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간호학과
본 교과목은 기본간호학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실습과목이다. 학생들은 실험실에서 기본간호 술기를 연습함으로써 환자 간호에 필요한 기초적 간호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교과의 주요내용은 간호사정, 간호진단, 상처 간호와 심폐소생술, 영양, 배설, 산소간호, 투약에 대한 기술을 실습하는 것이다.항공우주공학과
본 과목에서는 기존에 배운 유체역학, 열역학, 열전달 등에서의 지식을 확장하여,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시스템의 해석을 목표로 한다. 연소, 폭발, 레이저 조사 등에서와 같은 아주 빠르고, 상변화를 수반하는 시스템에서의 열 및 물질 전달 이론을 공부하여, 현실 속의 여러 고에너지 현상을 분석하는 안목을 기르고, 미래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그린에너지 시스템도 다뤄질 것이다.
loading...
공과대학 항공우주공학과 / 학사
2023-2학기
권장 선수과목 전산유체역학 기초(M2795.003500) , 연소공학원론(M2794.012900)
본 과목에서는 기존에 배운 유체역학, 열역학, 열전달 등에서의 지식을 확장하여,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시스템의 해석을 목표로 한다. 연소, 폭발, 레이저 조사 등에서와 같은 아주 빠르고, 상변화를 수반하는 시스템에서의 열 및 물질 전달 이론을 공부하여, 현실 속의 여러 고에너지 현상을 분석하는 안목을 기르고, 미래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그린에너지 시스템도 다뤄질 것이다.
Frictional ignition of gas during a roof fall
Frictional ignition of gas during a roof fall
Combustion of liquid fuel sprays
Combustion of liquid fuel sprays
Applied combustion
Applied combustionFundamentals of solid-propellant combustion
Fundamentals of solid-propellant combustion
Thermodynamics and gas dynamics of the Stirling cycle machine
Thermodynamics and gas dynamics of the Stirling cycle machine
Gas turbine fuels and their influence on combustion
Gas turbine fuels and their influence on combustion
Numerical modeling in combustion
Numerical modeling in combustionDiffusional mass transfer
Diffusional mass transfer
Combustion : a study in theory, fact, and application
Combustion : a study in theory, fact, and application
Mechanical design of heat exchangers
Mechanical design of heat exchangers
The thermodynamics and gas dynamic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The thermodynamics and gas dynamic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Centrifugal compressor design and performance
Centrifugal compressor design and performance
Practical guide to industrial boiler systems
Practical guide to industrial boiler systems
Methane emission from U.S. coal mines : a survey
Methane emission from U.S. coal mines : a survey
Detonation initiation in alkane-oxygen mixtures by Elton L. Litchfield and Marilyn H. Hay.
Detonation initiation in alkane-oxygen mixtures by Elton L. Litchfield and Marilyn H. Hay.
Porosity valley, portable holes
Porosity valley, portable holes
Primary gas toxicities and smoke particle characteristics during a two-stage combustion of mine conveyor belts : development of a test parameter
Primary gas toxicities and smoke particle characteristics during a two-stage combustion of mine conveyor belts : development of a test parameter
Mathematical modeling in combustion science
Mathematical modeling in combustion science
Major research topics in combustion
Major research topics in combustionCombustion
CombustionCombustion fundamentals of fire
Combustion fundamentals of fire
Combustion
CombustionCombustion
Combustion
Combustion engineering issues for solid fuel systems
Combustion engineering issues for solid fuel systems
Combustion, flames and explosions of gases
Combustion, flames and explosions of gases
Rocket propulsion elements : an introduction to the engineering of rockets
Rocket propulsion elements : an introduction to the engineering of rockets
Combustion, flames, and explosions of gases
Combustion, flames, and explosions of gases
Rocket propulsion elements : an introduction to the engineering rockets
Rocket propulsion elements : an introduction to the engineering rockets
Physics of shock waves and high-temperature hydrodynamic phenomena
Physics of shock waves and high-temperature hydrodynamic phenomenaFuel
Sakai S.,Rothamer D.Journal of Engineering for Gas Turbines and Power
Mattias E. G. Eck; Philipp zur Nedden; Jakob G. R. von Saldern; Christoph Peisdersky; Alessandro Orchini; Christian Oliver PaschereitResults in Engineering
Aboubaker M. Elbashir; Abdellatif M. Sadiq; Samer F. AhmedEnergy
Ahmadi Z.,Zabetian Targhi M.Proceedings of the Combustion Institute
