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는 스포츠 산업에 있어 스포츠 과학, 컴퓨터 과학,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관련된 여러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과목이다. 다양한 교육적 방법이 활용되며, 이는 스포츠산업현장분야에 사용된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유사점과 차이점을 증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학생들은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학문적 연구들을 토론을 통하여 함께 살펴보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교과내용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혁신공유학부
◎ 구 분: 초급 – 에너지 경영 ≪ 교수요목 ≫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또한,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 ≪ 과목개요 ≫ 이 수업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에너지신산업)」의 수행을 위해 개설되는 초급교과목으로서, 수업은 온라인 강의로 15주 동안 진행된다. 첫 8주는 지구와 지질환경의 이해, 전통에너지원의 형성 및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 이해, 지구의 지질시대의 이해와 기후변화 원인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남은 주차의 수업은 지질환경의 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 진행은 필요할 경우 오프라인 수업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실험/실습이 병행될 수 있다.) ≪ 학습목표 ≫ 지구의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
loading...
혁신공유학부 혁신공유학부 / 학사
2022-2학기
권장 선수과목 해양지구과학및실험 1(721.321) , 지구과학교육론(721.471)
◎ 구 분: 초급 – 에너지 경영
≪ 교수요목 ≫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또한,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
≪ 과목개요 ≫
이 수업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에너지신산업)」의 수행을 위해 개설되는 초급교과목으로서, 수업은 온라인 강의로 15주 동안 진행된다.
첫 8주는 지구와 지질환경의 이해, 전통에너지원의 형성 및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 이해, 지구의 지질시대의 이해와 기후변화 원인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남은 주차의 수업은 지질환경의 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 진행은 필요할 경우 오프라인 수업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실험/실습이 병행될 수 있다.)
≪ 학습목표 ≫
지구의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
The city and the coming climate : climate change in the places we live
The city and the coming climate : climate change in the places we live
Beyond Kyoto - a new global climate certificate system : continuing Kyoto commitments or a global 'cap and trade' scheme for a sustainable climate policy?
Beyond Kyoto - a new global climate certificate system : continuing Kyoto commitments or a global 'cap and trade' scheme for a sustainable climate policy?
Green growth : climate change
Green growth : climate changeLong-term economics of climate change : beyond a doubling of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Long-term economics of climate change : beyond a doubling of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Adapting to climate change :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 Joel B. Smith ... [et al.], editors.
Adapting to climate change :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 Joel B. Smith ... [et al.], editors.Global fever : how to treat climate change
Global fever : how to treat climate change
사막에 펭귄이? 허풍도 심하시네
사막에 펭귄이? 허풍도 심하시네Earth's future climate
Earth's future climate
Compass and gyroscope : integrating science and politics for the environment
Compass and gyroscope : integrating science and politics for the environment
Climate Change from the Streets : how conflict and collaboration strengthen the environmental justice movement
Climate Change from the Streets : how conflict and collaboration strengthen the environmental justice movement
Beneficiary assessment an approach described
Beneficiary assessment an approach described
Handbook of climate change mitigation
Handbook of climate change mitigation
Climate change and the health of nations : famines, fevers, and the fate of populations
Climate change and the health of nations : famines, fevers, and the fate of populations
실험실 지구
실험실 지구Natural and anthropogenic hazards in development planning
Natural and anthropogenic hazards in development planning
Evalua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 of agriculture in Taiw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 of agriculture in Taiwan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bioenergy on nutrition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bioenergy on nutrition
Water and climate change in Africa : challenges and community initiatives in Durban, Maputo and Nairobi
