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지리학과
대자연에서는 다양한 수문, 기상, 기후, 지형, 생물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자연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시공간상에서 펼쳐진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이라는 맥락에서, 지구를 기권(atmosphere), 수권(hydrosphere), 암석권(lithosphere), 생물권(biosphere)으로 나눈다. 본 교과목에서는 각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측조사와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각 영역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모아 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자연지리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환경정책의 입안과 효과적인 환경관리에까지 참여할 수 있는 지리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자유전공학부
본 과목은 주로 담당 교수와의 1:1 면담을 통하여 수강생이 장차 선택하거나 설계하고자 하는 전공과 관련된 학문적 내용과 방법, 장래의 가능성과 진로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설계전공을 하려는 학생은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지만, 기존의 전공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학생들도 이 강좌를 통해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필요시 강의 및 워크샵 등을 진행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실증적 분석을 통한 스포츠 경제, 그리고 스포츠 리그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프로 스포츠 팀의 사업과 경제, 스포츠 중계권, 선수 연봉과 같은 선수-조직 간의 문제, 대학 스포츠나 독점 금지법, 경기장 건립 재정 이슈등과 관련된 공공재정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이슈들에 대해 다룰 것이다.
loading...
사범대학 / 학사
2025-1학기
이 강의는 사범대학 신입생들이 능동적인 협력 학습에 참여해 봄으로써 ‘배움’과 ‘성장’, ‘학습’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범대 신입생들을 전공 구분 없이 15명씩으로 분반하여 강좌를 운영하고자 한다. 각 분반의 학생들은 함께 계발하고 싶은 능력이나 기술을 정한 후, 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 활동을 한 학기 동안 수행하게 된다. 타인 혹은 외부에서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던 대학 진학 이전의 학습 경험과 차별화된 ‘학생 주도 학습’, ‘협력 학습’을 체험해봄으로써, 공급자 중심의 ‘교육’ 현상을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학과나 전공이 다른 친구들과 협업하는 과정을 통해서 대학생의 핵심 기본 역량인 자기관리, 의사소통, 공감, 갈등관리 및 문제해결 역량을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Rethinking creativity : inside-the-box thinking as the basis for innovation
Rethinking creativity : inside-the-box thinking as the basis for innovation
Mus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contemporary issues
Mus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contemporary issuesWhen sparks fly : igniting creativity in groups
When sparks fly : igniting creativity in groups
Perspectives in bioregional education
Perspectives in bioregional education
Behavior in organizations : an experiential approach
Behavior in organizations : an experiential approach
Our man in Havana : an entertainment
Our man in Havana : an entertainment
Music education in your hands : an introduction for future teachers
Music education in your hands : an introduction for future teachers
Being and becoming scientists today: reconstructing assumption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o reclaim a learner-scientist perspective
Being and becoming scientists today: reconstructing assumption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o reclaim a learner-scientist perspective
Contemporary Daoism, organic relationality, and curriculum of integrative creativity
Contemporary Daoism, organic relationality, and curriculum of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ity and giftedness
Creativity and giftedness
Talk show and entertainment program processes and procedures
Talk show and entertainment program processes and proceduresIndian nights' entertainment : or, Folk-tales from the upper Indus
Indian nights' entertainment : or, Folk-tales from the upper Indus
가족을 위로한다 : 서로에게 서툰 가족을 위한 치유의 심리학