Fang R.,Kukkadapu G.,Wagnon S.W.,Pitz W.J.,Sung C.J.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Gong L.,Duan Q.,Liu J.,Li M.,Jin K.,Sun J.Case Studies in Thermal Engineering
Liu C.,Zhu G.,Yan B.,Hou G.,An C.Proceedings of the Combustion Institute
Ma P.C.,Wu H.,Jaravel T.,Bravo L.,Ihme M.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Shin D.,Na M.W.,Lee J.I.,Kim Y.,Kim S.J.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Demirbas M.,Yesilyurt M.K.Combustion and Flame
Pan K.,Wallace J.S.Applied Sciences (Switzerland)
Tureková I.,Marková I.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null Wardika; null Fauzun; Aa Setiawan; Dewi Indriyanawati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한성빈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Hu Q.,Liu H.,Zhang Z.,Pei X.Fire Safety Journal
Wang X.,Fleischmann C.,Spearpoint M.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Feng C.T.,Lin W.C.,Luo J.W.,Shu C.M.Fuel
Ding H.,Ouyang Z.,Su K.,Wang W.,Zhang J.,Wang H.,Zhu S.Fuel
Zhang Q.,Xia J.,Wang J.,He Z.,Qian Y.,Lu X.Journal of Supercritical Fluids
Xia Y.,Lu Y.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전산역학(유체 및 고체)에 기반을 둔 본 교과목은 일종의 Numerical Recipe를 수강자에게 제공하고자하며 각자의 연구 목적에 맞는 Integrated Reacting Flow Solver를 개발할 수 있는 소양을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원자력발전, 방사성폐기물 밀봉, 차세대 원전 개발 및 핵융합 연구의 확대에 따라 안전계통의 고장 또는 파괴를 사전에 예방하는 재료기술을 확립하여 방사능 누출사고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원자력시스템의 과열사고에 대처하여 재료계통의 첨단화를 통한 안전성의 강화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하였다. 또한 원자력재료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여야 신기술개발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본 과목에서는 원자력시스템의 안전과 성능에 핵심적인 재료와 구조-부품의 설계원리, 재료의 경년열화현상을 평가 및 예측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 과목에서는 시스템에 쓰이는 재료의 기본적인 거동을 이해한다. 또한 발생 가능한 문제들을 Case Study로 다루고 이를 대처하기 위한 규정을 이해하고 신뢰성을 선진화할 수 있는 방안을 교육한다.전선 / 대학원
원자로안전해석 1에 이어 원자로 안전해석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수업은 현재 원자력연구소에 소속된 실무 연구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RELAP 코드를 실제로 다루어 보고 RELAP의 주요 열수력 세부 모델링에 대해 배우게 된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기계공학의 기본 과목의 하나인 열역학의 여러 개념들을 이해함으로써 공학적 응용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열역학의 기본 법칙들인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밀폐시스템 및 개방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본 지식들을 공식화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열역학적 상태량들의 변화를 계산하고, 복잡한 현상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기본적인 물리적 개념을 확립시키는 학습이 수행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원자력발전소 계통의 주요 특성을 공부하고, 계통 설계를 위한 열역학의 기본을 배운다.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원자로 계통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가압경수로, 가압중수로, 비등경수로, 가스냉각로, 소형모듈 원전, 액체금속로 등 다양한 원자로 노형의 계통에 대한 이해와 발전소 사이클에 대한 기본지식을 제공한다. 또한, 가압경수로형 원전의 주요 계통인 원자로, 증기발생기, 가압기, 냉각재펌프, 터빈, 그리고 2차 계통에 대한 기본 이론을 소개한다.전필 / 학사
물리화학 중 열역학에 해당하는 내용을 다루는 교과목으로, 지열에너지, 탄화수소,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등 지하 에너지 자원을 활용하는 데 있어 핵심이 되는 기본 개념들을 학습한다. 순물질과 혼합물질의 상거동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기초 물리화학 지식, 내부에너지, 열역학 제 1법칙, 엔탈피, 상태방정식, 엔트로피, 열역학 제 2법칙, 퓨가시티, 상평형 등을 배운다. 순물질과 간단한 혼합물에 대한 예를 통해 학생들의 물리화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전선 / 대학원
항공우주공학 분야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에 대비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청정 연료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항공우주공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며, 이러한 발전 방향성이 동력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수소 및 바이오 연료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려한다. 미 연방의 에너지 독립 및 보안법 수립과 그 목적에 따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항공 산업에의 바이오 연료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바이오 연료의 공급원료와 다양한 모델에 대해, 항공 산업에의 바이오 연료 도입의 실현 가능성을 판별한다. 전기, 전력 추진기관에 대해서 역시 함께 학습한다. 종래의 연소 기반 추진기관에서 발전한 터보 팬 엔진이 친환경 수요에 따라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는지를 알고, 이차전지가 항공 산업에서 적용되는 방향성에 대해 학습한다.전필 / 학사