Water and climate change in Africa : challenges and community initiatives in Durban, Maputo and Nairobi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Hussain M.,Butt A.R.,Uzma F.,Ahmed R.,Rehman A.,Ali M.U.,Ullah H.,Yousaf B.自然与文化遗产研究 / Study on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刘文艳; LIU Wenyan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Tian L.,Ye Q.,Zhen Z.Journal of the European Economic Association
De Silva T.,Tenreyro S.Cambridge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Sahu A.K.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Diodato N.,Fratianni S.,Bellocchi G.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Semenza JC; Ko AI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Peng S.,Yu K.,Li Z.,Wen Z.,Zhang C.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da Silva HMS; Dubeux Júnior JCB; Silveira ML; Lira Junior MA; Cardoso AS; Vendramini JMB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Wang P.,Chen W.Q.,Cui X.,Li J.,Li W.,Wang C.,Cai W.,Geng X.Heliyon
Payus C.M.,Jikilim C.,Sentian J.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u C.W.,Naqvi B.,Shao X.F.,Li J.P.,Jiao Z.Nature Climate Change
Lisa PalmerClimate Change Economics
Yang, Z.Ocean Science Journal
Lim, Dae-Ung; Suh, Kyung-Duck; Mori, NobuhitoKorea and the World Economy
정용운, 신경남, 손상학중국법연구
학회연, 정대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Wang H.,Shi W.,He Y.,Dong J.Sustainability Science
Falk, Jim; Gleick, Peter H.; Asayama, Shinichiro; Attig-Bahar, Faten; Behera, Swadin; von Braun, Joachim; Colwell, Rita R.; Chapagain, Ashok K.; El-Beltagy, Adel S.; Kennel, Charles F.; Kimoto, Masahide; Koike, Toshio; Konde, Agnes Asiimwe; Koundouri, Phoebe; Abd-Elmabod, Sameh Kotb Mohamed; Lal, Rattan; Lee, Yuan Tseh; Murray, Cherry A.; Nangia, Vina; Sapkota, Amy; Saijo, Tatsuyoshi; Serageldin, Ismail; Soussana, Jean-François; Takara, Kaoru; Takeuchi, Kazuhiko; Tran, Thong; Victor, David; Watanabe, Chiho; Wheeler, Kevin; Yasunari, TetsuzoOne Earth
Schwingshackl C.,Obermeier W.A.,Bultan S.,Grassi G.,Canadell J.G.,Friedlingstein P.,Gasser T.,Houghton R.A.,Kurz W.A.,Sitch S.,Pongratz J.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은 이 시대의 화두이다. 이 수업에서는 기후변화의 원인과 그 영향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사회적, 경제적, 과학기술적, 정책적 방안이 필요한지 배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를 넘어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융복합적으로 탐구한다.전선 / 학사
오늘날 기후위기는 질병위기를 낳고, 질병위기는 경제위기를 가속화하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화석에너지를 기반으로 놀라운 경제성장을 실현하고 삶의 질을 향상해 왔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온실가스를 다량 배출하는 경제행위가 뒤따랐다. 그로 인해 세계는 폭염과 홍수, 가뭄과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에 노출되고 있으며, 그 피해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인류가 당면한 기후/질병/경제 복합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해야 한다. 이 과목은 기후위기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과, 기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경로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탈탄소 경제의 본질과 개념, 전략과 과제를 습득하고 공유함으로써 서울대 학생들로 하여금 미래지향적인 그린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과 기후 문제에 대한 경제 분석, RE100, ESG,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과 같은 현실 이슈에 대한 심층 토론, 전문가 초빙 강연 등 다양한 수업방식을 최대한 활용한다.전선 / 대학원
환경문제에 대한 전 지구적 관심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환경이슈를 공공정책형성의 장에 도입하고 이를 분석, 집행, 평가하는 체계적 접근방식을 정립하는 동시, 이러한 과정과 연계된 구체적인 법적 논의들을 검토하게 된다. 또한 국내외의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환경정책 형성의 동태성과 이의 법률적 성격에 대한 지식과 인식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현대 도시계획의 이론과 실제를 강의한다. 현대도시계획이 추구하는 가치, 다루는 내용, 접근방법 및 동향을 세부 계획부문별로 살피고, 각 부문을 실천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종합적 계획눙력을 배양한다. 독서와 강의를 통해 도시계획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도시계획에 대한 실천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현대 도시계획의 종합적, 전략적 속성과 정치적 맥락, 다른 나라 도시계획과의 비교론적 시각이 강조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기후변화의 성격을 탐구하고 문제의 경제학적 해결책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를 얻도록 한다. 강의는 우선 기후변화의 발생 원인과 각 부문에의 영향을 정리하며, 그 비용과 편익을 분석한다. 현세대와 미래세대를 모두 고려할 때의 최적의 온실가스 농도가 어느 정도이여야 하는지를 검토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감축노력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공부한다.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조치의 종류와 이를 도입하기 위한 경제적 수단과 그 효과도 분석한다. 특히 기후변화가 식량의 생산과 소비에 미치는 영향과 바이오에너지를 포함하는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의 전환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아울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협력의 과정과 성과 및 관련 이론을 소개하며,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계량적 분석수단도 소개한다.전선 / 대학원