가족을 위로한다 : 서로에게 서툰 가족을 위한 치유의 심리학Advertising, prices, and consumer reaction : a dynamic analysis
Advertising, prices, and consumer reaction : a dynamic analysis
Entrepreneurial textile communities : a comparative study of small textile and clothing firms
Entrepreneurial textile communities : a comparative study of small textile and clothing firms
Certain fragments : contemporary performance and forced entertainment
Certain fragments : contemporary performance and forced entertainment
교육학 개론
교육학 개론
Dress and identity
Dress and identity
Creativity in the classroom : schools of curious delight
Creativity in the classroom : schools of curious delight
Aesthetic value in music :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from the classic literature of the field
Aesthetic value in music :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from the classic literature of the field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Garry F.,Phelan H.Journal of Dance Education
Clegg H.,Clements L.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Hyo-Jin Kim; Ji-Won Moon; Bo-Ran Han; Ho-Jung Choo; Kyu-Hye LeeSport in Society
Kim M.J.,Mao L.L.包头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Baotou Vocational & Technical College
王宝存; 董立江; Wang Baocun; Dong Lijiang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권유진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Yang, Junyi; Lawrence, Joshua F.; Grøver, Vibeke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Hodgson L.M.,Wilkie K.J.Leonardo
Hemment, Drew; Murray-Rust, Dave; Belle, Vaishak; Aylett, Ruth; Vidmar, Matjaz; Broz, Frank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유은정; 우연경; 이인태Behaviour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rkin M.T.,Liang J.,Meissel K.,Peterson E.R.,Corkin E.,Lee K.,Giacaman N.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Choi, Su Jung; Jeong, Jin Chul; Kim, Seoung Nam中州学刊 / Academic Journal of Zhongzhou
石亚兵; Shi Yabing철학∙사상∙문화
김진근한국무용과학회지
최진영, 조남규한국의류학회지
강지혜, 진병호, Mark Gavin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Langcheng Zhang; Xuan Zhou; Chen Lou; Haoran Qiu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ong, Chang-Geun; Lee, Kyeong-HwaJournal of Research in Interactive Marketing
Qin Y.S.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Shiyu Xu; Michael J. Reiss; Wilton Lodg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이 과목은 학생들이 의학이 가지고 있는 인문사회학적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의학을 사회적, 인간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건강과 질병의 관계, 환자의 질병행동, 생활과 건강의 관계를 다각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환자와 인간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실용학문인 음악교육에 대하여 개괄하고, 학교현장에서 음악교사로써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기르며 음악교과교육에 대한 기반을 다진다.일선 / 학사
이 강좌는 강의와 워크샵을 통해 국악의 각종 장르와 공연 형태에 대한 개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국악을 통해 한국 역사, 문화, 그리고 현대적 발전 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음악적 개념과 미학만이 아닌 시대에 따른 정치, 사회, 문화의 변화와 국악의 접점을 다룬다. 월,수,목 수업 중 월요일 전수업과 수요일 수업 전반부는 강의 중심으로 진행이 되며, 수요일 수업 후반부와 목요일 수업은 춤, 리듬, 민요, 악기 등에 대한 시범 및 실습으로 이루어진다. 수강생은 해금 및 가야금을 배우며 수업 기간 중 국립국악원 견학 및 공연관람이 있을 예정이다.교직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예비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교육심리학 지식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인지발달, 정서발달, 학습이론, 지능, 특수아동, 학습동기, 평가에 대한 내용들이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다루어진다.전선 / 학사
이 강좌의 목적은 학부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미 배운 경제이론을 심화시키는 한편, 경제학의 여러 주제에 대해 자신이 생각한 바를 직접 발표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경제이론을 현실에 응용하는 능력의 배양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학생들이 직접 쓴 글을 발표하게 함으로써 논문작성과 발표에 대한 기본소양을 쌓게 하는 것도 강의의 한 중요한 측면이다.전필 / 학사
