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기·정보공학부
이 강좌는 전기전자 공학을 전공으로 학습하기 시작한 학생에게 전기전자 공학의 기초적이며 전반적인 원리 및 응용과 보고서 작성법, 구두 발표방법 등의 지식 및 연구윤리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개설되었다. 강좌의 내용은 전기전자 공학의 역사, 기초 원리, 응용 및 전기전자 공학의 전망 등을 다루어서 전공 분야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아울러, 공학자로서의 갖추어야 할 능력인 보고서 작성법, 구두 발표 방법, 연구 윤리에 대해서 강의한다. 이 강좌를 통하여 전공 분야에 대한 폭 넓은 시야를 갖도록 하며 공학 연구자로서의 기본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려 한다.
loading...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주제탐구세미나 1(991.101) , 전공설계 1(991.103)
이 강좌는 전기전자 공학을 전공으로 학습하기 시작한 학생에게 전기전자 공학의 기초적이며 전반적인 원리 및 응용과 보고서 작성법, 구두 발표방법 등의 지식 및 연구윤리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개설되었다. 강좌의 내용은 전기전자 공학의 역사, 기초 원리, 응용 및 전기전자 공학의 전망 등을 다루어서 전공 분야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아울러, 공학자로서의 갖추어야 할 능력인 보고서 작성법, 구두 발표 방법, 연구 윤리에 대해서 강의한다. 이 강좌를 통하여 전공 분야에 대한 폭 넓은 시야를 갖도록 하며 공학 연구자로서의 기본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려 한다.
The global news challenge : market strategies of international broadcasting organiz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global news challenge : market strategies of international broadcasting organiz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Manga in theory and practice : the craft of creating manga
Manga in theory and practice : the craft of creating manga
The field orientation principle in control of induction motors
The field orientation principle in control of induction motors
Sociological theory, values, and sociocultural change : essays in honor of Pitirim A. Sorokin
Sociological theory, values, and sociocultural change : essays in honor of Pitirim A. Sorokin
Schooled to work : vocationalism and the American curriculum, 1876-1946
Schooled to work : vocationalism and the American curriculum, 1876-1946
Этнография народов Сибири
Этнография народов Сибири
Curriculum development : linking science education to life : report.
Curriculum development : linking science education to life : report.
Arranging & describing archives & manuscripts
Arranging & describing archives & manuscripts
Ethics in engineering
Ethics in engineering
Your opportunities in vocational agriculture
Your opportunities in vocational agriculture
International shopping center architecture : details, concepts & projects
International shopping center architecture : details, concepts & projectsTransportation and traffic engineering handbook
Transportation and traffic engineering handbook
Rethinking religious education and plurality : issues in diversity and pedagogy
Rethinking religious education and plurality : issues in diversity and pedagogy
Teaching and research in contemporary higher education : systems, activities and rewards
Teaching and research in contemporary higher education : systems, activities and rewards
Possibilites for australian-Korean co-operation in higher education
Possibilites for australian-Korean co-operation in higher educationAncient Greece : art, architecture, and history
Ancient Greece : art, architecture, and history
Biosystems engineering
Biosystems engineering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
Liberal Arts Education and Colleges in East Asia :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the Global Age
Liberal Arts Education and Colleges in East Asia :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the Global Ag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The Counseling Psychologist
William Liu교양교육연구
이광동; 박승우西南石油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Southwest Petroleum University (Social Sciences Edition)
钱广; QIAN GuangWhiteness and Education
Epstein S.E.,Schieble M.黑河学刊 / Heihe Journal
仉君; Jun Zhang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Industrial Informatics, IEEE Transactions on, IEEE Trans. Ind. Inf.
