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조경설계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단지규모보다는 훨씬 광역의 대상지역 중 특히 개발로 인해 환경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높은 자연경관지역 그리고 환경보전에 역점을 두어야 할 환경을 대상으로 하여 광역조경계획 (Landscape Planning)의 계획방법을 활용하여 계획대안을 작성하는 스튜디오 과목임. 이 과목에서는 특히 환경오염 및 자연훼손이 심각해져 가는 우리 나라의 실정에서 각종개발계획들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이 될 수 있도록 친환경적 개발계획 대안들을 발견하고 적용해보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스튜디오에서는 국토환경종합계획, 환경보전도시(Ecopolis), 지속가능한 계획 및 설계(Sustainable planning and design), 생태관광계획, 그린네트�p 계획, 국립공원, 도립공원, 그린벨트, 강유역개발, 쓰레기매립장 및 주변지역계획, 농촌마을계획 등의 문제들을 가지고 조경계획을 수립하고 그 관리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계획의 수립과정에서 지리정보체계(GIS)를 활용하여 대상지 분석을 하게 됨으로 GIS활용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된다.
loading...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 대학원
2025-1학기
조경설계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단지규모보다는 훨씬 광역의 대상지역 중 특히 개발로 인해 환경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높은 자연경관지역 그리고 환경보전에 역점을 두어야 할 환경을 대상으로 하여 광역조경계획 (Landscape Planning)의 계획방법을 활용하여 계획대안을 작성하는 스튜디오 과목임.
이 과목에서는 특히 환경오염 및 자연훼손이 심각해져 가는 우리 나라의 실정에서 각종개발계획들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이 될 수 있도록 친환경적 개발계획 대안들을 발견하고 적용해보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스튜디오에서는 국토환경종합계획, 환경보전도시(Ecopolis), 지속가능한 계획 및 설계(Sustainable planning and design), 생태관광계획, 그린네트�p 계획, 국립공원, 도립공원, 그린벨트, 강유역개발, 쓰레기매립장 및 주변지역계획, 농촌마을계획 등의 문제들을 가지고 조경계획을 수립하고 그 관리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계획의 수립과정에서 지리정보체계(GIS)를 활용하여 대상지 분석을 하게 됨으로 GIS활용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된다.
Environmental planning :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biophysical resources
Environmental planning :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biophysical resources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Special interest tourism : context and cases
Special interest tourism : context and cases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rowth management, and the comprehensive pl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rowth management, and the comprehensive planPlanetizen guide to graduate urban planning programs
Planetizen guide to graduate urban planning program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Computational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for smart cities
Computational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for smart cities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ing : synthesis and perspectives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ing : synthesis and perspectives
Parallel patterns of shrinking cities and urban growth : spatial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y regions and rural areas
Parallel patterns of shrinking cities and urban growth : spatial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y regions and rural areas
Changing metropolitan America : planning for a sustainable future
Changing metropolitan America : planning for a sustainable future
街路の意味
街路の意味Stadt Raum Zeit : Stadtentwicklung zwischen Kontinuität und Wandel
Stadt Raum Zeit : Stadtentwicklung zwischen Kontinuität und Wandel
An Approach to urban planning
An Approach to urban planning
The Farmer's Age Agriculture 1815-1860
The Farmer's Age Agriculture 1815-1860
Forest and nature governance : a practice based approach
Forest and nature governance : a practice based approach
Comprehensive City Planning : Introduction & Explanation
Comprehensive City Planning : Introduction & Explanation
The needs and demands of women farmers i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rural livelihood, and their expected roles in rural development
The needs and demands of women farmers i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rural livelihood, and their expected roles in rural development
Research design in urban planning
Research design in urban planning
Agricultural land capabilty of West Bengal
Agricultural land capabilty of West Bengal
도시와 녹지 : 새로운 도시환경의 창조를 향하여
도시와 녹지 : 새로운 도시환경의 창조를 향하여
공간정보학 실습 :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습 =
공간정보학 실습 :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습 =
