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응용바이오공학과
바이오공학 분야를 새롭게 공부하고자 하는 대학원생(또는 학부 4년생)을 위한 강의로서 관련 분야의 기초지식과 함께 신기술 및 연구동향, 등을 강의한다. 바이오공학의 입문에 필요한 생물학, 물리 과학, 생리학, 생체의료기기, 등의 기초를 강의한다. 특히, 바이오재료, 나노 및 방사선의학, 광학, 분자영상, 등 관련된 사례 연구에 필요한 배경 자료를 제공한다. 다 학제적 접근의 장점과 생물학적 공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에 중점을 둘 것이다. 학과의 교수진은 물론 관련 분야의 교내·외 전문가로 강의를 진행한다.
loading...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응용바이오공학과 / 대학원
2025-2학기
바이오공학 분야를 새롭게 공부하고자 하는 대학원생(또는 학부 4년생)을 위한 강의로서 관련 분야의 기초지식과 함께 신기술 및 연구동향, 등을 강의한다. 바이오공학의 입문에 필요한 생물학, 물리 과학, 생리학, 생체의료기기, 등의 기초를 강의한다. 특히, 바이오재료, 나노 및 방사선의학, 광학, 분자영상, 등 관련된 사례 연구에 필요한 배경 자료를 제공한다. 다 학제적 접근의 장점과 생물학적 공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에 중점을 둘 것이다. 학과의 교수진은 물론 관련 분야의 교내·외 전문가로 강의를 진행한다.
The Abused child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developmental issues and treatment
The Abused child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developmental issues and treatmentBiomedical ethics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issues in medicine and biology
Biomedical ethics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issues in medicine and biologyDie sowjetische Schule der Terminologie (1931-1991)
Die sowjetische Schule der Terminologie (1931-1991)Pocket guide to nursing diagnoses
Pocket guide to nursing diagnoses
Medical terminology : a programmed systems approach.
Medical terminology : a programmed systems approach.
Zaha Hadid : Projects Documentation
Zaha Hadid : Projects Document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immobility, and development :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International migration, immobility, and development :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rodents : a multidisciplinary analysis : proceedings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rodents : a multidisciplinary analysis : proceedings
Jewellery in context : a multidisciplinary framework for the study of jewellery
Jewellery in context : a multidisciplinary framework for the study of jewellery
WHO Expert Committee on Biological Standardization : forty-fourth report.
WHO Expert Committee on Biological Standardization : forty-fourth report.Ethics : theory and practice
Ethics : theory and practice
Belmont revisited : ethical principles for research with human subjects
Belmont revisited : ethical principles for research with human subjects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children : report of the 97th Ross Conference on Pediatric Research.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children : report of the 97th Ross Conference on Pediatric Research.
The Oxford textbook of clinical research ethics
The Oxford textbook of clinical research ethics
Handbook of terminology management
Handbook of terminology management
Methods in medical ethics
Methods in medical ethics
Reading the Bible in the strange world of medicine
Reading the Bible in the strange world of medicine
Social gerontology :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Social gerontology :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四十週年團慶活動實錄 = Documentation of the celebration activities for the 40th anniversary