열과 일, 에너지에 대한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열에너지의 이용 효율 극대화를 위한 열역학 시스템의 공학적 설계 능력과 성능 분석을 위한 기초과학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농산물 저장, 건조, 운송, cold--chain 등에 적용하고, 생명공학이나 물질대사, 자연환경 에너지의 분석, 폐기물 처리 등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전선 / 학사
원자로 열유체 현상은 원자력 발전소의 효율 및 안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원자력 공학 전공자들은 이에 대하여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원자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열수력 현상에 대한 실험 및 실습을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실험 및 계측의 원리를 이해하고 2상유동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본 교과목의 세부 목표는 다양한 열유체 계측 방법 이해(온도, 압력, 유량, 유속 등), 실험을 통한 유체의 거동 이해, 이론 및 실험을 통한 2상유동 현상 이해, 이론 및 실험을 통한 2상유동 열전달 및 비등현상 이해 등이다.전선 / 대학원
저온공학의 기본 이론과 그 응용예들을 다루며, 저온의 생성 원리, 저온 사이클 구성 및 해석, 저온유지, 저온유체의 저장 및 이동, 액화시스템, 진공시스템 등에 관해 취급한다. 극저온영역에서의 온도 측정 및 온도 표준에 대하여 알아보고, 저온냉동시스템의 종류, 구성, 해석방법, 성능 등에 관해 학습한다. 다양한 종류의 액화장치를 다루며, 저온시스템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다공성물질은 수많은 기공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석유공학, 농업공학, 수문지질학, 토양역학과 같은 전통적인 이공학 분야부터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바이오, 에너지, 환경 분야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응용된다. 이 강의는 수업을 통해 다공성물질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전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다루는 다공성물질 문제와 해석 기법에 대해서 발제/토론한다. 그리고 논의된 여러 문제 중 하나를 프로젝트 주제로 하여 이를 해결하거나 해석하는 창의적인 방법을 기획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 강의는 다공성물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다공성물질 문제를 해석하는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필 / 학사
열역학은 에너지를 일과 열의 형태로 이용하는 모든 기계설비(터빈, 펌프, 열교환기, 엔진 등) 와 상(phase) 분리설비(Separator) 설계의 기초가 된다. 에너지, 일, 열의 관계를 계산하는 법, 이상적인 열기관 및 실제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계산하는 법, 물질의 물성을 정량적으로 계산하고 상평형 상태에서 기체, 액체에 존재하는 물질의 양과 조성을 계산하는 법을 배운다. 또한 해양 플랫폼 및 선박에 탑재되고 있는 열역학 기반 시스템의 원리를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스스로 지속가능한 화학적 에너지의 변환과정인 연소현상에 관련된 열화학, 연소 파동, 반응역학, 물질 이동/전달 이론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추가로, 난류 연소현상에 대한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공학적 응용에 필수적인 결과들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분석 및 토론한다. 이론중심 강의로서 열역학, 유체역학 및 화학 관련 기초 학부과정 수준의 배경 지식을 필요로 하지만, 대부분의 필요한 기초 내용을 강의 중 요약 소개한다. 세부 강의 내용으로는 열화학 개론, 연소 파동, 연소 반응 역학, 연소반응 중 질량 및 에너지 전달 현상, 물질 및 에너지 보존, 예혼합 연소 현상, 기초 난류 연소, 연소 응용, 추진 기초 등이 있다.전선 / 대학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핵물질을 포함한 악티나이트 원소와 함께 핵분열 반응에서 만들어진 핵분열생성물들이 원소 기준으로 약 40개 이상, 동위원소 기준으로 400개 이상 존재할 수 있는 복잡한 물질이다. 이러한 동위원소들의 거동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운반, 저장, 처리, 재활용, 처분 등 전 단계에 걸쳐 이해하려면 각 동위원소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강좌별로 X선 분석, 하전입자 분석, 중성자 분석, 레이저 분광, 전기화학 측정,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등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진다. 또한, 본 과정의 강의를 통하여 배운 지식이 현장에서 그것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실제로 보고 체험하며, 현장 전문인력과의 세미나를 통하여 심도 있는 지식을 획득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국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연구시설(International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URL)의 탐방과 현장의 전문인력과의 세미나를 통하여 직접적인 관리경험(hand-on experience)을 터득하는 과정은 학생들에게 필수적이며 큰 도움이 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열이 전달되는 메카니즘과 열전달의 해석 및 응용 문제들을 학습하며 이러한 원리들이 열전달을 이용하는 기계 및 장치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공부한다. 열전도, 열전달 계수의 개념과 강제대류와 자연대류의 해석 방법을 공부하며 복사 열전달에 관한 메카니즘을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석유공학은 탐사, 시추, 평가, 유정완결, 생산, 저류층관리, 경제성 분석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석유와 가스의 탐사기법, 시추를 위한 준비작업, 해상 및 유상시추의 원리와 특성, 초심해시추의 특성과 신기술, 유정완결의 기법과 특성, 검층(well logging)기법의 종류와 적용, 생산시설, 저류층 관리, 석유 및 가스개발 프로젝트 경제성 평가 등 핵심내용에 대하여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핵분열, 핵융합 연료의 생산공정, 연료 제조 공정, 사용 후 관리 공정을 다룬다. 각 공정의 해석모형 및 설계 이론을 익힘으로써, 핵화학 공정에 대한 실제적 계획, 평가 및 개발의 능력을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