Ruralism : the future of villages and small towns in an urbanizing world
Ruralism : the future of villages and small towns in an urbanizing world
그린 어바니즘 : 유럽의 도시에서 배운다
그린 어바니즘 : 유럽의 도시에서 배운다
Green infrastructure for landscape planning : integrating human and natural systems /
Green infrastructure for landscape planning : integrating human and natural systems /
녹색도시 만들기 =
녹색도시 만들기 =
바이오필릭 시티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바이오필릭 시티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도시Technology and Culture
Thompson, Burlock C.Remote Sensing
Zeng J.,Xu J.,Li W.,Dai X.,Zhou J.,Shan Y.,Zhang J.,Li W.,Lu H.,Ye Y.,Xu L.,Liang S.,Wang Y.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Prideaux B.,Thompson M.,Pabel A.,Cassidy L.Utilities Policy
Gonzalez-Mathiesen C.,Palma C.,Jara C.,Zapata R.Ecology and Society
Olsson L.,Ness B.Canadian Journal of Zoology
Andrew J. Wright; Hilary B. Moors-Murphy; Harald YurkNatural Hazards
Lara A.,Bucci F.,Palma C.,Munizaga J.,Montre-Águila V.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s
Song, Xiangxiang; Zhang, Zuo; Wang, Zhe; Liu, YanzhongTourism Recreation Research
Nematpour M.,Makian S.,Rostami A.,Faraji A.Ecosystem Services
Depietri Y.,Orenstein D.E.Sustainability (Switzerland)
Schellens M.K.,Belyazid S.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Hou L.,Hu C.,Wu T.,Zhao Y.,Deng H.,Guo Y.Tourism Geographies
Étienne von Bertrab; Matilde Córdoba AzcárateLandscape Ecology
Li P.,Hu G.,Turner B.L.,Zhang Y.European Journal of Risk Regulation
Colombo C.M.,Groenleer M.Annal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Stehlin J.G.,Payne W.B.Journal of Hydrology: Regional Studies
Altemus Cullen K.대한건축학회논문집
우아영, 지남석대한건축학회논문집
허묘분, 정우성, 강미선REMEDIATION-THE JOURNAL OF ENVIRONMENTAL CLEANUP COSTS TECHNOLOGIES & TECHNIQUES
Smith, Jonathan W. N.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이 과목은 농업을 비롯한 보건, 교육, 환경, 자원 등 다양한 주제의 국제개발협력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경제학적 방법론을 배우고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효과성평가 방법론과 더불어 실제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효과성평가 연구를 설계하고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고, 설문자료 수집하고 관리하는 과정과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다양한 최신 효과성 평가 사례 분석과 실제 자료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국제개발 효과성평가의 이론과 적용에 대해 공부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의 목적은 지역이 직면한 고령화, 과소화 등의 문제를 이해하고 계획·설계가적 관점에서 마을 공간과 공동체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수업에서는 마을 및 지역 공동체가 당면한 과제를 심도 있게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접근 방법 및 이론을 학습한다. 특히 재생사업의 계획과 시행 과정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식을 전달한다. 공간적 범위는 시군, 중심지(읍, 면, 원도심)이고 내용적 범위는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재생을 다루며 계획·설계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재생방향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기대한다.전선 / 대학원
국제농업개발협력은 크게 국제농업에 있어 개발과 협력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발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데, 경제적 측면에서는 개발경제학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즉 경제성장에 대한 거시모형을 간단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개발의 미시적인 효과성 측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따라서 미시경제학적인 접근법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다. 한편 협력은 공적인 영역에서 ODA와 같은 정부간 협력도 있으며, 민간 NGO를 중심으로 한 민간차원의 협력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협력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현실적인 컨설팅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협력 부분에 대한 학문적 연구과 이에 대한 다양한 현실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한국의 경우 해외농업개발 부분이 중요하다. 이는 정부의 식량안보 정책에 기반을 두면서도 기업들의 해외개발 수요에 부응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식량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또한 국제농업개발협력에서 하나의 중요한 주제로 학습하게 될 것이다. 본 과목은 수강생들로 하여금 이러한 국제농업에 대한 개발협력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는데 기여한다.전선 / 대학원
본 도시환경론은 도시화와 환경과의 관계를 정립하고 도시의 지형, 지질학적 특성이 어떻게 도시환경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한다. 동시에 도시의 건축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시기후의 변화를 살피고, 도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소음공해, 쓰레기 문제, 자연재해를 다룬다. 그밖에 도시의 식생분포와 변화를 실증적으로 조사 연구하도록 하며, 도시생활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도시환경의 조건을 다루고 이를 실습한다.전선 / 학사