四十週年團慶活動實錄 = Documentation of the celebration activities for the 40th anniversary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新文科教育研究 / New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井润田; 罗媛; Jing Runtian; Luo YuanEvolutionary Applications
Johannesson K.,Leder E.H.,André C.,Dupont S.,Eriksson S.P.,Harding K.,Havenhand J.N.,Jahnke M.,Jonsson P.R.,Kvarnemo C.,Pavia H.,Rafajlović M.,Rödström E.M.,Thorndyke M.,Blomberg A.British Journal of Surgery
C Gilmore; E Toner; S McHenry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Parkinson, Beth; Meacock, Rachel; Checkland, Katherine; Sutton, MattMedical Teacher
Dijk S.W.,Findyartini A.,Cantillon P.,Cilliers F.,Caramori U.,O’Sullivan P.,Leslie K.M.现代教育科学 / Modern Education Science
张宝昌; 贺增莉; 廖俊杰; 刘刚; ZHANG Baochang; HE Zengli; LIAO Junjie; LIU GangMedical Education
Shah A.P.,Walker K.A.,Walker K.G.,Cleland J.Journal of Patient Experience
Sterling, Nicholas W.; Brann, Felix; Frisch, Stephanie O.; Schrager, Justin D.Monash bioethics review
Delany C教育教学论坛 / jiaoyu jiaoxue luntan
杨凯悦; 王冬利; 张兆江; 李卫强; YANG Kai-yue; WANG Dong-li; ZHANG Zhao-jiang; LI Wei-qiangAesthetic plastic surgery
Kyriazidis I; Papas AEvaluation
Raveh E.,Ofek Y.,Bekkerman R.,Cohen H.Journal of Hispanic Higher Education
Kendra Huff; Thomas M. Krueger; Genevieve ScalanThe Design Journal
Chung, Seung Jin; Shim, On; Kim, Soyeon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Ho E.Y.Social sciencemedicine (1982)
Stuart Hogarth; Fiona A. Miller; Steve SturdyMedical Teacher
Hiroko Mori; Masashi Izumiya; Mikio Hayashi; Masato EtoJournal of the Pediatric Orthopaedic Society of North America
Sheila L. Mason; Megyn R. Sebesta; Sybil Snow; John Frino; Bettina Gyr; Savithri Nageswaran; null Jeanna R. Auriemma; Cara HabermanSENSORS
Festa, Giulia; Romanelli, Giovanni; Senesi, Roberto; Arcidiacono, Laura; Scatigno, Claudia; Parker, Stewart F.; Marques, M. P. M.; Andreani, Carla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Ellzey, Janet L.; O'Connor, James T.; Westerman, Juli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정밀 의료의 기본 개념과 현실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도구와 관련 지식 및 정밀 의료가 제시하는 기회와 더불어 유의해야 할 도전과제들을 다룬다. 정밀 의료시대의 진단, 치료법 선택을 비롯하여 유전상담, 공중보건에의 적용, 생명정보학, 정밀 의료에 관여하는 다양한 데이터 등 폭넓은 기초 개념에 대한 세부 주제들을 논의한다. 아울러 정밀 의료시대의 간호역할과 다양한 윤리적 이슈들을 살펴본다.전필 / 학사
본 수의마취학병원실습에서는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진료에 필요한 소동물 (개, 고양이), 대동물 (돼지, 말, 소), 야생동물 (설치류, 파충류), 조류 등의 마취의 임상경험을 통하여 본과 3학년에서? 학습한 수의마취학의 임상적 적용과 안과, 일반외과, 정형외과, 내과 및 방사선에서 필요한 마취를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논문 / 대학원
.전필 / 학사
첨단융합학부 학생의 전공탐색을 위한 과목으로, 디지털헬스케어의 핵심 개념과 다양한 응용 분야를 소개하여 향후 전공선택에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 진행되는 첨단연구와 연구의 실제 응용 사례를 직접 체험하여, 자신의 전공 적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치과의 임상과 기초 분야 연구에 필요한 여러 실험방법에 대해 각전공 별로 검토한다. 실험 연구에 필요한 기초 지식의 습득과 아울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실험, 미생물, 면역학적 및 조직학적 연구 방법에 대해 강의와 토론을 한다. 또한 국 조직의 기능 조절에 관여한다는 미생물의 분석, 동물 실험 및 인체 실험 방법이 비교 그리고 각종 치과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물학적 작용의 평가방법등에 대하여 학습하게 한다. 치료 및 진단의 평가 방법과더불어 컴퓨터의 치의학 연구 응용 및 연구 논문의 작성법에대해서도 연구, 토론한다.전선 / 학사