职业技术 / ZHIYE JISHU
乔亮; QIAO LiangArts and Humanities in Higher Education
England L.齐齐哈尔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 Journal of Qiqihar University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 Edition)
喻晓静; 刘佳佳; YU Xiao-jing; LIU Jia-jia哈尔滨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Harbin Institute of Vocational Technology
孙百鸣; 王欣; 杜丽萍; SUN Baiming; WANG Xin; DU Liping黎明职业大学学报 / Journal of Liming Vocational University
王金选; WANG Jinxuan武术研究 / Wushu Studies
韩亚军; Han Yajun数字通信世界 / Digital communication World
姚峰; 程筱箐; YAO Feng; CHENG XiaoqingArt Education
Sutters J.P.,Kardambikis C.,Silva S.铜陵学院学报 / Journal of Tongling University
刘中侠; 沈叶; 蒋诗泉; LIU Zhong-xia; SHEN Ye; JIANG Shi-quan대한건축학회논문집
권준범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Morton M.,McIlroy A.M.,Macarthur J.,Olsen P.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Tūtlys V.,Spöttl G.Rethinking History
Carden C.成才之路 / The Road to Success
宋卫; Song Wei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과목은 전공을 선택한 자유전공학부 3~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으로 특정 주제에 대해 전공을 달리하는 학생들이 함께 모여 교재를 읽고 강의를 들으며 토론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타 학문의 시각과 융합적 시각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목의 주제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은 물론 문화, 예술, 공학 등 분야에서 심층적 주제를 선정할 예정이며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팀을 이뤄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와 팀 리서치 등을 필수 과제로 포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본 과목은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해결 능력, 융합 능력, 자기주도학습 능력, 협업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의료기술개발, 제약, 및 생명공학 분야의 기업인을 초청하여 최근의 연구개발 현황 및 산업 동향 등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며, 궁극적으로 산학협력을 위한 기반인프라를 조성한다. 특히 최근 생명공학산업분야의 발전방향을 학생들에게 소개함으로써 학문의 응용을 배울 수 있게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평생교육사 자격취득을 위한 필수 과목이다. 평생교육기관에서의 실습을 통해 우리나라 평생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평가, 홍보 등의 실제 능력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논문 / 대학원
특정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 과제를 형성한다.전선 / 대학원
다양한 금속소재와 기법을 바탕으로 창의적 감각의 형태를 제작 연구한다.전선 / 학사
재료공학부 전체 교수가 참여하여 현재 각 교수들이 수행하고 있는 연구를 자세한 배경 설명을 곁들여 소개함으로써 재료공학이라는 학문이 실제로 어떻게 응용이 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미래에 재료공학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될 것인가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장래 목표설정에 도움을 주는 강좌로 개설됨.교양 / 학사
본 과목은 이공계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및 실험 활동과 이를 뒷받침하는 학문적 인프라에 대한 소개. 그리고 인문학적 기초지식 제공을 통해 과학 활동의 기본 원칙과 핵심 개념을 학습하게 하는 과목임. 최근 강조되고 있는 바람직한 연구 활동의 필요성과 그 배경에 대해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정성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올바른 연구 수행(Good Research Practice, GRP)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 강의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됨. 먼저, 과학 연구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배경(인문사회 및 이공계 포함)을 소개한 후, 실천 윤리를 바탕으로 한 실험 설계 및 연구 수행(이공계 중심), 데이터 분석과 통계, 논문 및 보고서 작성, 실험 인프라(예: 실험동물, 연구 품질관리), 지식재산권과 산업적 응용(창업 등), 과학의 발전과 미래 트렌드, 종합 토론 순으로 이어짐. 이 과목은 대학원 개설 과목인 ‘실험디자인과 논문작성’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부 신입생 수준에 맞게 난이도를 조정하고 과학적 이해를 위해 인문사회과학의 식견을 제공하면서 쉽게 풀어낸 입문형 교과목임. 과학적 사고와 연구 윤리에 대한 기초 소양을 쌓고자 하는 학생들과 (부)전공을 선택해야 하는 학생에게 적합함.전선 / 대학원