이 교과목은 학교, 기업, 기타 산업인력개발기관에서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교수-학습능력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산업인력개발에 많이 사용되는 문제해결, 문제중심학습(PBL), 액션러닝, 성과중심교육(PBI), 역량중심교수(CBT), 도제제도, 직무상훈련(OJT), 모듈교수, 학습공동체 등 다양한 교수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이 교과를 통해 평생학습의 중요성과 다양한 계층의 학습자 특성을 이해하고, 여러 교수방법을 습득함으로써 다양한 인력개발 상황에 적합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교양 / 학사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학이 컴퓨터와 정보사회의 태동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교양인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평이하게 다룰 예정이다. 특히 수학과 컴퓨터의 상호 의존적 발전과정에 그 초첨을 맞출 예정이며 나아가 현재 컴퓨터 과학/기술/사회의 중요한 이슈가 수학과 어떻게 결부되어 있으며, 수학과 컴퓨터의 미래관계가 어떠할 지에 대해 조망해 보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의 목적은 사회문화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과학교육 연구를 이해하고, 사회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연구 역량을 기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Vygotsky를 비롯하여 Leo'tev, Luria 등의 업적을 이해하고, 최근 발달한 activity theory를 Engestrom, Wertsch 등을 중심으로 다룬다. 또한 과학교육에 사회문화적 접근을 도입한 대표적인 연구 성과와 최근의 새로운 동향을 이해하도록 한다. 사회문화적 접근을 토대로 과학 수업과 과학교사의 실행, 과학 교육 정책 등을 이해하는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소규모로 적용한다.전선 / 대학원
과목은 환경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내용 개발과 조직 방법을 다룬다. 주요 강의 내용은 초중등학교의 정규 과목시간과 특별활동시간 및 학교장 재량시간에 운영될 수 있는 다양한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및 사회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것이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학부 고학년 학생들이 융합적인 주제로 학습과 토론을 함으로써 창의적 성과를 산출하는 경험을 얻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전공을 진행 중인 수강생들이 모여 자신의 학습 경험을 토대로 다른 수강생들과 협력하여 창발적인(emergent) 연구를 기획하게 될 것이다. 수강생들은 조를 구성한 후 담당 교수의 지도하에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주제를 자율적으로 설정하고, 방법론에 대한 협의를 거쳐 연구 계획서를 공동으로 집필하게 된다. 기말에 예비적 탐구 결과를 발표하며 상호 비판적 견해를 교환하게 될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개인의 지적 능력을 개발하는 동시에 집단 창의성과 융합적 문제 해결 방식을 경험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전선 / 대학원
예술 기획, 마케팅, 재원조성, 교육의 모든 예술경영 요소를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가상의 예술기획사업 및 운영을 위한 장·단기 경영전략을 세워본다.교양 / 학사
한국 전통문화는 일제 강점기 이후 근대화‧서구화‧자본주의화 과정 속에서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설, 영화, 웹툰 등 다양한 장르에서 문화콘텐츠로 활용되며 한국인의 삶에 새롭게 뿌리내리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영화 등 대중매체를 통해 현대 한국인의 일상에 자리하고 있는 전통문화의 변화과정과 현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이 현대 한국인의 삶과 전통문화의 관계 및 관광 상품‧문화콘텐츠 등 현대 사회 전통문화의 새로운 존재방식을 이해하도록 한다. 본 강의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강생들이 전통문화의 토대 하에 구성된 한국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보다 잘 설계하고 영위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데에 있다.전선 / 대학원
국악지휘전공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하는 전공과목으로 4학기 반복 이수한다. 악보분석, 지휘법 등 현대 국악관현악 지휘에 필요한 요소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각 전공자에 대해 개인지도로 이루어지는 실기 교과목으로 다양한 악곡을 분석함으로서 각 악곡마다 필요한 개별적인 이해 향상을 통해 지휘자로서의 소양을 갖출 기회를 제공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디자인 공예 교육에 관한 비평적 토론과 글쓰기를 통해서 논술과 관련된 디자인 공예 교육의 문제를 연구한다. 디자인 공예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 공예 학습 현장에서 비평적인 시각을 견지할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한편, 디자인 공예 교육에 관한 비평적 글쓰기를 다양한 관점에서 학생들이 실습하도록 한다.논문 / 대학원
이 수업에서는 논문쓰기에 대한 지도를 한다.논문 / 대학원
이 과목은 지도교수와 학생간의 상의를 통해 주제를 선정, 연구와 검토를 거쳐 발표, 토론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를 정리하여 논문작성을 위한 학문적인 훈련을 쌓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