기초 통계, 코딩 지식을 응용하여, 다양한 공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바이오/ 임상 빅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들을 integration할 수 있는 분석방법과 AI를 이용한 신약개발의 개념과 사례를 학습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에서는 규범윤리, 응용윤리, 메타윤리, 윤리학사 등 윤리학의 여러 탐구 영역에서 제기되는, 이론적이거나 실천적인 주요 주제나 특정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에 따라 이 과목은 수강생들에게 현재 사회적으로 현안이 되는 실천적 문제들을 윤리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거나, 현재 학계에서 논의의 초점에 있는 윤리학적 주제들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전필 / 학사
약사로서의 윤리 원칙을 설명하고 직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윤리적 쟁점들을 설명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의과학 분야의 발명 및 기술혁신, 기술이전, 사업화를 이끌고자 하는 의과학자들이 인류에게 중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어떤 어려움 속에도 끝까지 추구하여 반드시 결과를 만들어 내도록 하는 혁신적이고 기업가적인 마인드셋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불어 성공적인 상호 보완적 창업팀 형성, 의과학 기술개발의 특성, 창업 초기 법적 비즈니스적 위험, 비즈니스 플랜 작성 및 발표능력 등 창업자에게 필수적인 훈련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수강생들이 (1) 의과학의 학문, 비즈니스, 그리고 학제간 맥락에서 연구의 목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리더십 및 관리 전략을 만들어 수행할 수 있고, (2) 혁신적인 연구 및 기술의 환경에서 리더십 기술과 개인적 강점을 통해 조직적 성공을 성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관행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3) 인간 상호 관계의 원리와 그런 원리가 과학자와 비과학자 간의 의사 소통에 주는 영향을 봄으로써 진정한 리더십과 혁신을 도모할 수 있고, (4) 실무지식을 통해 지식과 기술의 수출, 수입, 그리고 승인에서의 기존의 변화를 반영하여 국내 및 국제적으로 효과적인 협력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5) 금전적 및 비금전적 척도에서 획기적인 혁신에 대한 위험과 보상을 식별, 평가, 그리고 균형을 잡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의공학 분야는 의료기기, 생체재료, 조직공학과 같은 공학적 개발, 연구에 관련된 다학제적 학문 분야로 최근 들어 그 범주가 매우 넓어짐과 동시에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현 강좌에서는 의공학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조사, 탐구하며 다양한 관련 분야에 대해 고찰하고 토론한다. 이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은 의료 미충족 요구에서 출발한 다양한 의공학 연구 분야와 미래 신기술 그리고 그를 선도하는 글로벌 연구진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전선 / 학사
시스템적 시각과 기술-경영간의 상호관계와 합목적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구체적으로 기술경영을 위해 수행되는 제반활동의 내용과 범위 및 절차를 파악하며, 그러한 활동에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기법과 방법론을 이해함으로써, 전공분야에 관계없이 기술 경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의 관리자로서 필요한 기본지식과 전략적 사고를 배양하는 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자성재료를 연구하거나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다. 강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는데, 처음에는 자성의 기본적 현상과 이론을 강의하고, 그 다음으로 개발되어 온 여러 다양한 자성재료의 핵심 내용에 대해 강의하며, 마지막으로 수강자가 관심을 갖는 주제에 대해 논문을 조사하여 발표하게 하고 term-paper를 제출하게 함으로서 본 교과목의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대학원생 주도의 세미나 강좌로 국내외 대학, 산업체, 연구소 등의 최신 재료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재료과학과 더불어 물리, 화학 등 학제적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 및 박사 학위 심사를 앞둔 재료공학부 대학원생을 초빙하여 세미나 주제에 대한 기본 개념, 최신 연구 동향, 우수 연구성과 등에 대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토의한다. 본 강의는 교수의 개입을 최소화하며 대학원생이 주관하는 세미나 형식의 강의이며, 강의 주제 및 연사는 대학원위원회를 구성하여 결정한다. 주요 연사는 대학원생, 졸업생을 포함하는 재료 모든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학제간 연구논문을 완성하려는 비교문학과 석ㆍ박사 과정 학생들을 위한 집중 연구과목이다. 학제 간 연구계획과 관련된 특정 비교문학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검토함으로서 연구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학제 간 연구논문 완성 작업을 돕기 위한 과목이다. 한 학기 동안 담당교수와의 협업을 통해 충실한 연구논문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