이 과목에서는 체육학 연구에 필요한 방법론을 소개한다. 본 과목은 체육학의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고 세부전공별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주제설정, 연구설계, 양적/질적 연구방법 등 체육학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 개념과 방법을 폭넓게 공부한다.전선 / 학사
미디어의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과 테크닉을 자신의 방식으로 해석, 활용하여 여러 차원의 시공간에서 구현하는 작품제작 수업전선 / 학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공지능, 로봇공학,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유전공학 등의 신기술은 우리 삶의 형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삶에는 새로운 윤리적 통찰력이 요구되는 바, 본 수업은 학생들이 새로운 기술과 그 윤리적 의미에 대해 성찰하도록 초대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의 시대에 함께 대비할 것이다. 다음은 수업에서 다루게 될 연구문제들의 예이다. "노인, 젊은이 또는 장애인과 같은 취약한 사람들을 돌보는 일에서 로봇이 인간 간병인을 돕거나 대체하도록 신뢰하고 맡겨도 되는가?”“만약 무인자동차가 사고를 일으키면 그 도덕적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아기의 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전 공학을 사용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허용되는가?“교양 / 학사
이 강의는 서양근대주의의 문화관에 대한 반성 위에서 환경과 역사의 상호작용이라는 새로운 문명사적 시각에서 한국문화의 역사적 흐름을 통찰하고자 한다. 종교, 과학, 예술, 정치, 사회 등의 여러 영역에서 발견되는 한국의 문화적 특징들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인류문명의 보편적인 시야에서 해석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무인이동체 제작 및 성능평가 1, 2」에서 제작한 시제품을 대상으로 성능평가와 이에 따른 수정 및 보완과정을 통해 완제품을 만드는 과정을 실습하게 된다. 성능평가는 구조, 공력, 동수력, 추진, 소음, 임무성능 등의 분야에 대해서 시험시설 및 운용환경에서 이루어진다. 시험을 위해 시흥캠퍼스 지능형무인이동체연구동 시설을 이용하며, 운용환경 평가는 임무에 따른 구체적인 시나리오 기반으로 수행되어 대학원생이 제작한 무인이동체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를 추구한다. 또한, 최적설계 과정에서 예측되었던 성능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에는 시스템 공학 측면에서 문제를 식별하고 수정소요를 최소화하면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대학원생은 본 교과를 통해 임무분석에서 부터의 시작된 최적설계의 결과가 실제 무인이동체의 완제품으로 구현되는 전 과정을 체험함으로써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문제 해결형 인재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전선 / 대학원
「과학기술과 법」은 과학기술의 그릇된 사용을 규제하고, 과학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법 제도를 연구한다. 과학기술을 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기술, 에너지와 환경, 의약기술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 개별 기술과 법과의 관계를 각 기술의 특성에 따라 강의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빈번하게 일어나는 과학기술과 법의 접점과 상호작용에 대해서 다룬다. 과학기술과 법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은 이공계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현대 사회 속에서 과학기술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는 과학적 사실과 법적 사실, 증거의 의미, 정보통신기술과 법, 생명공학과 법, 신경과학과 법, 규제과학과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몇 가지 주제에 대해서는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수들을 초빙해서 초청강연을 들을 계획이다. 이 수업은 이공계학생들을 위해서 개설되는 것이지만, 과학기술사회를 더 잘 이해하고 싶은 인문사회계열 학생이나 법학전문대학원 학생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미술작품의 제작에 사용된 바탕, 안료, 접착제 등의 재료적 측면과 기법적, 양식적 측면, 관식 등의 다양한 측면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연구해 봄으로써 작품이 함의하는 바를 종합적으로 밝혀보고, 진본과 안작을 변별해 보는 과정이다. 조형예술 양식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다양한 실습이 병행되고 미술학, 재료학, 화학 등 여러 분야의 연구와도 연계된다. 실제 작품의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축적하고 작품의 복원과 보존, 그리고 감정에 응용한다.전선 / 대학원
미술관 및 갤러리를 위한 전시를 기획, 디자인 그리고 실행하는 법에 대해 학습한다. 전시 기획, 비평, 설치, 운송, 계약, 거래 등 국내 환경에서의 실무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하며 강의는 사례 분석과 가상 프로젝트 수행 및 각 분야 전문가들의 초빙 강연으로 이루어진다.논문 /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