환경경영과 경관계획은 지속가능한 미래의 지구환경을 위한 산림경관의 과학적인 이해와 실질적인 보전을 위한 계획 및 문제 해결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경관생태학, 생태네트워크, 서식처 모델링, 보호지역 갭분석 등 기존 보전계획의 이론과 방법, 원리 등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론들이 우리나라의 자연·인문·사회과학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또한 실제 산림환경 정책의 입안과 적용 등을 파악하며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생태계서비스평가 등 정량적인 평가 및 모니터링에 대한 고찰을 통해 체계적인 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다양한 시각을 갖도록 한다.전선 / 학사
토지의 개념, 토지시장의 수요공급이론, 토지이용계획 및 토지관리, 토지공개념 및 토지정책, 토지개발계획 비교 분석, 토지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전필 / 대학원
본 교과목은 경제동물과학, 바이오식품산업, 종자생명과학, 그린에코시스템공학, 국제농업개발협력 부문을 중심으로 국제농업기술학의 다학제간 융합을 위한 기초지식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친환경축산 기술과 정책 및 국제적 사례, 농산물 가공 신기술에 대한 국가별 발전과 응용기술에 대한 연구 동향, 우수 생명공학작물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이론과 핵심기법 및 구체적 사례 검토로 미래 기술에 대한 전망,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농지기반, 유역관리, 용수공급, 온실 및 축산시설 등의 최신 기술 학습, 농업부문을 기반으로 국가 성장에 대한 경제학·정책학적 접근과 개발도상국가와의 개발협력에 대한 기초지식 등을 학습하게 된다.전선 / 대학원
오늘날 도시는 세계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에 막대한 기여를 하고 있다. 국제적 맥락에서 저에너지 도시개발의 촉진을 위해 도시의 형태와 에너지의 상관관계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교과목의 목표는 글로벌 관점에서 도시 형태에 따른 에너지 성과에 대한 최신이슈의 이해, 최신 모델링 기법과 탐구적 설계 응용 프로그램을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도시 형태를 정의하는 양적 연구방법에 따라 교통, 건물에너지, 건물 및 기반시설 에너지, 분산형 재생가능에너지의 4가지 분야에 대한 에너지 효율과 도시 형태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다룬다. 도시 스케일의 에너지 모델링에 대한 최신 툴을 다루게 될 것이며, 수업 시간에 다룰 일부 툴은 글로벌 문화와 도시 규제의 맥락에서 다양한 도시 형태별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고 살펴보는데 활용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추가적으로 에너지를 고려한 계획과 설계 기법, 용도구역설정 및 기타 정책기법을 다룰 것이며, 최종적으로 도시 형태와 에너지 효율, 에너지 중심의 도시계획과 디자인 원칙에 대해서 학습하고 다룬다.전선 / 학사
본 수업은 농업생명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전체 농업 시스템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수업에서는 작물 생산-식품 가공 및 소비-부산물 처리 전체에 이르는 농업 시스템을 다루는 것은 물론, 농업에서 탄소를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탐구하고, 세계 각국의 농업분야 기후변화 전략을 살펴보며, 더욱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을 위해 수행되어야 할 향후 연구들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기후변화 극복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농업생명과학 분야가 왜 중요한지 이해하며, 얻은 지식을 향후 진로 및 연구분야 설정에 활용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농촌은 단순히 농업생산의 기지를 벗어나 국토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간으로써 환경보전의 핵심기반이며 동시에 미래자원개발의 보고라고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농작물을 포함한 농업생산물과 농촌공간의 생물다양성의 관점에서 다양한 농촌자원의 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과목이다. 과정을 통하여 농촌자원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농촌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학적 접근방법들을 익힌다. 무엇보다 여러 국가의 국가별 혹은 지역별 자원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관리 및 개발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대상국가를 통해 적용해 봄으로써 향후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현대 도시계획의 이론과 실제를 강의한다. 현대도시계획이 추구하는 가치, 다루는 내용, 접근방법 및 동향을 세부 계획부문별로 살피고, 각 부문을 실천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종합적 계획눙력을 배양한다. 독서와 강의를 통해 도시계획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도시계획에 대한 실천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현대 도시계획의 종합적, 전략적 속성과 정치적 맥락, 다른 나라 도시계획과의 비교론적 시각이 강조된다.전선 / 대학원
북한의 심각한 식량난이 남한 등 외부 세계에 알려진 지도 거의 10년이 가까워 오고 있지만 아직도 북한 식량난의 정확한 원인을 이해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은 것 같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북한의 농업실상 - 농업정책에서부터 시작하여 농업경영은 물론 실제 농작물들의 재배, 농기계, 비료, 농약과 같은 영농자재의 공급문제, 토지와 기후와 같은 자연 조건, 나아가서 그들의 농업연구와 고등농업교육 등 - 모두를 각 분야전문가들과 함께 점검하고 식량자급 가능성을 토론할 것이다. 본 과목은 농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은 물론 고학년의 학부생들을 상대로 개설된 것이다.전선 / 학사
자연 재해 및 환경오염과 기후 온난화에 의한 전 지구 환경 변화는 인류 문명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지진, 해일 등을 비롯한 자연 재해와 현재 진행 중인 기후 온난화에 대해 공부한다. 또한 지구 생성 이후 변화하는 지구 기후와 그 원인을 통해 지질학적 시간규모의 기후 변화에 대해 공부한다.전선 / 학사
조경, 건축, 도시설계 및 계획 등의 네트워크 및 전략적 설계 지식에 기반을 둔 통합적 환경설계의 이론과 방법을 실험하고 실천하는 스튜디오로 진행된다. 특히 재개발지, 공장이적지, 쓰레기매립지, 오염지, 폐선부지, 군부대이전적지 등을 설계 대상지로 설정하여 도시 재생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며, 효과적인 설계 매체를 실험적, 창의적으로 적용한다.