기후변화는 21세기 최대의 환경문제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기후변화의 발생원인과 함께 기후변화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기후변화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기후변화라는 환경문제가 에너지소비, 경제성장, 사회적 형평성이 연동(E4)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기후변화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도록 한다. 기후변화의 문제는 국제사회의 협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국제적으로나 지역적으로 다양한 정책수단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저감 노력과 발생할 수밖에 없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노력을 함께 경주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국제기후변화협상의 과정과 협상결과 채택한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국가들에서 구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기후변화정책에 대해 검토하도록 한다. 이러한 검토와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취해야 할 바람직한 정책방향과 정책수단들에 대한 함의를 시사받을 수 있을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본 과정은 환경 프로젝트의 계획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실질적인 디자인 기술과 방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과정은 크게 건축환경시스템평가방법론 연구, 건축환경프로젝트개발 및 투자방법론 연구, 건축환경계획기준연구, 친환경건축계획방법론 연구 등의 4가지 세부주제로 구성되어 있다.전선 / 학사
자연환경의 기본인 기후 환경에 대한 기본 개념을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등을 바탕으로 이해하고, 동기후학적 관점의 제 개념과 계절, 기후지역 등 인간생활과 관련된 기후학적 사항에 관하여 논의한다. 특히 기후지역에 따른 인간활동과 문화적 차이점 등에 주목하여 생활환경으로서의 기후환경의 위치를 제시한다.전선 / 학사
토지의 개념, 토지시장의 수요공급이론, 토지이용계획 및 토지관리, 토지공개념 및 토지정책, 토지개발계획 비교 분석, 토지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에너지 정책 수립의 원칙과 실제에 대한 소개를 제공한다. 정부의 역할, 에너지 정책 및 프로그램의 수립과 실행, 에너지 시장 규제, 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성 증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룰 것이다. 에너지 안보, 기후 변화, 에너지 접근성, 에너지 분야의 혁신적 역할 등 다양한 에너지 정책 문제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정부 수준과 국가 간에 에너지 정책을 조정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도 다룰 것이다.전선 / 학사
농생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으로서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또는 환경재료과학전공을 선택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 산림환경학과 환경재료과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만든 과목이며, 동시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여 대학생활에 대한 학문적인 길잡이 노릇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또한 앞으로 4년간 배우게 될 학과목의 개요를 접하며, 아울러 각 과목의 담당교수들로부터 직접 설명을 들을 기회를 가짐으로서, 앞으로 전공과목을 선택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우리 국토를 대상으로 자연 및 인문환경 특성과 인위적인 환경변화, 그리고 환경문제 해결책의 하나로서 환경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자연 환경은 지형, 기후, 식생, 토양 등, 그리고 인문환경은 산업과 경제, 도시와 촌락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인위적인 환경변화는 우리 사회의 현안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그 원인과 대책을 토의한다. 그러나 제도적 장치에 관련된 내용보다는 환경교육이 기여할 바를 모색하는데 역점을 둔다.전선 / 대학원
본과목은자연자원 환경 및 에너지 관리와 관련된 경제적, 법적, 정책적 제 문제들에 대해 포괄적인이해를증진함을목적으로한다.자연자원 및 에너지 자원에 대한 생태경제학의 이론을살펴보고, 규제와 시장 메커니즘의 적용을 분야별로 개관한다. 주요 분야로는 폐기물 및 자원순환, 산림자원, 석유, 광물자원, 천연가스, 전력, 수력, 원자력, 대체에너지, 그리고 기후변화 문제와 탄소시장 등이 포함된다. 자원·에너지 관련 국내 법정책, 외국의 주요 사례, 그리고 국제환경협약 등이 검토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식물생산을 위한 환경조절 이론 및 식물생육 반응의 모델링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작물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환경요인, 시설내의 미기상 해석, 환경변화 예측, 환경 및 생체정보 계측, 식물 환경조절 이론에 관하여 학습한다. 또한 시설 내 환경조건에 따른 식물생육, 광합성, 기공반응, 배지의 함수율, 기타 환경요인의 조절에 대한 식물생육 반응 모델링 등을 연구한다. 또한 이러한 내용을 조직배양시스템, 온실 작물생산, 무토양재배, 밀폐생태계 식물생산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의 목적은 지역이 직면한 고령화, 과소화 등의 문제를 이해하고 계획·설계가적 관점에서 마을 공간과 공동체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수업에서는 마을 및 지역 공동체가 당면한 과제를 심도 있게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접근 방법 및 이론을 학습한다. 특히 재생사업의 계획과 시행 과정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식을 전달한다. 공간적 범위는 시군, 중심지(읍, 면, 원도심)이고 내용적 범위는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재생을 다루며 계획·설계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재생방향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