개발하여, 대칭적 구조가 존재하는 고차원 비유클리디언 데이터 문제에 적용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계산 알고리즘도 소개한다. 후반부에는 Ito 확률 미분 방정식의 관점에서 강화 학습과 확률 최적 제어 간의 관계를 고찰하여, 고차원 비유클리디언 데이터 강화 학습 문제에 적용 가능한 기하학적 방법도 개발한다.전선 / 학사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각종 주변 장치들로 하드웨어를 구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과목에서는 특정 응용에 최적화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하드웨어를 구성하고, 이를 동작시키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위한 이론 및 기법들을 습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아키텍처 및 내부 구조에 대해서 소개하고, 메모리 시스템 및 각종 입출력 장치의 구조 및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구성된 하드웨어를 효과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터럽트 처리 기법, 디바이스 드라이버, run-time library, firmware, 및 실시간 운영 체제(Real-time operation system: RTOS) 프로그래밍 기법을 설명한다. 프로젝트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실제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현해 봄으로써, 소개된 이론을 실습하고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노하우를 습득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의 목적은 제조 경쟁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일반적인 개념과 특성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팩토리의 구성 및 기능을 학습한다. 2) 공장 자동화의 일반적 개념을 이해하고 제어 시스템 및 PLC 등과 같은 공장 자동화 기본 구성에 관해 학습한다. 3) ERP, MES, APS, PLM과 같은 기업 정보 시스템의 기능에 관해 학습한다. 4) 지능화된 공장 운영을 위해 필요한 스마트팩토리 디지털 플랫폼과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에 대한 일반 개념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빅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다루는 대학원 수준의 과목으로,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부터 최신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 및 벡터 데이터베이스까지 포함하여 최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계(State-of-the-Art DBMS Design)를 중점적으로 다루게 됩니다. 또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트랜잭션/분석 처리(HTAP)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검색 증강 생성(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기술을 활용한 AI 기반 데이터베이스 응용을 다룰 예정입니다. 이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심도 있게 학습하게 됩니다. • 독립형 및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최신 구현 기법 (e.g., cloud HTAP DBMSs). • OLTP(온라인 트랜잭션 처리), OLAP(온라인 분석 처리), 벡터 검색(Vector Search) 워크로드 간의 설계 트레이드오프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설계 선택. • 벡터 데이터베이스(Vector Databases)개념 및 벡터 인덱싱 기술(예: HNSW, IVF, PQ, FAISS, ScaNN)과 고차원 데이터 검색을 위한 근사 최근접 이웃(ANN, Approximate Nearest Neighbor) 검색 알고리즘. •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와 벡터 검색 기술의 통합, 그리고 이를 AI 기반 분석, 추천 시스템, LLM(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검색 엔진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 • 최신 데이터베이스 연구 논문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향을 도출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제안하는 능력. 또한, 본 강의에서는 오픈소스 빅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및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활용한 실습과 프로젝트를 통해, 현대적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벡터 검색 기반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합니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고 송전하고 저장하는 기술에 관한 이론과 이에 관련된 응용 예를 제시한다. 즉, 전기에너지를 교류와 직류로 상호 변환하는 기술과 이에 관련된 회로를 학습하고 전력을 수송하고 전력망을 통하여 안정하게 배분하고 소비하게 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또한 고 자기장을 초전도 기술로 발생시켜 전력에너지 저장이나 고 자기장 기기에 응용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수강생은 다음과 같은 것을 학습한다. (1) 기초적인 전기 에너지변환 회로를 이해하고 해석하며 이를 응용하는 것, (2) 전력을 수송하며 저장하고 안정적으로 전력 계통을 운용하는 것에 관한 기초 이론과 이를 응용하는 것. (3) 자기적인 형태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또는 대 자기장을 이용하는 기기에 관한 기초 이론과 이를 이용하는 것.전선 / 대학원
전력 계통을 대형 시스템의 관점에서 시스템 이론과 기법을 적용하여 전자계산기로 해석하는 기법을 다루며, 주로 회로 토포로지 및 그래프 이론, 행렬 이론, 수리 계획법의 개념, 전력 계통의 수리 모형, 전력 조류계산, 고장 계산 과정 및 동적 안정도 해석, 써어지 해석, 전압 안정도 해석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전선 / 학사
건축환경분야의 통합적인 문제 해결 능력배양을 목적으로, 기존에 지어진 건축물을 대상으로 현재의 환경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실제의 건축 프로그램의 분석을 토대로 다양한 건축환경계획 및 설비시스템의 조건에 대응하여 주제별 개념정립, 분석, 시뮬레이션에 의한 대안 평가를 통해 종합적인 환경 개선을 위한 제안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건축법령의 기본적인 체계 및 이론의 연구를 통하여 공익과 사익의 조화라는 제도적 취지를 이해하고, 나아가 법규 질의 및 실무 사례에 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살아 있는 건축 법령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설계, 시공, 감리업무에 필수적인 기본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AI용 응용 혹은 서비스의 처리과정을 구현한 시스템반도체 회로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CPU, GPU, AP, microcontroller, DSP등의 프로세서, 모뎀등 통신용 반도체, 이미지 센서등 다양한 센서 반도체 및 구동회로등 다양한 시스템반도체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하드웨어 회로 설계, 및 구현 과정들을 수행한다. 설계된 회로의 동작 검증을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의 검증, FPGA 구현 검증, 혹은 칩 제작을 통한 검증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는 결과 보고서 및 제작품의 특성을 설명하는 구두 발표를 포함한다.전선 / 대학원
본 수업에서는 영상디자인의 포스트 프로덕션에 대해 배운다. 포스트 프로덕션이란 촬영된 영상 재료들을 재가공하는 과정으로 효과, 영상 및 사운드 편집을 통해 디자인 결과물로 마무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수강생들은 정확한 메시지 전달을 위해 스토리 보드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촬영, 편집, 사운드 디자인의 전과정을 실습을 통해 영상디다인 생산과정을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은 수학, 통계학 등의 다양한 이론과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서 생물학 문제들을 해결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본 과목은 “생명정보학의 이해”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선행과목의 이해를 바탕으로 기본이 되는 방법론과 아울러 국내외 생명정보학의 최신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보건학적 문제에 생명정보학이 어떻게 접근해서 응용되는지를 소개한다.전선 / 대학원
컴퓨터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공학적 방법론, 설계기법, 무결함 검증방법, 기술동향, 성능평가 방법을 익힌다. 구체적으로 다루어지는 내용은 파이프라인 형태의 명령어 실행 방법, 명령어 수준의 병렬성, 메모리 계층구조, 입출력 시스템, 다중처리기, GPU 및 가속기 아키텍처 등이다.전필 / 학사
이 과목에서는 운영 체제와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학습한다. 운영 체제의 중요 개념인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과 입출력,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병렬 프로그래밍 및 동기화 관련 내용들을 배운다. 수강생은 각각의 주제에 대해 이론적인 개념을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실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경험을 쌓는다.전선 / 대학원
한국어학 연구를 위해 컴퓨터를 활용하는 방법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어를 처리하는 자연언어처리의 연구 성과를 학습하고 실습한다. 텍스트 처리를 위해 유용한 유닉스 명령어와 통계 패키지 R 등의 도구를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프로그래밍 언어 Python으로 텍스트 처리를 위해 스스로 코드를 짤 수 있도록 하며, 딥러닝을 포함한 기계학습 기법을 자연언어처리에 활용하는 방법도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